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자려고 누우면 눈물이 흐르는 이유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난 잘때 눈물을 흘린다

우리는 슬플 때 눈물을 흘립니다
너무 웃긴 상황일 때도 눈물을 흘리죠

매운 걸 먹거나 양파를 썰 때도 눈물을 흘립니다

그런데 때로는 자려고 누웠는데
슬프지 않은데도 눈물이 주르륵 흐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심한 사람은 베개가 축축하게 젖어버릴 정도로
폭풍눈물을 흘리기도 합니다

그냥 자려고 누웠을 뿐인데
왜 눈물이 흐르는 것일까요

 




우리가 인지하지 못하지만
평소에도 눈물은 끊임없이 만들어지고
끊임없이 흐릅니다

눈물은 눈 위쪽에 있는 눈물샘에서 만들어집니다
만들어진 눈물은 눈을 보호하기 위해
눈 전체에 분포됩니다


분포된 눈물은 다음에 만들어지는 눈물에게 자리를 양보하기 위해
눈 끝에 있는 눈물점으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눈물관을 통해 눈물주머니로 이동하게 되죠

눈물주머니로 이동한 눈물은
비루관을 통해 코로 이동한 뒤
밖으로 배출되거나 숨 쉬는 것 때문에 그대로 마르게 됩니다



슬프거나 매운 걸 먹게 되면
눈물샘에서 필요 이상으로 많은 눈물이 만들어집니다

눈물점으로 들어갈 수 있는 눈물의 양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때 만들어진 눈물은 눈 밖으로 나와 볼을 타고 흐르게 됩니다


또 눈물점, 눈물관, 눈물주머니, 비루관이
염증이나 노화에 의해 좁아지거나 막히면
눈물이 배출되지 못하기 때문에 눈 밖으로 나와 볼을 타고 흐르게 됩니다

이런 증상을 눈물흘림증 혹은 유루증(流淚症)이라고 합니다


평소 우리는 중력의 영향을 받으며 살아갑니다
유루증이 없는 경우 눈물샘에서 만들어진 눈물은
중력 때문에 자연스럽게 위에서 아래로 흐르게 됩니다

자려고 누우면 눈물이 흐르는 방향이 바뀌게 됩니다

 


오른쪽으로 누우면 오른쪽 눈의 눈물샘이 아래쪽으로
눈물점이 위쪽으로 가게 되죠

하지만 여전히 중력은 위에서 아래로 작용하기 때문에
눈물샘에서 나온 눈물이 눈물점으로 이동하기 힘들어집니다

그래서 일부의 눈물이 눈물점으로 가지 못하고 밖으로 나와 흐르는 것이죠

특히 요즘에는 자기 전에 스마트폰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스마트폰 화면에 집중하다 보면 눈을 깜빡이는 횟수가 줄어들게 되고
눈이 말라 눈물샘에서 만들어지는 눈물의 양이 늘어나게 됩니다

그런 만큼 더 많은 눈물이 눈물점으로 가지 못하고
눈 밖으로 나와 베개를 적시는 것입니다

평소에는 눈물이 흐르지 않다가
잘 때만 눈물이 흐른다면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너무 많이 흐른다면
자기 전에 스마트폰을 하지 않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기러기는 왜 V자로 나는 걸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왜 V자로 나는 걸까

특정 계절에 왔다가 특정 계절이 되면 떠나가는 새를
우리는 철새라고 부릅니다

가을에 와서 겨울을 나고 봄에 떠나는 철새를 겨울 철새라고 하는데
대표적인 새가 바로 기러기이죠

아마 다들 기러기가 이동하는 모습을 본 적이 있을 거예요
이들은 단체로 이동하는데
이동할 때 한 줄로 가든지 뭉쳐서 가든지 하지 않고
V자 대형을 이루며 이동을 합니다

기러기는 왜 V자를 그리며 하늘을 나는 것일까요




기러기는 러시아 시베리아에서 번식을 하다
날씨가 추워지면 비교적 덜 추운 우리나라로 오게 됩니다

시베리아에서 우리나라까지 거리는 약 3500km 정도 되는데
기러기는 다른 이동 수단 없이
오직 자신의 두 날개를 이용해 이 거리를 날아오죠

이렇게 먼 거리를 이동하려면
당연히 힘들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이들은 에너지를 아낄 수 있는 비행 방법을 찾아야 했습니다

 


새가 하늘을 날려면 날개를 움직여야 합니다
날개가 움직이면 주변 공기가 소용돌이치게 되는데
날개 뒤쪽으로는 상승기류가
몸통 뒤쪽으로는 하강기류가 일어납니다

하강기류는 공기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하강기류를 타면 날기 위해 더 많은 에너지를 써야 합니다

하지만 상승기류는 공기가 위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승기류를 타면 더 적은 에너지로 더 많은 비행을 할 수 있겠죠



장거리 비행을 하기 위해선 상승기류를 타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 마리의 기러기가 하늘을 날면
다른 두 마리의 기러기는 자연스럽게 양쪽 끝에 자리를 잡습니다
그리고 다른 두 마리의 기러기가 또 양 끝으로 가게 되고
또 다른 두 마리의 기러기가 자리를 잡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V자 대형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즉 기러기가 V자 대형을 이루며 비행을 하는 이유는
스웩이 아니라 에너지를 보존하기 위함이었던 것이죠

이렇게 하늘을 날다 보면
선두에 가는 기러기는 공기 저항을 그대로 받기 때문에
빨리 지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선두가 힘이 빠지게 되면
자리를 바꿔주는 식으로 비행을 한다고 합니다

이것은 영국 왕립수의대 스티븐 포르투갈 박사가 연구를 통해 밝혀낸 사실로
과학 학술지인 네이처에 실리기도 했습니다




일 년 중 일정 기간 동안 물에 잠겨있는 곳을 습지라고 합니다

습지는 탄소를 저장하고 산소를 만들어내며
홍수 발생 시 물을 저장하거나
가뭄 발생 시 물을 방출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고
영양소가 풍부하게 있어 다양한 생물이 살고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V자 대형을 그리며 힘들게 날아온 기러기는
습지에 머무르며 서식합니다

기러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철새들이 들르는 장소이기도 하죠

 


우리나라에 있는 여러 습지 중 경기도 화성시에 있는 화성습지는
철새 희귀종 및 다양한 바닷새의 서식지와 경유지로써 보존가치를 인정받아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EAAFP Site)에 등록되어 있는 곳입니다

최근에는 무분별한 개발로 전 세계적으로 습지가 많이 줄어들고 있고
화성습지도 군공항 이전 주장 이슈 등으로 위협받고 있지만


저어새, 검은머리물떼새, 알락꼬리마도요 같은 멸종 위기 종들도 많이 살고 있기 때문에
습지를 보존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를 보호하기 위해
세계 여러 나라가 모여 맺은 조약을 람사르 협약이라고 하는데
이곳에 등록된 습지를 람사르 습지라고 합니다

 


람사르 습지에 등록되기 위해선 9가지 기준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해야 하는데
화성습지의 경우 세 개의 기준을 만족하기 때문에
현재 람사르 습지에 등록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

과거에는 습지의 중요성을 잘 몰랐기 때문에
이들의 서식지를 파괴했지만
이제는 관심을 가지고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찾아야 할 때인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막에 살고 있는 펭귄이 있다고?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펭귄이 왜 거기서 나와...?

지구에서 가장 추운 곳 남극
그리고 그곳에서 살고 있는 대표적인 동물 펭귄

펭귄이 어떻게 이렇게 추운 곳에서 살 수 있는지에 대해선
지난 은잡지 영상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지구에서 가장 더운 곳이라고 하면 사막
그중에서도 모하비 사막에 있는 데스밸리입니다

참고로 이곳은 1913년 56.7도를 기록하며
지구에서 가장 더운 곳이라는 칭호를 얻었습니다

만약 가장 추운 곳에 사는 펭귄이
가장 더운 곳인 사막에 가면 어떨까요

당연히 오래 살지 못하고 죽어버리겠죠

하지만 놀랍게도 사막에 살고 있는 펭귄이 있다고 합니다




남아메리카 서쪽 칠레와 페루에 맞닿아있는 바다에는
남쪽에서 올라오는 차가운 물이 섞여
적도로 흐르는 훔볼트 해류가 있습니다

바다 생태계에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이 플랑크톤인데
플랑크톤은 온도가 높은 곳에서는 잘 살아남지 못합니다

 


훔볼트 해류는 차가운 물이 섞인 덕분에
다른 곳에 비해 10도 정도 낮은 온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곳에는 플랑크톤이 아주 풍부하게 살고 있죠

플랑크톤의 수가 많으니
플랑크톤을 먹고 자라는 물고기들도 많이 존재합니다

특히 정어리, 멸치, 전갱이 같은 물고기가 많이 있어
세계적으로 유명한 어장이기도 합니다



훔볼트 해류가 지나는 곳에는
먹을 것이 많으니 물고기를 주식으로 하는 동물들도 많이 살고 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펭귄입니다

이 펭귄은 페루와 칠레에 걸쳐있는 아타카마 사막에 살고 있는데
이곳은 세계에서 가장 메마른 곳이라 불리는 사막입니다

 


물론 아타카마 사막의 기온은 평균 20도 정도로
다른 사막에 비하면 낮은 온도라고 할 수 있지만
남극에 비하면 굉장히 더운 곳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얼음 위에서 사는 것으로 알고 있는 펭귄이
사막에 있다는 것이 그저 놀라울 따름이죠

이곳에 사는 펭귄은 훔볼트 해류 근처에 있다고 해서
훔볼트 펭귄이라고 불립니다


훔볼트 펭귄은 해류에 있는 멸치와 오징어를 주로 먹고 자라며
다른 펭귄과 비슷한 생김새를 하고 있지만
부리 부분이 분홍색을 띠고 있는데
이곳을 통해 몸에서 나오는 열을 방출합니다

어째서 펭귄이 사막에 살고 있는지 정확히 알 순 없지만
아마도 먹을 것이 풍부하기 때문이 아닌가 추측하고 있습니다


훔볼트 펭귄은 더위를 피하기 위해
땅에 굴을 파 그 안에 들어가 사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주로 4월이나 5월에 알을 낳는데
이때 번식에 실패하면 9월이나 10월에 다시 도전합니다

알을 낳을 땐 한 번에 두 개의 알을 낳지만
둘 중 한 마리는 죽는 경우가 많이 있다고 합니다


바다의 온도가 평균보다 높아지는 현상을 엘니뇨라고 하는데
최근 엘니뇨 현상이 심해지며 훔볼트 해류에 있는 물고기의 수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먹을 것이 사라지니 훔볼트 해류 근처에 사는 동물들의 수도 많이 줄어들고 있는데
훔볼트 펭귄 역시 개체 수가 많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