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교정기는 어떻게 이를 가지런하게 해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교정기는 어떻게 작동할까

 

교정기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아기가 태어나고 6개월 정도 지나면
아래 앞니부터 시작해 20개의 유치가 나오게 됩니다

그리고 만 6세가 되면
아래 앞니부터 흔들리기 시작해 유치가 빠지고
28개의 영구치가 나오게 되죠(사랑니 제외)

 

 


영구치가 나올 때 선천적으로 턱이 작거나
잇몸이 약하거나 손가락 빠는 습관을 계속 가지고 있다면

이가 삐뚤삐뚤하게 나오게 되는데
이것을 바로잡기 위해 교정기를 사용하곤 합니다

이는 단단하게 박혀있기 때문에 쉽게 움직이지 않지만
참 신기하게도 교정기를 끼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이가 가지런해집니다

도대체 어떤 원리로 교정기는 이를 가지런하게 해주는 것일까요



삐뚤삐뚤한 이를 가지런하게 교정하는 것은
미적인 이유도 있지만

양치를 하기가 어려워 충치가 생길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교정기는 크게 브라켓과 와이어로 나눌 수 있습니다

브라켓을 특수한 접착제를 이용해 이에 단단히 고정시키고
브라켓과 브라켓을 와이어로 연결하면 교정 준비가 끝납니다

이때 모든 이를 가지런하게 정렬하기 위한 공간이 부족하면
송곳니 옆에 있는 작은 어금니를 뽑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를 교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와이어입니다


원래 가지고 있던 모양에서
변형되어 다른 모양이 되어도
다시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오는 합금을
형상기억합금이라고 합니다

교정기에 사용되는 와이어는 형상기억합금입니다



삐뚤삐뚤한 이에 브라켓을 삐뚤삐뚤하게 붙이고
이것을 연결해 삐뚤삐뚤해진 와이어는
시간이 지나면서 다시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갑니다

와이어는 결국 이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가면서
이에 힘을 가하게 되죠


이는 눈으로 보이는 것보다 훨씬 더 길고 깊게 박혀있기 때문에
절대 움직이지 않을 것이라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이는 눈에 보이는 치관과 잇몸에 박혀 있는 치근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치근은 턱뼈와 연결된 치조골이 잡아주고 있고
치주인대가 치근과 치조골을 연결시켜 줍니다


와이어가 이에 힘을 가하면
이는 한쪽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게 되고
한쪽 치주인대가 압박을 받게 되면서
염증 반응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때 뼈를 녹이고 파괴하는 세포인 파골세포가
압박을 받는 쪽의 치조골을 파괴해 공간을 만들어주고

뼈를 생성하는 세포인 조골세포가
반대편에서 치조골을 생성해 공간을 채워줍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공간으로 이는 조금씩 이동합니다


상태에 따라서 스프링이나 고무줄을 이용하기도 하고
스크류라고 부르는 작은 나사를 심는 경우도 있는데

이 과정은 와이어가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갈 때까지 반복됩니다


파골세포가 치조골을 파괴하고
조골세포가 치조골을 만들면서
삐뚤삐뚤했던 이가 아주 천천히 조금씩 조금씩
가지런히 자리를 잡게 됩니다

쉽게 말해 교정은 이를 고정하고 있는 뼈를 다시 생산해
위치를 바꾸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돈을 다른 사람 계좌로 잘못 보냈을 때 어떻게 해야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돈 잘못 보냈을 때 대처법

 

착오송금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내가 가진 돈을 다른 사람의 계좌로 보낼 때
그 사람은 어디 은행을 쓰고 있는지
계좌번호는 무엇인지, 이름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야 합니다

그래서 돈을 보낼 때 혹시라도 실수하지 않기 위해
이 부분을 꼼꼼히 살펴보곤 하죠

하지만 꼼꼼히 살펴본다 하더라도
가끔은 실수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https://youtu.be/_fI9SoMY3-Y

 


혹은 급한 마음에 맞겠지 하며 돈을 보냈는데
다른 사람에게 보내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죠

에이 돈을 잘못 보내는 사람이 어딨어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 돈을 잘못 보내는 일이 2022년에는 5400건 정도
2023년에는 5700건 정도 있었다고 합니다

금액으로 치면 2022년에는 70억 원 정도
2023년에는 96억 원 정도입니다



상황을 하나 가정해 봅시다
A가 C에게 돈을 보내야 하는데 실수로 B에게 보냈다고 해봅니다

돈을 잘못 보냈다면 이체를 취소하는 방법은 없기 때문에
곧바로 은행에 착오송금 반환 문의를 해야 합니다


이때 A와 B가 같은 은행이라면 상관없지만
다른 은행이라면 A가 사용하는
즉 돈을 보낸 사람이 사용하는 은행에 문의를 하면 됩니다

그럼 은행이 B 혹은 B가 사용하는 은행에 연락을 해서
잘못 보낸 돈을 A에게 되돌려주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연락을 받은 B는 잘못 들어온 돈이 있으니
돌려주겠다는 것에 동의를 하면
이후에 은행이 알아서 처리해
A는 잘못 보낸 돈을 돌려받을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B가 연락이 되지 않거나
돌려주겠다는 것에 동의를 하지 않으면
A는 잘못 보낸 돈을 돌려받지 못합니다


실제로 2016년부터 2020년 8월까지
돈을 잘못 받은 사람의 50% 이상은
잘못 받은 돈을 돌려주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B가 돈을 돌려주지 않으면
은행은 더 이상 해줄 수 있는 것이 없습니다
A가 직접 부당이득 반환청구 소송을 걸어
B에게 돈을 받아내야 합니다



그런데 소송을 거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닙니다
절차도 복잡하고 정신적 스트레스도 엄청나고
시간도 오래 걸리기 때문이죠

그래서 과거에는 이런 이유 때문에
돈을 포기하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돈을 보내는 방법이 간편해지면서
돈을 잘못 보내는 건수가 계속 늘어나자
2021년 금융위원회에서 착오송금 반환 지원 제도 라는 것을 만들었습니다

이것은 은행이 아니라 예금보험공사가 진행하는 것으로
예금보험공사에 반환 지원 신청을 하면
예금보험공사가 B에게 연락해 잘못 보낸 돈을 대신 받아줍니다


만약 B가 돌려주겠다는 것에 동의하지 않으면
예금보험공사는 법원을 통해 지급명령과 강제집행을 진행해
돈을 받아낸 뒤 A에게 돌려주게 됩니다

이때 내가 잘못 보낸 돈을 전부 받을 수 있는 건 아니고
예금보험공사가 돈을 돌려받는 과정에서 발생한 비용은 제외하고
돌려준다고 합니다

이 제도가 처음 만들어졌을 땐 5만 원 이상 1000만 원 이하인 경우에만
반환 신청을 할 수 있었는데
2023년부터 5000만 원 까지로 늘어났습니다



법률상 어떤 원인 없이 남에게 손해를 주면서
내가 얻는 이득을 부당이득이라고 합니다

부당이득은 돌려줘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내 계좌로 잘못 들어온 돈은 부당이득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잘못 보낸 사람에게 돌려줘야 하죠

만약 이 돈을 그냥 써버린다면
그것은 횡령죄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돈을 잘못 보냈다고 하면서
돌려달라고 하는 보이스피싱도 있다고 합니다

잘못 받은 돈을 돌려주면 오히려 피싱범이
나를 보이스피싱으로 신고해 계좌를 정지시키고
추가로 돈을 요구하게 되죠

그러니 혹시라도 잘못 받은 돈이 있다면
개인 간 연락을 하는 것보다
은행에 연락을 하는 것이 안전한 방법이라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야구선수들 눈 밑에 검은색은 대체 뭘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눈 밑에 하는 검은 칠은 대체 뭘까

 

아이 블랙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우리나라 프로야구가 한참입니다

야구는 여러 스포츠 중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종목 중 하나입니다

 

https://youtu.be/rP6i_79I9IE

 


야구선수의 모습을 보면 눈 밑을
검은색으로 칠하거나 테이프를 붙여놓곤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프로야구 경기의 경우
고척에 있는 경기장을 제외하면
모두 천장이 뚫려있는 곳에서 진행됩니다


그래서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는데
특히 햇빛은 시야를 방해해
경기력이 떨어지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태양빛은 눈으로 직접 들어오기도 하지만
광대뼈로 들어온 빛이 반사돼 눈으로 들어오기도 합니다


눈 밑을 검은색으로 칠하는 이유는
바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흰색은 빛을 반사하고 검은색은 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광대뼈로 들어온 빛이 반사되지 못하게
흡수시키는 역할인 것이죠


쉽게 말해 야구선수들의 눈부심을
조금이나마 줄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아이 블랙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아이 블랙을 처음 시작한 야구선수는
미국의 전설적인 야구선수 베이브 루스입니다


1930년대부터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실력이 뛰어난 선수이다 보니 많은 선수들이 이것을 따라 해
유행처럼 번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아이 블랙은 실제로도 효과가 있는 것일까요?


2003년 예일 대학에서 진행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이 블랙을 한 사람은 안한 사람에 비해
눈부심을 덜 느꼈다고 합니다

아이 블랙이 눈부심을 방지하는데 실제로 효과가 있다는 것이죠

그런데 이때 검은색 테이프를 붙이는 것은 효과가 없었고
검은색으로 칠하는 것이 효과가 있었다고 합니다


2005년 뉴햄프셔 대학에서도 같은 연구를 진행했는데
역시 아이 블랙을 한 사람은 눈부심을 덜 느꼈다고 합니다

하지만 눈동자가 파란색인 사람에게는 효과가 없었습니다

자연적으로 아이 블랙을 가지고 있는 동물도 있습니다

송골매나 붉은발매, 치타 같은 동물이 대표적이죠
이들의 아이 블랙은 야구선수들과 마찬가지로
눈부심을 줄여 먹이를 더 잘 볼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처럼 아이 블랙은 안 하는 것보다
분명 효과가 있긴 하지만

이것으로 인해 경기력이 올라가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의문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하지 않는 선수들도 많이 있고
팬 서비스 용도로 사용하거나
무언가 메시지를 적는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