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갈과 전쟁 중인 나라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전갈과 전쟁 중인 나라

전쟁이라고 하면 인간과 인간 간의 싸움
국가와 국가 간의 싸움이라고 쉽게 생각할 수 있지만

지금도 지구 곳곳에선 인간끼리가 아니라
다른 것들 특히 동물과 전쟁을 하고 있는 국가가 있습니다

우리는 은잡지 지난 영상을 통해
뉴트리아와 작은 전쟁을 했던 우리나라
에뮤 그리고 토끼와 전쟁을 했던 호주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번에 등장할 국가는 남미에 위치하고 있으며
아마존, 삼바 그리고 축구로 유명한
바로 브라질입니다

"삼바"

 


다른 곳이 그런 것처럼 브라질 역시
발전으로 인해 숲이 파괴되고 있긴 하지만
아직 인간의 손이 닿지 않는 곳이 많아
다양한 동물들이 살고 있는 곳입니다

상상 이상으로 커다란 메뚜기는 말할 것도 없고
빛을 받으면 무지개색으로 빛나는 무지개 보아
가장 거대한 뱀으로 알려진 아나콘다

인간의 모습으로 변한다는 전설이 있는
강에 살고 있는 아마존강돌고래

커다란 부리를 가지고 있는 왕부리새까지

 


그리고 상파울루 아래쪽에는 케이마다 그란데라는 섬이 있는데
이곳은 골든 랜스헤드라는 독사가 아주 많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만약 인간이 섬에 발을 디디게 되면
그 즉시 독사에 물려 죽어버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출입이 금지된 섬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런 것들보다 브라질 사람들을 더 위협하는 동물이 있으니

전부 자라도 5cm밖에 되지 않고
노란색이라는 뭔가 귀여운 색을 가지고 있지만
사람을 죽일 수 있는 독을 가지고 있는 이 동물은
바로 노란 전갈입니다

노란 전갈의 독은 치사율이 1% 정도이며
쏘이면 발열, 고열, 설사, 복통, 구토 발생 그리고 혈압이 올라가지만
성인의 경우 중독되어도 크게 위험하지 않다고 합니다

 


하지만 어린아이와 노인에게는 꽤 위험하며
성인도 제때 치료를 하지 않으면
사망할 가능성이 있는 독입니다

현재 남미에서 가장 위험한 전갈은
바로 노란 전갈로 알려져 있는데
해마다 노란 전갈에 쏘여 피해를 입는 사람의 숫자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과거에는 이 전갈이 브라질 사람들에게 크게 위협이 되지 않았지만
무분별한 개발로 숲이 파괴돼 서식지가 사라져
살기 위해 도시로 넘어오면서부터 문제가 시작되었습니다

"오 뭐야 누가 먹을 걸 버려놨어"

"얘들아 와서 먹어봐"

노란 전갈은 어둡고 습한 곳에서 서식하는데
도시에 와서는 인간의 손이 잘 닿지 않은 하수도에 살며
도시에 버려진 음식물 쓰레기를 먹는
바퀴벌레를 먹으며 생활하고 있습니다

서식지가 사라져 개체 수가 감소할 것으로 보였지만
오히려 도시에 적응해버린 것이죠

 


이들은 대사율이 낮아 무언가를 먹지 않아도
수개월간 살아남을 수 있으며
암컷은 1년에 두 번 임신을 하며
한 번에 최대 30마리까지 나을 수 있는데

수컷 없이 혼자서도 임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번식이 빠르고 쉽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천적으로는 새나 두꺼비 같은 동물이 있지만
역시 환경 파괴로 인해 사라져버려
그야말로 전갈이 폭주할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고 합니다



"인간들이 우리 집을 박살 내고 있어"

"아니야 잘 봐봐 오히려 새로운 집을 만들어주는 거야"

인간들에 의해 자신의 고향이 파괴되는 것처럼 보였지만
천적들의 고향도 같이 파괴되면서
오히려 더 좋은 환경이 제공된 것이죠

또 변화하는 기후와 도시의 청결 문제는
노란 전갈이 번식하는데 큰 도움을 주기까지 했습니다

 


전갈의 천적인 두꺼비 중 노란 두꺼비는
노란 전갈이 가지고 있는 독에 대한 내성이 있고
식성도 아주 좋아 노란 전갈의 완벽한 천적이었지만
더럽고 못생겼다는 이유로 마구 죽임을 당해
개체 수가 줄어들어 전갈을 막지 못하고 있습니다

노란 전갈은 몸집이 작아 건물의 갈라진 틈에서도 살 수 있어
현재 아주 위협적인 동물이 되었습니다

 


브라질에서 낸 통계를 보면
2000년에는 노란 전갈에 쏘인 사람이 12,000명 정도였지만
2018년에는 전갈에 쏘인 사람이 15만 명으로 늘어났습니다

물론 쏘인 사람에 비해 사망자 수는 많지 않다고 생각될 수 있지만
중독됐을 때 치사율이 1% 정도라고 하니
잠재적 사망자가 1년에 1500명 정도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전갈에 쏘이는 사람의 수가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점점 늘어나고 있으니
위험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겠죠




"헤이 전갈한테 당하고만 있을 거야? 대책을 내봐"

"강력한 살충제를 뿌려서 모두 죽여버리죠
전갈 따위가 인간의 무기를 이길 수나 있겠어요?"

브라질 정부는 커져가는 피해를 막기 위해
대대적인 전갈 소탕 작전을 시작합니다

처음에는 살충제를 뿌려 전갈을 잡으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전갈의 생존능력과 번식력을 따라갈 수 없었죠

이후 인력을 동원해 전갈을 잡으려고 했지만
너무 작아 잡기 힘들기도 했고
틈 사이로 숨어버리면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이것 역시 좋은 해결책은 되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전갈을 퇴치하는 게 인간의 힘으로는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해
동물의 힘을 빌려 퇴치하고자 했습니다

바로 자신들이 내쫓았던
노란 두꺼비를 이용해서 말이죠



노란 두꺼비는 노란 전갈과 비슷한 곳에서 서식하며
노란 전갈이 가지고 있는 독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고
전갈을 먹으며 자라기 때문에
전갈이 날뛸 수 없도록 개체 수를 조절해 주는 역할을 했었습니다

실제 실험 결과 두꺼비는 전갈을 먹으면서 전갈에 쏘이기도 했지만
아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전갈 10마리에서 추출한 독을 직접 주입했는데도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고 합니다

 


심지어 두꺼비 역시 노란 전갈처럼 야행성이고
여름에 활발하게 활동하기 때문에
전갈에 대한 완벽한 천적이었던 것이죠

환경 파괴로 인해 전갈과 두꺼비 모두 서식지를 잃어버렸지만
크기가 작았던 전갈은 도시에 적응을 했고
크기가 컸던 두꺼비는 도시에 적응하지 못해
개체 수가 줄어들었습니다

인간 때문에 전갈의 개체 수가 늘어나 피해를 입자
인간 때문에 개체 수가 줄어든 두꺼비에게
다시 도움을 청하는 상황이 뭔가 웃기면서도 안타까운 것 같습니다



은잡지에 업로드되었던 호주 회색토끼 전쟁 영상을 보신 분이라면
아마 두꺼비를 이용해 전갈을 잡으려는 브라질의 방법이
많이 의심스러울 것입니다

호주는 불어나는 토끼를 막기 위해 여우를 들여왔는데
여우의 개체수가 너무 늘어나는 바람에
오히려 더 큰 피해를 봤기 때문이죠

 


브라질은 오늘도 전갈과 전쟁을 치르고 있습니다

두꺼비를 투입한다고 해서 정말 전갈을 몰아낼 수 있을지
만약 전갈을 몰아냈다면 다음에 남은 두꺼비를 어떻게 할 것인지
두꺼비에 의해 또 다른 피해가 발생하는 것은 아닌지
아무것도 알 수 없는 상황

환경 파괴로 인해 브라질 사람들이 받는 피해는
이제 그들이 해결해야 할 커다란 숙제가 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까치 까치 설날은 왜 하필 어저께일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까치까치 설날은 왜 어저께일까

12월 31일 한 해의 마지막 날이 지나고
1월 1일이 되면 새로운 해가 시작됩니다

우리나라는 한 해의 첫날을 기리기 위해
그날을 명절로 정해 가족과 만나 덕담을 나누는 풍습이 있습니다
이 명절을 설날이라고 하죠

설날은 양력 1월 1일인 양력설과
음력 1월 1일인 음력설이 있는데
보통 설날이라고 하면 음력설을 이야기합니다

설날은 떡국, 세뱃돈, 윷놀이
그리고 설날 노래 같은 것들이 떠오르는 날인데
설날 노래 가사를 잘 보면
까치 설날은 어저께 그리고 우리 설날은 오늘이라고 나옵니다

도대체 왜 설날 전날을 까치의 설날이라고 말하는 것일까요


youtu.be/0c7g_wgTd9c


설날이라는 동요는 고드름, 기찻길옆, 고기잡이, 어린이날 노래를 작곡한
윤극영 동요작곡가가 1924년에 만든 노래입니다

왜 하필 까치의 설날이 어저께인지
정확한 기록이 남아있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추측만 존재할 뿐입니다

 


먼저 까치라는 새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새인데
깍깍거리는 작은 새라는 의미로 까치라고 이름을 지었다고 합니다

까치는 깍과 아치가 합쳐진 말인데
여기서 아치가 작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죠

 


아치라는 말은 현대에 와서 사용하지 않는 말이 되었지만
과거에는 아찬 혹은 앛-으로 사용되면서
작은 것, 시작하는 것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태양이 떠오르고 하루가 시작되는 때를 아침이라고 하는데
앛에 ㅁ이 합쳐져 아침으로 불린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것과 마찬가지로 과거에는 설날 전날
즉 1월 1일 전날 12월 30일(음력)을
작은 설날 혹은 설날이 시작되는 날이라고 해서
아찬설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었던 조선시대 역학서를 보면
수세를 아찬설밤 쇠오다 라고 해석했는데
여기서 수세는 섣달그믐날 밤 잠을 자지 않고
밤을 새우는 풍속을 말합니다

섣달그믐날 밤은 음력 12월 30일을 뜻하니
아찬설이라는 것은 설날 전날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시대가 흘러 동요가 만들어질 때쯤에는
아찬, 아치라는 말은 사용하고 있지 않았지만
음을 맞추기 위해 아치설을 까치설로 바꿔서 동요를 만든 것이 아닌가
추측하고 있습니다

 



또 까치는 지능이 높고 후각이 발달되어 있어
주위의 냄새뿐만 아니라 사람의 냄새도 기억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낯선 사람을 보면 경계의 표시로 마구 울어댑니다

설날 전날에는 타지에 있던 자식들이 모여들기 때문에
까치는 설날 전날에 평소보다 더 많이 울게 됩니다

우리 조상들은 까치의 이런 행동을 보고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고 생각했던 것입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설날 동요에
까치가 등장하는 것이 아니냐 하는 추측도 있습니다

영상이 업로드된 오늘은 음력 12월 30일
까치의 설날이고 내일은 우리의 설날입니다

다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연초에 계획했던 것들 다시 한번 다짐하며
목표를 이룰 수 있는 한 해가 되길 바라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설날은 언제부터 3일 연휴였을까(설날의 역사)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설날은 언제부터 3일 쉬었던 걸까

과거 농사가 중요시되던 때
달마다 좋은 날을 선택해

풍년, 건강, 행복 같은 것들을 기원하며
가족 친척들과 모여 덕담을 나누고 맛있는 음식을 먹는 날을
명절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명절은 설날, 대보름, 한식
초파일, 단오, 유두, 백중, 추석
동지 같은 것들이 대표적이지만

지금은 그 의미가 많이 퇴색돼
명절이라고 하면 설날과 추석만 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설날과 추석은 3일이라는 긴 연휴가 있기 때문에
명절의 의미가 아직까지 유지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설날은 도대체 언제부터 3일을 쉬었던 것일까요



보통 설날이라고 하면 음력 1월 1일을 말하는 것이며
설날 전날, 다음날까지 해서 총 3일의 연휴가 있습니다

언제부터 특정 날짜를 명절로 지정했는지 정확하게 알 순 없지만

삼국시대의 정사가 기록된 김부식의 삼국사기에는
백제 고이왕(238년), 책계왕(287년)때
한 해의 첫 번째 달인 정월에
동명왕에게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고

 

 


중국 수나라의 정사가 기록된 수서에는
신라인들이 원일(元日) 아침에 잔치를 열고
일월신에게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고려와 조선시대로 넘어오면서 명절에 대한 의미가 더 커지게 되었고
고려시대에는 설날, 정월 대보름, 삼짇날, 팔관회
한식, 단오, 추석, 중구, 동지를 9대 명절로 삼았으며

조선시대에는 설날, 한식, 단오, 추석을 4대 명절로 삼았습니다

 

 

고려시대의 역사서인 고려사에 따르면
고려시대에는 매달 1일, 8일, 15일, 23일이 휴일이었으며
설날에는 7일, 정월 대보름에는 3일
그리고 추석에는 하루를 쉬었다고 합니다

조선시대는 기록이 명확하게 남아있지 않지만
고려의 영향을 받아 비슷하게 쉬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쭉 이어져 내려오다가
1894년 갑오개혁 때부터 서서히 바뀌게 되었습니다


갑오개혁 때 태양력이 들어오게 되면서
1895년 음력 11월 17일이 1896년 양력 1월 1일로 바뀌게 되었고
설날은 2월달로 넘어가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일제강점기 때 일본이 민족말살정책을 펼치면서
조선 역시 일본처럼 양력 1월 1일을 명절로 지정해 버렸습니다

광복 이후 음력설은 명절 대접을 받지 못했으며
양력설이 공식적인 설날로 지정되면서
설날 다음날, 다다음날까지 휴일이 되었습니다

안타깝게도 이때 음력설은 공휴일이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일본에 의해 탄생한 양력설을 인정하지 않았고
공휴일이 아니었음에도 음력설에 더 크게 차례를 지냈습니다

나라에서는 이중과세(설을 두 번 지냄)라고 하며
음력설을 지내지 못하게 탄압하던 때도 있었는데
1981년의 조사에 따르면 음력설을 지내는 국민이 81.8%나 됐다고 합니다

 


결국 1985년 정부는 음력설을 민속의 날이라고 부르며
하루만 쉴 수 있도록 공휴일로 지정했습니다

민속의 날이라는 명칭은 1986년부터 1988년까지 사용되다가
1989년 공휴일에 관한 규정을 개정하며
음력설이 다시 설날이라는 이름을 되찾았고
이때부터 음력설이 3일 연휴로 바뀌었습니다

양력설은 1989년까지 3일 연휴였다가
1990년부터 이틀만 쉬는 것으로 바뀌었고
1999년 이후로 하루만 쉬는 것으로 바뀌어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