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술을 못 마시는 사람도 계속 마시다 보면 결국 늘게 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술을 계속 마시면 늘게 될까

 

술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술을 마시면 얼굴이 빨개지고
머리가 아프고 토할 것 같은 기분이 드는 사람

심한 사람은 한 잔만 마셔도 이런 증상이 오는데
이런 사람을 알쓰라고 부르기도 하죠

 

https://youtu.be/GNMKBpGsc30

 


특히 한국, 중국, 일본 같은 동아시아 사람들에게 주로 나타난다고 해서
아시안 플러시 혹은 아시아 홍조 증후군이라고 부릅니다

우리가 술을 마시면 술에 있는 알코올은
대부분이 간에서 분해됩니다


간에 있는 효소에 의해 알코올이 아세트알데히드로 분해되고
다시 한번 아세트알데히드는 아세트산으로 분해됩니다

그리고 아세트산이 몸 밖으로 배출되면서
술이 소화됩니다



술을 한두 잔 밖에 마시지 않았는데
아시안 플러시 증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바로 아세트알데히드를 아세트산으로 분해하지 못하기 때문

다시 말해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효소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알코올을 분해하는 효소는 ADH1B라는 유전자가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효소는 12번 염색체에 있는
ALDH2라는 유전자가 담당하는데

ALDH2에 변이가 일어나 효소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면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술 한두 잔에 얼굴이 빨개지는 아시안 플러시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ALDH2 유전자 변이는 아주 먼 옛날
중국에서 처음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것이 전 세계로 퍼져나가게 되었는데
약 10억 명 정도가 변이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30%가 변이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즉 열명 중 세명은 선천적으로 술을 잘 마시지 못하는 사람이라는 것입니다



아시안 플러시가 있는 사람은
술을 마셨을 때 취한다는 느낌이나
기분이 좋아지는 경험을 잘 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술을 마시는 이유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고
술을 멀리하게 되죠


요즘은 이런 문화가 많이 사라지고 있지만
성인이 되고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주변에서 술을 권하기도 하고

술을 잘 마시지 못한다고 하면
마시다 보면 느니까 조금씩 마셔보라는 소리를 듣기도 합니다


앞에서도 말했던 것처럼 술을 잘 마시느냐 마시지 못하느냐는
유전자에 의해 이미 결정되어 있는 사항입니다

마시고 토하고
마시고 토하고
마시고 토한다고 해서 늘거나 하는 그런 문제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술을 잘 마시지 못했는데
마시다 보니 늘었다 라며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것은 술이 는 것이 아니라 둔감해진 것뿐입니다
겉으로 드러나는 증상이 없을 뿐
속은 여전히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지 못해
비상사태라는 것입니다

이런 사람의 경우 알코올에 의한 문제가 더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하루 한두 잔의 음주는 오히려 건강에 좋다 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실제로 과거에는 이것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가 있기도 했지만
최근에는 건강에 좋은 적정 음주량이라는 건 없다
마시지 않는 것이 가장 좋다 라는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람을 전자레인지에 넣고 돌리면 어떻게 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전자레인지에 사람이 들어가면?

 

전자레인지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전자레인지는 전자기파 그중에서 마이크로파를 이용해
음식을 데우는 장치입니다

마이크로파는 파장이 짧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물 분자가 마이크로파와 만나면 파장에 맞춰 물 분자가 회전하게 됩니다

전자레인지에 음식을 넣고 돌리면
전자레인지에서 만들어진 마이크로파가
음식에 있는 물 분자를 회전시킵니다

 

https://youtu.be/A407N4FIHFI

 


이때 물 분자는 회전하면서 주위에 있는 다른 물 분자와 부딪히게 되는데
이러면서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 열로 인해 음식이 데워지게 됩니다

즉 전자레인지는 정확히 말하면 음식 자체를 데우는 것이 아니라
음식에 있는 수분을 데우는 장치인 것입니다


떡이나 빵을 전자레인지에 돌리면 딱딱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떡이나 빵에 있는 수분이 데워지는 과정에서
모두 날아가 버렸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70%가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합니다
전자레인지는 수분을 데우는 것이기 때문에
사람 역시 전자레인지에 들어가면
몸속에 있는 수분의 온도가 천천히 올라
그 안에서 익어버려 죽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사람은 전자레인지에 비해 굉장히 크고
가지고 있는 수분의 양도 많기 때문에
몇 초가 아니라 꽤 많은 시간을 돌려야 할 것입니다

만약 65kg의 성인 남자가 있다고 하면
이 사람이 가지고 있는 수분의 양은 45.5L입니다


가정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1000W 짜리를 기준으로
전자레인지에 들어갔을 때 사람의 온도 상승을 계산해 보면
1초에 0.005도씩 오르게 됩니다

즉 전자레인지에 들어간지 200초가 되면
체온이 1도 올라가게 됩니다



사람의 정상적인 체온은 36~37도입니다
37도 이상이 되면 미열이라고 하고
38도 이상이 되면 발열이라고 하고
40도 이상이 되면 고열이라고 합니다

고열 상태가 되면 몸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42도 이상이 되면 사망하게 될 수 있습니다

전자레인지에 들어가기 전 온도가 36도라고 한다면
40도 이상이 되면 위험해질 수 있으니


전자레인지에 들어간지 800초가 되면 체온이 40도가 되니
이때부터 온몸이 익어버리게 될 것입니다

사람의 장기는 모두 같은 양의 수분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심장이 가장 적은 수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장 먼저 익어버릴 것이고
간, 폐, 뇌 순서로 익어버릴 것입니다



물론 우리는 전자레인지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전자레인지에서 죽을 위험은 없지만
이런 일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미국에선 7주밖에 안된 아기를
전자레인지에 넣고 돌린 끔찍한 사건이 있었다고 합니다


아기는 2분 동안 돌려진 것으로 추측되는데
장기가 모두 파열됐고 몸의 60%가 화상을 입은 채로 사망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동물을 넣고 돌려 죽인 죄로
징역을 선고받은 사람도 있습니다

전자레인지는 음식을 데우는 장치입니다
생명체가 아니라 음식만 넣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대한민국 사람 100명중 4명은 없다는 이 근육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이 근육이 없다면 당신은...


긴손바닥근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지금 손을 평평한 곳에 손바닥이 위로 보이게 놓고
엄지와 새끼를 닿게 한 뒤 약간의 힘을 주고
손목을 살짝 꺾으면
지금 보이는 것처럼 이 근육이 나타나지 않는 사람이 있나요?

그렇다면 당신은 상위 4%에 해당하는 사람입니다

https://youtu.be/N4yJOKn-3dw

 


이 근육의 이름은 장장근 혹은 긴손바닥근이라고 합니다

장장근에서 첫 번째 장은 길다라는 뜻을
두 번째 장은 손바닥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름처럼 긴손바닥근은 굉장히 길게 뻗어 있는 근육인데
손을 구부리거나 손가락으로 무언가를 잡을 때 영향을 주는데
특히 엄지와 새끼의 악력에 영향을 주는 근육입니다



긴손바닥근은 과거 우리가 아직 인간으로 진화하지 않았을 때
나무를 타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오랑우탄은 긴손바닥근을 이용해 나무를 탄다고 합니다

그런데 긴손바닥근은 변이가 쉽게 일어나는 근육입니다
그래서 사람마다 형태가 다른데
일부의 사람은 이 근육이 없기도 합니다


긴손바닥근을 가지고 있지 않는 사람의 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짐바브웨로 1.5%가 없고
가장 높은 곳은 튀르키예로 60%가 없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4%가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긴손바닥근이 없다고 해서 문제가 되는 건 아닙니다


싱가포르 대학의 손 외과 의사인 샌딥 세바스틴은
긴손바닥근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는데
손목이나 악력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고 합니다

생물이 진화하는 과정에서 생존하는데 필요 없는 기관은
점점 퇴화하거나 사라지게 됩니다


사랑니나 꼬리뼈, 귀를 움직이는데 사용하는
동이근 같은 것들이 대표적인데
이것을 흔적기관이라고 합니다

긴손바닥근 역시 흔적기관 중 하나입니다

있으면 손목을 구부리거나 악력에 영향을 주긴 하지만
그 영향이 굉장히 적어 없어도 크게 문제가 없는
그런 근육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긴손바닥근은 대체품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어금니에 문제가 생겼을 때
사랑니를 어금니로 대체하는 것처럼

다른 힘줄에 문제가 생겼을 때
긴손바닥근에 있는 힘줄을 이식해서 사용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