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피가 뼈에서 만들어지는 이유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피는 왜 뼈에서 만들어질까

몸 안을 돌면서 세포에게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고
산소를 전달해 주면서 이산화탄소를 내보내는 역할을 하면서

몸의 온도와 수분을 조절하고
병균의 침입을 막으며 면역력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피는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심장은 필요한 곳에 피를 보내는 역할을 하지만
이곳에서 피가 만들어지지는 않습니다

피는 뼈에 있는 골수에서 만들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도대체 어떤 원리로 피를 만들어내는 것이며
왜 하필 뼈에서 피가 만들어지는 것일까요?




뼈는 골격을 형성하는 것 이외에도
장기를 보호하거나 신체를 움직이는 데 도움을 주고
피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합니다

뼈는 우리가 느끼지 못하지만
끊임없이 없어지고 재생되는 것을 반복합니다

 


이것을 골흡수 골형성이라고 하는데
골형성이 골흡수되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면
뼈가 재생되지 않고 양이 감소해 골다공증이 생기게 됩니다

뼈는 겉으로 봤을 때 아주 단단한 것 같지만
사실 속은 아주 작은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부분을 해면골이라고 하는데
이곳에 많은 혈관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안쪽은 부드러운 조직인 골수로 채워져 있죠


골수에는 혈액을 만들어내는 줄기세포가 존재합니다
이것을 조혈모세포라고 합니다

이 세포는 끊임없이 분열하며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분화(바뀜)합니다

이렇게 바뀐 피는 골수에 의해 뼈에 있는 혈관으로 들어가게 되고
더 큰 혈관으로 이동하면서 뼈 밖으로 내보내지게 됩니다

이렇게 매일 만들어지는 피는 하루에 수천억 개 정도 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왜 하필 뼈에서 피가 만들어지는 것일까요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의 연구에 따르면
올챙이의 조혈모세포는 신장에 존재하지만
개구리가 되는 과정에서 세포가 신장에서 골수로 이동한다고 합니다

올챙이가 자외선의 영향을 받게 되면
멜라닌 세포가 조혈모세포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후에 개구리가 되어 육지로 나가게 되면
물속에 있을 때보다 자외선의 영향을 더 받기 되기 때문에
멜라닌 세포의 보호로는 충분하지 않아 뼈의 보호를 받기 위해
세포가 골수로 이동하는 것이죠

실제로 연구팀이 제브라피쉬라는 물고기의 조혈모세포를 연구한 결과
멜라닌세포가 부족한 제브라피쉬의 조혈모세포 수가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즉 조혈모세포는 자외선에 약하다는 뜻입니다


사람 역시 육지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자외선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고
조혈모세포가 뼈에 있을 때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으니
뼈에서 피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코딱지를 자주 파면 정말 콧구멍이 커질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코딱지를 자주 파면 콧구멍이 커질까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공기 중에는 많은 이물질이 떠다니고 있습니다

작은 먼지나 세균같은 것들이 대표적이죠

코로 숨을 쉬면 이런 이물질이 코로 들어가게 됩니다
그리고 코에 있는 코털이 이물질을 몸속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막아줍니다

코에서 흐르는 콧물은 이물질과 합쳐져 굳어지는데
이것을 코딱지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코딱지는 숨 쉬는 걸 방해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손가락이나 다른 물건을 이용해 파내게 됩니다

코딱지를 파낼 때의 기분
특히 왕건이를 파냈을 때의 쾌감은 말로 표현할 수 없어
이것에 중독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그런데 코딱지를 자주 파면 콧구멍이 커진다는 이야기가 있어
조금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

코딱지를 자주 파면 정말 콧구멍이 커지는 것일까요?



사람은 태아일 때부터 성장하기 시작하며
대부분의 경우 여성은 16살에
남성은 18살에 성장이 멈추게 됩니다

물론 사람에 따라 20살까지 성장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성장하는 동안 몸의 모든 것들이 서서히 자라게 됩니다

하지만 성장이 끝나는 시기는 각각 다릅니다

코는 10살 이전에 한 번
사춘기 때 한 번 성장하게 된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너무 어린 나이에 코 성형을 하게 되면
자라면서 모양이 이상하게 변할 수 있습니다

코를 파는 것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어릴 때부터 코를 자주 파게 되면
성장하고 있는 근육을 자극해 콧구멍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사춘기가 지나고 성인이 되면
코는 더 이상 자라지 않습니다

뼈와 근육, 피부가 완전히 자리를 잡았기 때문에
모양을 바꾸고 싶어서 이리저리 주물러도
절대 바뀌지 않습니다

즉 성장이 끝난 뒤에는 코를 아무리 파도
콧구멍이 커지지 않습니다


하루 종일 코에 손가락을 넣고 있으면 모를까
가끔씩 파는 것만으로는 크기에 영향을 줄 수 없다고 합니다

만약 코딱지를 파는 것만으로 콧구멍의 크기가 바뀐다면
굳이 성형외과를 가지 않아도
얼굴 모양을 마음대로 바꿀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어릴 때보다 콧구멍의 크기가 커진 것처럼 느껴진다면
그것은 성장이 끝나지 않았을 때 코를 파
크기에 영향을 준 것이며

한쪽만 자주 파서 짝짝이가 됐다고 느껴진다면
그것은 선천적으로 콧구멍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치약대신 모래로 양치했던 조선시대(양치의 역사)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모래로 양치를 했던 조선시대

우리가 매일 하는 양치질의 역사는 아주 오래되었지만
지금처럼 칫솔에 치약을 묻히는 방식의 양치질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지금과 같은 형태의 치약은 1890년대에 만들어졌고
지금과 같은 형태의 칫솔은 1930년대에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그 당시까지만 하더라도
칫솔과 치약의 가격이 너무 비싸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지는 못했습니다

1950년대 우리나라에서도 자체적으로 칫솔과 치약을 만들어냈으며
이때부터 양치질이 대중화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칫솔과 치약이 아직 만들어지지도 않았던 조선시대에는
도대체 어떤 방법으로 양치질을 했을까요




과거에는 지금처럼 칫솔과 치약을 이용해 양치를 하지 못했지만
어쨌든 이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지금과 다른 방법으로 양치질을 했습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계란이나 굴 껍데기를 갈아 이를 닦았고
고대 로마에서는 오줌을 이용해 이를 닦았다고 합니다

이때는 칫솔이 없었기 때문에 손가락을 이용해
양치를 하지 않았을까 추측하고 있습니다

 

 


이후 시간이 흘러 그럴듯한 모습의 칫솔이 만들어지기 시작했습니다

동물 뼈나 나무에 돼지털을 박아 만들기도 했으며
좀 더 부드러운 말의 털을 이용해 만드는 경우도 있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살균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버드나무 가지를 이쑤시개처럼 만들어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을 빼내는 형식으로 양치질을 했습니다

버드나무의 가지를 양지라고 부르는데
과거에는 버드나무를 이용해 양치를 하는 것을 양지질이라고 불렀습니다

이후에 이 단어가 전해져 내려오다가 지가 치로 바뀌었고
이런 행위를 양치질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하지만 버드나무는 왕과 양반만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일반 평민들은 지푸라기를 이용해 칫솔처럼 만들어 사용하기도 했고
소금을 이용해 양치질을 했습니다

지금은 소금을 구하는 것이 어렵지 않지만
과거에는 소금은 아주 귀하고 비싼 물건이었습니다

그래서 돈이 없는 일부 사람들은 소금이 아니라
모래를 이용해 양치를 하기도 했습니다

 

 


요즘 만들어지는 모든 치약이 그런 것은 아니지만
치약의 성분으로는 연마제, 불소, 향료, 보존제가 있습니다

여기서 연마제는 이에 붙어있는 플라크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데
그 당시 모래가 바로 연마제의 역할을 했던 것이죠

이때 너무 굵은 모래를 쓰면 잇몸이 상하거나
이가 손상될 수 있어 고운 모래를 사용했다고 합니다

 


1876년 강화도 조약 이후 서양에서 만든 칫솔과 치약이 들어오게 되면서
양치질에 대한 방법이 현대처럼 바뀌긴 했지만
여전히 돈이 없는 사람들은 지푸라기나 모래를 이용했습니다

앞에서도 말했던 것처럼 1950년대 락희공업사에서
럭키치약이라는 치약을 만들어내면서
많은 사람들이 지금과 같은 양치질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