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보다 빠르다! 경이로운 수준의 해파리 독침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해파리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뇌도 없고 심장도 없지만
지구의 바다에서 6억 년이나 살아온
이 녀석의 이름은 해파리입니다
해파리는 몸의 95%가 물로 이루어져 있고
젤리처럼 흐물흐물하게 생겨 별볼일 없을 것 같지만
독을 가지고 있어 바다에서 만나면
피해야 할 동물 1순위입니다
실제로 해파리 쏘임 사고는 매년 발생하고 있는데
지난 5년간 1만 건이나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해파리가 너무 많이 출현하면
안전을 위해 해수욕장을 일시적으로 폐쇄하기도 합니다
해파리는 우산처럼 생긴 몸통
먹이를 입으로 가져가는 역할을 하는 구완
촉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촉수에는 자포라고 부르는 독침이 들어있는 세포가 있죠
해파리의 독침은 발사되기 전에는
스프링처럼 감겨있는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마치 총알을 장전해 놓은 것처럼 말이죠
해파리 촉수에 무언가 닿으면
세포의 입구가 열리며 장전된 독침이 발사돼
피부를 뚫고 들어가 독을 주입하는데
독침은 해파리가 의도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발사됩니다
해파리의 독침이 얼마나 빠른가에 대한 자료는 찾지 못했지만
자포를 가지고 있는 다른 동물과 비교해 보면
0.01초~0.0000007초 만에 발사된다고 하니
해파리 역시 이 정도일 것이라고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반자동 소총의 경우 방아쇠를 당기고 총알이 발사되기까지
0.01초 정도 걸린다고 합니다
해파리 독침의 반응속도는 총보다 빠른 수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눈을 한번 깜빡이는데 걸리는 시간은 0.1초 정도 됩니다
눈을 한번 깜빡이는 동안
해파리는 독침을 최소 10번 발사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해파리의 촉수에는 독침이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파리 촉수에 닿으면
그 순간 여러 개의 독침이 한 번에 발사되죠
그래서 해파리에 쏘이면 채찍에 맞은 것처럼
상처가 길게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해파리에 쏘이면 두통, 구토, 근육경련
호흡곤란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하면 사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심지어 해파리가 죽어도 독침은 발사되기 때문에
죽은 해파리가 보여도 만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바다에 해파리가 많이 보이면 들어가지 않는 것이 좋고
포털사이트에 해파리 신고를 검색한 뒤
국립수산과학원 해파리 신고 웹에 실시간 사진을 찍어 올려주면
해파리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만약 해파리에 쏘였다면 빠르게 물 밖으로 나와야 합니다
그리고 상처 부위를 씻어내야 하는데
이때 수돗물이나 생수를 이용하면
자포가 자극받아 촉수에 남아있는 독침이 발사될 수 있으니
바닷물을 이용해 씻어야 합니다
만약 통증이 조금 있다면 온찜질을 하면 도움이 될 수 있고
통증이 심하다면 119의 도움을 받거나 병원에 가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노무라입깃해파리, 보름달물해파리
커튼원양해파리, 유령해파리 같은 해파리를 자주 볼 수 있습니다
모두 독성이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하는데
국립수산과학원은 출현 정도에 따라
해역별로 예비주의보, 주의보, 경보 단계로 나누어
해파리 특보를 발표하고 있으며
해양수산부는 국립수산과학원에서 발표한 해파리 특보에 따라
관심, 주의, 경계, 심각 단계로 나누어 해파리 위기경보를 발령하고 있습니다
해파리 특보는 국립수산과학원 홈페이지에서
예보, 속보 -> 해파리속보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으니
바다에 가기전 꼭 확인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은근한 잡다한 지식 > 생활 잡다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박에서 절대 잃지 않고 무조건 딸 수 있는 기적의 베팅법 (0) | 2025.07.06 |
---|---|
여러 나라의 저승사자 알아보기 (0) | 2025.06.29 |
100달러(13.5만원), 1만엔(9.5만원)은 있는데 왜 10만원은 없을까 (0) | 2025.06.26 |
고래가 죽은 뒤 바닷속에서 펼쳐지는 놀라운 일 (0) | 2025.06.22 |
녹슨 못을 밟으면 당신에게 발생할 수 있는 끔찍한 일 (0) | 2025.06.19 |
벌레 녀석들이 왜 내 머리 위로 모이는 걸까 (0) | 2025.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