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오늘 먹은 음식은 언제 똥이 되어 나올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음식을 먹으면 언제 똥으로 나올까



소화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우리가 입으로 음식을 먹으면
음식은 식도에서 위로
위에서 소장으로 소장에서 대장으로 이동합니다

이러는 과정에서 필요한 영양분은 흡수되고
나머지는 똥으로 만들어져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이런 과정을 소화라고 하죠

 

https://youtu.be/b6lQbfJSaag

 


식도는 25cm 정도 되는 근육으로 이루어진 통로입니다
음식을 삼켜 음식이 식도로 가면
식도에 있는 근육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해
음식을 아래에 있는 위로 보냅니다

이것을 연동운동이라고 합니다

음식이 식도에서 위까지 전달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30초밖에 안된다고 합니다

 



음식이 위에 도착하면 위에서 강한 산성 액체인
위액이 분비됩니다

위액은 음식을 잘게 부수고
음식과 함께 들어온 세균을 죽이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위액에 있는 펩신이라는 소화 효소는
단백질을 더 작게 분해해 흡수가 잘 되도록 만들어줍니다

하루에 분비되는 위액의 양은 1~2L 정도 된다고 합니다


위액에 의해 분해된 음식은 소장의 가장 첫 번째 부분인
십이지장으로 이동하는데

위에 도착해서 십이지장에 가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어떤 음식이냐에 따라 다르지만
액체의 경우 한 시간정도
고체의 경우 두 시간정도 걸린다고 합니다

 



소장은 우리 몸에서 가장 긴 장기로 6~7m 정도 되며
십이지장, 공장, 회장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십이지장에선 탄산수소나트륨과 점액이 분비되는데
탄산수소나트륨은 염기성이기 때문에 산성인 위액을 중화시키고
점액은 위액으로부터 소장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위에서 위액이 분비되는 것처럼
소장에서도 장액이 분비되는데 


장액에 있는 여러 가지 소화 효소가 음식을 한 번 더 분해하고
소장에 있는 융모라는 작은 돌기가 영양분을 흡수합니다

그리고 음식은 대장으로 이동합니다

이때 걸리는 시간은 6시간 정도 된다고 합니다

 



대장의 길이는 1.5m 정도 됩니다
대장보다 소장이 훨씬 긴데 이름이 이런 이유는
길이가 아니라 지름의 크기로 이름을 지었기 때문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대장은 맹장, 직장, 결장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대장에서 음식에 남아있는 수분이 흡수되고
찌꺼기는 똥이 돼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대장으로 이동한 음식이 똥이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10시간 정도 된다고 합니다

즉 내가 먹은 음식이 똥이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16시간~18시간 정도 된다는 것이죠

이것은 소화 작용이 활발하게 잘 이루어지는 사람에게 해당되는 것으로
그렇지 않은 사람은 시간이 더 늘어나게 되는데
30시간 그 이상이 걸리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간혹 음식을 먹으면 곧바로 신호가 오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것을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장이 예민하게 반응해 소화가 빠르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음식을 먹지 않아도 스트레스를 받으면 신호가 와
화장실에 가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정 음식을 먹으면 신호가 오기도 하는데
이것은 소화기관이 해당 음식을 안 좋은 물질이라고 판단해
영양분을 흡수하지 않고 빠르게 보내버리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정상적인 소화 과정을 거치지 않아
수분이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설사가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먹는 것 만큼 싸는 것도 아주 중요합니다
그럼 여러분 모두들 즐똥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구름을 먹으면 어떻게 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가기(클릭)

구름을 먹으면 어떤 맛이 날까


구름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하늘을 올려다보면 구름을 볼 수 있습니다
구름을 보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이야 솜사탕처럼 생겨가지고 참 맛있겠다

라는 생각을 혹시 해 본 적 있나요?

https://youtu.be/k69PnNYNn4U

 


태양에 의해 공기가 뜨거워지면 공기는 위로 올라갑니다
위로 올라가면 기압이 낮아지기 때문에
공기의 부피가 커지고 온도는 낮아지게 됩니다

이것을 단열팽창이라고 하죠

공기에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지만
질소, 산소, 먼지, 수증기 같은 것들이 뒤섞여 있습니다


이중 수증기는 액체인 물이 기체로 바뀐 것으로
공기가 위로 올라가 온도가 계속 낮아지면
수증기는 다시 기체에서 액체, 물로 바뀌게 됩니다

이렇게 바뀐 물이 모이고 모이면 커다란 구름이 만들어지게 되죠

즉 구름은 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물을 먹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구름을 먹는 것도 불가능한 일은 아닙니다
물론 구름에 빨대를 꼽아 쪽 빨아마시는 건 안되긴 하지만 말이죠



구름을 구성하고 있는 물방울 입자의 크기는 0.01mm 정도 된다고 합니다
사람 머리카락의 지름이 0.05mm 정도 된다고 하니
얼마나 작은 크기인지 가늠할 수 있습니다

구름은 멀리서 보면 손으로 잡을 수 있을 것 같지만
아주 작은 물방울의 집합체이기 때문에
손으로 잡는 것도 컵에 담는 것도 할 수 없습니다

우리가 안개를 잡거나 담을 수 없는 것처럼 말이죠


이렇게 공중에 떠있는 아주 작은 물을 먹는다고 생각해 봅시다
먹는 방법은 그저 입을 벌렸다 닫았다 하면서
숨을 들이쉬는 것 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이런식으로 구름을 먹어도
아마 맛은 물론 먹는 느낌조차 들지 않을 것입니다


구름은 물이기 때문에 먹는 것은 가능하지만
과연 이것을 먹었다고 할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구름은 지상에서 2km 이상 높이에 떠 있습니다
구름을 먹기 위해선 비행기를 타고 가야 하지만
이렇게 높이 가지 않아도 구름을 먹을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새벽에 낮은 온도 때문에 지표면 근처에 있는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액체로 바뀌게 됩니다

이 액체가 모여 만들어지는 것을
우리는 안개라고 부르죠

안개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구름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똑같습니다

지표면 근처에서 만들어지느냐
공중에서 만들어지느냐의 차이일 뿐이죠


그렇기 때문에 안개가 낀 날 밖에 나와
열심히 안개를 먹으면 그것은 구름을 먹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사실 구름을 먹는 것은
그렇게 좋은 행위는 아니라고 합니다

구름은 물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매연이나 먼지 같은 오염물질도 있기 때문에
코에서 걸러지지 않고 입으로 바로 들어가면
어쨌거나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니 만약 먹는다면 입으로 먹지 말고 코로 먹어야 하는데
코로 먹을 땐 혹시 오해를 받을 수도 있으니
주변을 잘 살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계속 물구나무서기를 하고 있으면 어떻게 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가기(클릭)

 

계속 물구나무서면 어떻게 될까

 


물구나무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평소 서있는 것과 다르게
손을 바닥에 놓고 다리는 하늘로 향하게 한 자세를
물구나무서기라고 합니다

일반적인 상황에선 몸에 가해지는 압력을
하체가 전부 받아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생활하다 보면 엉덩이나 무릎, 발바닥이 피로할 수밖에 없죠

 

https://youtu.be/YyL5mO5bkFM

 


물구나무를 서면 이들이 받는 압력이 줄어들어
하체가 잠깐 휴식을 취할 수도 있고
하체 쪽에 몰린 혈액이 다른 곳으로 분산된다고 말합니다

또 얼굴에 피가 돌아 혈색이 좋아지고
뇌로 가는 피가 많아져 정신이 맑아지고
뇌가 활성화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말하기도 하죠

그리고 허리가 곧게 펴져 허리 건강에 좋다고 말하기도 하지만
이것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는 아직 없다고 합니다

잠깐 동안 물구나무를 서면 이런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겠지만
시간이 길어지면 이야기는 달라집니다



피는 심장에서 나와 온몸으로 퍼지게 됩니다
지구에서는 중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똑바로 있을 경우 머리보다 다리에 더 많은 피가 전달됩니다

물구나무를 설 경우 반대가 되기 때문에
다리보다 머리에 더 많은 피가 전달됩니다

그래서 얼굴이 빨개지고 눈이 충혈될 수 있습니다


이 상태가 계속되면 눈에 있는 혈관이 터져 눈에서 피가날 수 있습니다
이것을 결막하출혈이라고 합니다

결막하출혈은 보기에는 굉장히 무섭지만
특별한 치료가 없어도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는 증상으로
그렇게 심각한 상태는 아니라고 합니다



물구나무 서기를 5분 정도 하고 있으면
머리에 너무 많은 피가 몰려
눈이 받는 압력, 안압이 높아지게 됩니다

눈이 뻑뻑하고 피로하며, 눈알이 빠질 것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눈으로 들어온 정보를 전기 신호로 바꿔 뇌로 전달하는 곳이
시신경입니다

 


안압이 높아지면 시신경이 손상될 수 있는데
녹내장의 원인이 되거나 시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요가를 하는 경우 10분 이상 물구나무 서기를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은 천천히 시간을 늘렸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이런 사람이 아니라면 권장하는 시간은 1분 정도이고
더 오래 한다고 해도 5분을 넘기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중력 때문에 다리보다 머리에 더 많은 피가 전달된다는 것은
반대로 말하면 머리로 전달된 피가 다시 심장으로 돌아가는데
어려움을 느낀다는 것입니다

심장에서 나온 피는 산소와 영양분을 전달하고
이산화탄소화 노폐물을 수거해 다시 심장으로 돌아가는데

이때 돌아가는데 어려움을 느끼면
노폐물을 수거한 피가 머리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고
혈전이 만들어져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또 뇌에 있는 혈관이 터져 뇌출혈이 발생하거나
뇌가 손상돼 감각이 무뎌지고 의식이 흐려지는
뇌졸중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골반이나 무릎, 발바닥은 우리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팔이나 목은 그렇지 못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발생하기 전에
힘이 부족해 물구나무 서기를 그만둘 수밖에 없을 것이지만
억지로 버티고 있는다면 팔이나 목에 큰 손상이 올 수 있습니다



2023년 7월 미국에서 롤러코스터가 갑자기 멈춰
사람들이 거꾸로 매달리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이들은 3시간 동안 거꾸로 매달려 있었는데
다행히 모두 구출되었고 잔부상이 있긴 했지만
심각한 문제가 있는 사람은 없었다고 합니다


이처럼 어딘가에 거꾸로 매달려 있거나
꽉 끼어 거꾸로 있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된다면
사태가 더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

머리 쪽에 많은 피가 몰리게 되면 굉장히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해
심장박동이 줄어들어 피가 전달되는 속도가 느려집니다
그럼 심장 위로 전달되는 피의 양도 줄어들게 되죠


피의 양이 줄어들면 몸에 있는 장기가
충분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지 못해 제 역할을 하게 되지 못하며
이 시간이 길어지면 심각한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 몸에 있는 여러 가지 장기 중 폐가 가장 위에 있는 이유는
다른 장기로부터 받는 압박을 피하기 위함입니다

그런데 거꾸로 있으면 이것이 반대가 되기 때문에
폐가 가장 많은 압박을 받게 되고
원활한 호흡을 하지 못하게 될 수 있습니다


계속 거꾸로 된 상태로 있으면 눈에 가해지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시력 문제가 계속 심해져 결국 실명하게 될 것입니다

뇌에 가해지는 문제 역시 해결하지 못해 뇌압이 계속 높은 상태가 되는데
뇌압이 높아지면 뇌가 움직여 찌그러지거나 눌려 치명적 손상이 있을 수 있는
뇌탈출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심각한 상황인데도 계속 거꾸로 있는다면
호흡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심장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뇌에 문제가 발생해 결국 사망하게 될 것입니다


2009년 존 에드워드 존스라는 사람이
미국에 있는 너티 퍼티 동굴을 탐험하던 중
좁은 통로에 거꾸로 끼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이때 존스를 구하기 위해 많은 인력이 투입되었지만
결국 구조하는 데는 실패했다고 합니다

존스는 약 28시간 동안 거꾸로 있다
결국 호흡곤란과 심장마비로 사망했다고 합니다

즉 우리가 거꾸로 있을 수 있는 시간은
하루 정도라는 것입니다


물구나무서기를 하면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도 분명 있겠지만
이 효과를 더 키우겠다고 무리해서 시간을 늘리는 건
오히려 건강을 해치는 행위가 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