728x90
반응형

우리는 언제부터 삼시 세끼를 했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옛날에는 점심시간이 없었다고?

최근에는 아침을 먹지 않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우리는 기본적으로 아침, 점심, 저녁
하루에 세끼를 먹으며 살아갑니다

이것을 삼시 세끼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아침을 먹지 않으면 오전이 힘들고
점심을 먹지 않으면 오후가 힘들고
저녁을 먹지 않으면 자기 전까지가 힘들기 때문에

당연한 것처럼 삼시 세끼를 하고 있고
과거에도 그랬을 것이라 생각이 들지만

놀랍게도 과거에는 하루에 두끼만 먹는 것이 보통이었다고 합니다

우리가 삼시 세끼를 했던 것은 언제부터였을까요

 

 

 

하루에 세끼를 먹는 것은
아주 옛날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식생활이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본격적으로 점심을 챙겨 먹기 시작했던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과거 송나라의 사신이 고려에 와서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한 고려도경에 보면

사신이 왔을 때 세 끼를 공급했다는 기록이 있고
(제할관 및 상절이 객관에 머무를 때는 매일 세 끼 식사를 제공하는데)

 


고려의 역사를 기록한 고려사에 보면
세 끼 맛있는 음식을 부모에게 바쳤다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봐
(세 때에 맛있는 음식을 갖추어 먼저 부모에게 드리고 물러가서 함께 먹었다)

고려 시대에는 세 끼를 먹었을 것으로 생각될 수 있지만
이것은 고위 관료층이나 돈이 많은 일부의 사람들만
가능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삼시 세끼라는 표현을 쓰지만
과거에는 조석 끼니라는 표현을 썼습니다

여기서 조석은 아침과 저녁을 말하는 것이니
그 당시 사람들은 하루에 두끼가 보통이었다고 생각해 볼 수 있죠



조선시대에는 고려의 영향을 받아
똑같이 하루에 두끼만 먹었습니다

세종실록에 보면 가난한 사람이나 부유한 사람 모두
하루에 두끼만 먹는다고 나와있기도 하고
(가난한 사람이나 부유한 사람이나 모두 하루에 두 끼씩 먹는다고 속언에 말하지 않았는가)

하루에 두 번 먹지 않으면 굶어죽게 된다고 나와있기도 합니다
(대저 사람의 사정으로는 하루에 두 번 먹지 않으면 굶주리는 것이니)


하지만 과거에는 농사를 짓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밥을 두 번 밖에 먹지 않으면
제대로 된 일을 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그래서 이들은 아침과 저녁 사이에 에너지를 채워줄 음식을 먹었는데
이것이 바로 새참입니다


새참은 막걸리와 함께 먹을 음식들로 구성되었는데
주로 국수가 대표 메뉴였다고 합니다

이때 먹는 밥은 특별한 격식을 갖추지 않았으며
낮에 딱 한 번 먹는 오늘날의 점심밥 같은 개념이 아니라
허기질 때마다 먹는 간식 같은 개념이었습니다



조선시대 왕은 하루에 다섯끼를 먹었다고 알려져 있는데
아침에 일어나 먹는 초조반
본격적인 아침밥인 아침수라
점심때쯤 먹는 낮것상
본격적인 저녁밥인 저녁수라
야식으로 먹는 야참이 있습니다

여기서 초조반, 낮것상, 야참은 간단하게 차려진 음식으로
농부들이 먹었던 새참처럼 간식 같은 개념이었죠

즉 조선의 왕 역시 따져보면 하루에 세 번의 간식과
두 번의 식사를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점심이라는 단어는 중국에서 넘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점심은 식사를 하기 전 배고파질 때쯤
마음에 다시 점을 찍는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중국에서는 만두 같은 간단한 음식을 먹어 배를 채웠다고 합니다

여기서 나온 것이 바로 딤섬인데
점심과 딤섬은 한자가 같고
점심을 광동어로 읽으면 딤섬이 됩니다

즉 중국에서 점심이라는 단어가 사용될 때 역시
가벼운 간식 같은 개념으로 사용된 것이고

낮에 먹는 것뿐만 아니라
아침밥을 먹기 전 배를 채우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조선 후기로 가면서 점심이 식사에 대한 개념으로
자리 잡기 시작했습니다

학자 이익이 쓴 성호사설에 보면
요즘 사람들은 낮에 든든히 먹는 것을 점심이라고 한다 라는 기록이 있습니다
(한낮을 당하여 단단히 먹는것을 점심이라 한다)

이후 산업화가 시작되면서부터
점심은 한끼 식사로 대접받게 되었습니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 출근 준비를 해야 했기 때문에
아침의 비중이 줄어들 수밖에 없었고

그런 만큼 점심을 든든히 챙겨 먹게 되었습니다

또 출근부터 퇴근까지 계속 일하는 것보다
시간을 내 식사를 한다면
업무의 효율이 더 올라갈 수 있기 때문에
제대로 된 식사 시간을 만들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점심시간이며
이때부터 하루에 세끼를 먹는 식습관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입니다

원래 점심이라는 것은 특정 시간대를 말하는 단어는 아니었지만
오늘날에 와서는 12시에서 1시정도를 뜻하는 단어로 사용되고 있기도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멀리 있는 것을 볼 때 눈을 찡그리면 더 잘보이는 이유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찡그리면 더 잘보이는 이유

우리는 두 눈이 있기 때문에 앞을 볼 수 있지만
시력이 좋지 않으면 멀리 있는 것을 볼 때 흐릿하게 보여
먼 거리를 보는 것이 힘들어집니다

그래서 안경이나 렌즈 같은 것의 도움을 받아
시력을 교정하곤 합니다

그런데 때로는 흐릿한 것을 볼 때
누가 가르쳐주지도 않았는데
눈에 힘을 줘 찡그린 다음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실제로 더 잘 보이는 것처럼 느껴지곤 하는데
눈을 찡그리면 실제로 멀리 있는 것이
잘 보이게 되는 것일까요?




물체에서 반사된 빛이 동공을 통해 안구로 들어오고
안구로 들어온 빛이 수정체에 의해 굴절된 뒤
망막에 초점이 맞춰지면
우리는 그 물체를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망막에 초점이 또렷하게 맞춰지는 것을 정시라고 합니다


어떤 원인에 의해 시력이 나빠져
망막 앞에 초점이 맞춰지면 근시
망막 뒤에 초점이 맞춰지면 원시라고 하는데

이럴 경우 동공으로 들어온 빛이 망막에 모이지 못하고
퍼지기 때문에 여러 개의 상이 겹쳐
그 물체가 흐리게 보이게 됩니다


어떤 한 구멍에 빛을 쏠 때
구멍이 크면 빛의 경계가 흐릿하게 되고
구멍이 작으면 빛의 경계가 또렷하게 됩니다

이것은 눈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동공의 크기가 크면 들어오는 빛의 양이 많아져
경계가 흐릿하게 될 것이고
동공의 크기가 작으면 들어오는 빛의 양이 적어져
경계가 또렷하게 될 것입니다



만약 동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면
멀리 있는 물체를 볼 때 동공을 작게 만들어
더 또렷하게 볼 수 있지만
안타깝게도 동공은 의지대로 움직일 수 없습니다

하지만 눈꺼풀은 원하는 대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눈을 찡그리면 눈꺼풀에 의해 동공이 가려져
동공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줄어들게 되니
경계가 또렷하게 될 것입니다

그럼 물체가 평소보다 더 잘 보이게 되겠죠


즉 멀리 있어 잘 보이지 않는 무언가를 볼 때
무의식적으로 눈을 찡그리는 것은
그 무언가를 더 잘 보기 위한 노력이었던 것입니다

물론 들어오는 빛의 양이 줄어들어
약간 어둡게 보일 순 있겠지만
눈을 찡그리면 흐릿해 잘 볼 수 없었던 것도
잘 보이게 됩니다

이런 현상은 핀으로 구멍을 뚫어 보는 것 같다고 해서
핀홀 효과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때로는 멀리 있는 것을 보기 위해
손으로 망원경을 만드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 역시 핀홀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그냥 보는 것보다 손으로 망원경을 만들면
시야는 좁아지겠지만 더 또렷하게 볼 수 있습니다

시력이 좋으면 핀홀 효과가 크게 느껴지지 않고
시력이 나쁘면 핀홀 효과가 크게 느껴진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우주에서 가장 무서운 사진 속 주인공은 어떻게 됐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이 사람은 어떻게 복귀 했을까

여러분들은 우주에서 가장 무서운 사진이라는
이 사진을 보신 적이 있나요?

우주선과 연결된 안전장치 없이
우주를 떠다니고 있는 사람이 찍힌 이 사진은
놀랍게도 합성 사진이 아니라
NASA에서 직접 올린 사진이라고 합니다

물론 가장 무서운 사진이라고 하며 올린 건 아니지만

끝없는 우주 그리고 홀로 남겨진 사람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가장 무서운 것이라는 것에 공감이 가긴 합니다

그런데 사진을 찍을 때는 그렇다 치더라도
사진을 찍은 뒤에 다시 복귀를 해야 했을 텐데...
이 사람은 도대체 이후에 어떻게 됐을까요?

 



우주 비행사가 우주선 밖으로 나와 행동하는 것을
우주유영이라고 합니다

우주에는 공기도 없고 마찰도 없기 때문에
우주선에서 나가 무언가를 한다는 것은
꽤 위험한 일이지만

미지의 세계를 떠다닐 수 있다는 것 때문에
꽤 멋질 일이기도 합니다

 


우주유영은 우주선과 연결되어 있는 로봇 팔이
우주 비행사와 연결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우주선과 우주 비행사가 로프로 연결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우주에서는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우주선으로 돌아올 수 있는 수단이 없다면
상당히 위험해질 수 있어 이런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죠



그런데 이 사진 속 우주 비행사는 우주선과 연결된 장치가 전혀 없습니다

사진 속 인물은 브루스 맥캔들리스 2세이며
사진은 1984년 2월 7일에 찍은 것입니다

1984년 2월 3일 NASA는 통신위성 배치 임무를 위해
챌린저 우주 왕복선을 우주로 발사합니다

이때 우주선에 타고 있던 사람 중 한 명이
브루스 맥캔들리스 2세인데 

우주에 도착하고 4일 후 그는
로봇 팔이나 로프 없이 유영을 하는 임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임무 수행 중 그가 사용한 장치는
MMU라고 불리는 유인 기동 장치인데

브루스는 유인 기동 장치를 수동으로 조종해 
우주선으로부터 98m나 멀어졌으며
이 임무로 우주선에서 연결된 장치 없이 우주를 유영하는
최초의 인물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때 유영을 하며 찍은 사진이 바로
가장 무서운 사진으로 알려진 이 사진입니다

물론 촬영 이후 브루스는 다시 장치를 작동시켜
우주선으로 안전하게 돌아오기까지 했습니다



영화 그래비티에는 유인 기동 장치를 이용해
우주를 유영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유인 기동 장치에 있는 연료 탱크 안에는
질소 가스가 채워져 있는데
가득 차게 된다면 무게가 148kg 정도 된다고 합니다

지구에서라면 엄청난 무게지만
우주에선 중력이 거의 없기 때문에 별것 아닌 무게가 됩니다

 


유인 기동 장치는 질소를 분사해 추진력을 얻어 앞으로 나아가는데
이때 속도는 초속 25m 정도 되며
풀 충전했을 때 6시간까지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로봇 팔이나 로프에 비해 움직임이 자유롭고
멀리 나아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장치가 갑자기 고장나거나 컨트롤이 미숙하면
우주 미아가 될 수 있다는 큰 단점을 가지고 있어
안전성의 이유로 현재는 사용하고 있지 않는 장치라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