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벌집의 모양은 왜 육각형일까

 

은근한 잡다한 지식(은잡지)에는 여러분들의 뇌를 채워줄 지식, 정보 영상들이 많이 있습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벌집이 육각형인 이유

저는 곤충은 그렇게 좋아하지 않지만

그래도 벌은 꽤 친근한 곤충이긴 하네요

 

어렸을 때 할머니 댁에서 벌을 키웠었는데

어릴때부터 자주 접했던 곤충이라 그런 것 같습니다

 

하지만 무서운건 여전하죠

할머니 댁에 갔을 때 벌에 쏘인적도 꽤 많이 있고

공격을 한다는 점 때문에 마냥 귀엽게 느껴지진 않은 것 같습니다

 

벌중에서 꿀벌은 꿀을 만들어내는 굉장한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우리를 위해 만드는 것은 아니지만

어쨌든 그들이 만든 꿀을 먹을 수 있기 때문에

대중매체나 애니메이션 같은 곳에서 꿀벌은 항상 친근한 존재로 표현되는 것 같습니다

 

벌은 꽃에 있는 꿀을 삼켜 보관했다가 집으로 돌아와 뱉는다고 합니다

우리가 먹는 꿀은 꽃의 꿀과 벌의 침이 합쳐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벌은 무리생활을 합니다

그래서 하나의 집에 많은 벌들이 같이 살고 있죠

 

벌집에는 방이 굉장히 많이 있습니다

방하나에 벌 하나가 사는지 정확히 모르겠지만

어쨌든 이들은 사람처럼 내집마련에 그렇게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벌집의 모양은 특이하게 육각형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벌집은 왜 육각형일까요?

 

벌집의 주 역할은 벌의 보금자리이기도 하지만

역시 꿀을 보관하는데 있습니다

 

지구에는 중력이 존재하기 때문에 벌집을 층층히 쌓으면

위쪽에서 누르는 힘 때문에 아래쪽에 있는 방이 버티질 못합니다

게다가 위쪽에 꿀을 보관해버리면 그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에

아주 튼튼하게 만들어야 하죠

 

부실공사가 있어선 안됩니다

 

그리고 많은 벌들이 함께 살기 때문에 방이 많이 필요합니다

공간을 최소화 해야합니다

 

어떤 면적에 빈공간 없이 방을 만들려면

인접한 꼭지점의 합이 360도가 되어야 합니다

그러려면 방의 모양을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중 하나로 만들어야 하죠

 

삼각형 방은 튼튼하게 지을 수 있긴 하지만

위쪽이 좁기 때문에 방 하나에 많은 꿀을 보관할 수 없습니다

집 구조때문에 벌이 드나들기 불편하죠

 

사각형 방은 삼각형보다 많은 꿀을 보관할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튼튼함이 보장되지 못합니다

충격에 아주 약하기 때문이죠

 

벌집의 모양이 육각형이라면 가장튼튼한 집을 만들 수 있습니다

게다가 면적도 넓기 때문에 많은 꿀을 보관할 수 있고

벌이 드나들기에 불편함도 없습니다

 

그래서 벌집은 육각형 모양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육각형 모양이 층층이 쌓여 있으면

위에서 누르는 힘에 대해 버티는 능력이 상당해집니다

이런 구조를 벌집구조 혹은 허니콤이라고 하는데

 

많은 압력을 받을 수 밖에 없는 비행기나 인공위성을 만들 때

허니콤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이런곳에서 쓰이는 허니콤이기 때문에 벌집이 얼마나 튼튼한지는

굳이 실험을 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사실이죠

 

KTX는 아주 빠르게 달리기 때문에

불의의 사고에 의해 부딪치게 된다면 기관사는 물론 승객까지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혹시 사고가 났을 때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앞쪽에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를 만들어 놨는데

이 장치에 허니콤을 사용한 덕분에 충격 에너지를 80%까지 흡수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쯤되면 허니콤이 아니라 킹니콤이라고 불러도 될 것 같네요

 

과거에는 벌들이 육각형 집의 장점을 모두 알고

육각형 집을 지었다고 생각해 많은 찬사를 보냈지만

연구를 통해 벌집은 처음에 육각형이 아니라 원형이라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꿀벌의 몸에서는 밀랍이라는 물질이 나오는데

이들은 밀랍을 이용해 집을 만들어냅니다

 

밀랍을 이용해 벌집을 만들 때 처음에는 원형으로 만들어내지만

벌의 체온에 의해 밀랍이 녹아 끈적한 액체가 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저절로 육각형 모양이 되는 것입니다

 

비눗방울이 하나만 있을 땐 원형이지만

여러개가 모이면 육각형 모양이 되는 것도 같은 원리입니다

 

이것을 표면장력의 원리라고 하는데

거품을 내서 샤워를 하거나 목욕을 할 때도 이런 현상을 볼 수 있고

탄산 음료를 컵에 따라 마시면 올라오는 거품에서도 이런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영상을 만들면서 밀키스를 따라 마셨는데

처음에는 거품이 원형이었지만 거품이 많아지더니 육각형 모양이 되더군요

너무 신기했습니다

 

영국의 한 연구진은 벌집의 모양을 관찰하는 실험을 했다고 합니다

벌이 벌집을 새롭게 만들고 있을 때 연기를 뿜어 벌들을 내쫓은 뒤

벌집 내부를 봤는데

놀랍게도 육각형이 아니라 원형이었다고 합니다

 

우리는 벌의 언어를 할 수 없기 때문에

그냥 만들었는데 저절로 육각형이 된 것인지

이것을 알고 의도적으로 원형으로 만든 뒤 육각형이 되게끔 한 것인지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충매화를 통해 맛있는 과일을 먹을 수 있게 해준다는 점

꿀을 먹을 수 있게 해준다는 점

허니콤을 알게 해줬다는 점 때문에

고마운 곤충이라는 사실은 여전히 변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왜 기침이 나오는 걸까

 

은근한 잡다한 지식(은잡지)에는 여러분들의 뇌를 채워줄 지식, 정보 영상들이 많이 있습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누가 기침소리를 내었는가

가끔은 내 몸이 내 몸같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나는 정말 내 의지대로 살아있는 것이 맞는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죠

 

내가 아무리 자고싶지 않아도

피곤해지면 어쩔 수 없이 자야하고

내가 아무리 하품을 하고싶지 않아도

한번 나오려고 하면 참기 힘듭니다

 

술을 마시거나 먹지 못하는 음식을 먹었을 때

억지로 먹어보려고 하지만 어김없이 구토가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재채기가 나오려고 하거나 기침이 나오려고 할때도 마찬가지입니다

 

분명 내 몸이고 내 의지대로 이것을 제어하고 싶지만

제어하지 못하는 것을이 꽤 많이 있습니다

 

 

기침은 보통 감기에 걸렸을 때 가장 많이 나오긴 하지만

음식을 잘못 먹어서 사레 들리거나

담배 연기를 맡으면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조용히 해야하는 곳에서 기침이 나오려고하면

억지로 참아보지만

목이 따갑고 간지러워서 어쩔 수 없이 하게 됩니다

 

감기에 걸렸을 때는 왜 기침이 나오는 것이며

감기에 걸리지 않았는데도 기침이 나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리의 몸을 건강하게 유지시켜주는 생리현상이 꽤 많이 있습니다

트림이나 방귀 같은 것이 대표적이죠

 

기침도 비슷한 현상이라고 보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기침은 이물질이 기도로 들어가는 것을 방해하고

폐와 기관지에 있는 해로운 물질을 제거하는 방어 동작입니다

 

찬바람이 불면 기침이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차가운 공기에 의한 기도 수축을 미리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겨울이 되면 감기에 걸리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기침은 감기에 걸렸을 때 많이 나오게 되는데

감기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호흡기 질환이기 때문입니다

 

호흡기에 해로운 물질이 많이 있기 때문에 감기에 걸리면 기침이 많이 나올수 밖에 없습니다

 

감기에 걸리면 콧물이 나오는데

콧물이 삼켜지는 과정에서 기관지를 자극해 기침이 나오기도 하고

감기 바이러스를 몸 밖으로 빼내기 위해 기침을 하기도 합니다

 

음식을 잘못 삼켜 기침이 나오는 것을 사레 들렸다고 하는데

음식이 식도가 아닌 기도로 들어갔을 때 기침이 나오게 됩니다

 

기도는 폐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기침을 하지 않으면 음식이 폐로 들어갈 수 있고

음식물이 기도를 막는 기도 폐쇄가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위험한 상황을 막기 위해 기침을 하는 것이죠

 

사레 들렸을 때 나오는 기침은 금방 끝나고

감기에 걸려도 3주 이상 지속되지 않습니다

 

이런 기침을 급성기침이라고 합니다

 

기침이 3주 이상 지속되면 이것을 만성기침이라고 합니다

 

3주를 넘어 한달동안 기침이 나온다면

천식, 폐렴, 역류성 식도염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만성기침의 경우 활동할 때는 그나마 괜찮지만

자려고 누우면 기침이 더 심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눕게되면 머리의 위치가 낮아지기 때문에 위액이 역류해 식도를 자극하고

혈액이 가슴쪽으로 몰려 폐를 자극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럴 경우 잠에 쉽게 들지도 못하고

스트레스를 아주 많이 받기 때문에

조짐이 보인다면 빠르게 병원에 가서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기침과 비슷한 재채기 역시

이물질을 빼내는 행위입니다

 

차이가 있다면 기침은 기관지 자극에 의해 나오는 것이라면

재채기는 코 신경 자극에 의해 나오는 것이죠

 

목에 있는 이물질을 빼내기 위한 것이 기침이라면

코에 있는 이물질을 빼내기 위한 것이 재채기인 것입니다

 

그래서 재채기는 나오기 전 코가 간질간질 거리게 됩니다

 

햇빛을 보면 재채기가 나오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것을 에취 증후군 혹은 광반사 재채기라고 하는데

동양인의 경우 네명중 한명이 가지고 있는 병입니다

 

이것의 원인은 아직 밝히지 못했고

치료법도 없는 불치병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불치병이라고 해서 크게 걱정할 것은 없습니다

 

어두운 곳에 있다가 밝은 곳으로 나올 때 재채기가 한번 나올 뿐

다른 곳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죠

 

기침과 재채기는 몸에 있는 안좋은 물질을 빼내는 행위이기 때문에

참는 것보다 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다른 사람이 있다면 불쾌할 수 있으니

예의를 갖춰서 해야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멍드는 이유와 멍 색깔 변화의 의미

은근한 잡다한 지식(은잡지)에는 여러분들의 뇌를 채워줄 지식, 정보 영상들이 많이 있습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계란으로 멍 효과 있을까?

멍에는 두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하나는 피부에 생기는 자국같은 것이고

하나는 정신이 나간 것처럼 아무 생각도 하지 않는 상태를 말하죠

 

저는 피부에 멍이 드는 경우는 거의 없어서

피부에 생기는 멍보다 멍때리다의 멍이 먼저 생각 납니다

 

 

 

생활을 하다보면 멍이 생기기도 하는데

부딪힌적도 없는 것 같은데

어느날 몸을 보면 멍들어 있어서 신기할 때가 있죠

 

자면서 얼마나 심하게 움직였는지 모르겠지만

아침에 일어나면 멍이 들어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엔 군대에 있을 때 아침에 일어났더니

다리쪽이 엄청 아파서 보니 멍이 들었더군요

다리를 관물대에 넣어서 자는 구조였는데

아마 자면서 다리를 들다가 관물대에 부딪친 것 같습니다

 

멍이든 곳에 충격을 받으면 굉장히 아프기도 하고

피부와 전혀 다른 색을 띄기 때문에

얼굴쪽에 멍들면 민망한 상황이 연출되기도 합니다

 

싸우거나 맞은 것이 아닌데도 괜히 해명을 해야할 것 같고

어떻게든 가리려고 노력합니다

 

멍은 색깔도 꽤 다양한데

멍 색깔에는 어떤 의미가 있으며

멍은 왜 드는 것일까요

 

멍은 주로 피부에 충격을 받았을 때 많이 생깁니다

특히 넓은 면적에 부딪치거나 문에 끼였을 때 주로 생기죠

 

어떤 사람들은 감기에 걸렸을 때 생기기도 하며

주사를 맞으면 그 자리에 멍이 들기도 합니다

 

또 철분이 부족하면 부딪치지도 않았는데

멍이드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피부에 멍이 드는 이유는 적혈구가 혈관 밖으로 나왔기 때문입니다

 

적혈구는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산소는 우리 몸 전체에 필요한 것이기 때문에

적혈구는 몸 구석구석을 돌아다니면서 산소를 운반합니다

 

적혈구가 지나다니는 길(혈관)을 모세혈관이라고 하는데

모세혈관은 아주 얇아서 외부 충격에 쉽게 파괴됩니다

 

날카로운 것에 충격을 받으면 피부가 뜯겨나가고 모세혈관도 파괴됩니다

모세혈관에서 흐르고 있는 적혈구는 피부 밖으로 나오게 되죠

 

하지만 넓은 면적의 무언가에 의해 충격을 받으면

피부는 뜯겨나가지 않지만 모세혈관은 파괴됩니다

 

이때 적혈구는 피부 밖으로 나오지 않고

피부 안쪽에 고이게 됩니다

 

원래라면 피(적혈구)는 혈관을 타고 흐르기 때문에 보이지 않지만

혈관이 파괴되어 피가 피부 안쪽에 고이게 되면

눈에 보이게 되고 이것이 바로 멍인 것이죠

 

피가 빨간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적혈구 때문입니다

적혈구에는 헤모글로빈이라는 단백질이 들어있는데

헤모글로빈에는 철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철분은 산소와 만나면 빨간색으로 보입니다

 

오래된 쇠를 보면 녹이 슬어 빨간색으로 변하는 경우가 있는데

철분이 산소를 만나 그렇게 된 것이죠

 

철분이 빨간색으로 보이기 때문에 헤모글로빈 역시 빨간색으로 보입니다

적혈구에 헤모글로빈이 들어있으니 적혈구 역시 빨간색으로 보이죠

 

그래서 피도 빨간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멍은 혈관밖으로 나온 피이기 때문에

처음에 생긴 멍 역시 빨간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헤모글로빈은 산소를 만나지 못하면 검붉은 색으로 변합니다

혈관을 타고 흐르면 산소를 운반하기 때문에 계속 빨간색으로 있을 수 있지만

혈관 밖으로 나오게 되면 산소를 운반하지 못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검붉은 색이 됩니다

 

헌혈을 한 피를 보면 검붉은 색을 띄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 역시 산소를 만나지 못했기 때문에 색깔이 변한 것이죠

 

검붉은 색은 피부를 통해서 보면 파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그래서 처음 빨간색이었던 멍이 시간이 지나면 파란색 멍으로 바뀌는 것이죠

 

손목이나 손등에서 보이는 핏줄이 파란색인 이유도 이와 똑같은 이유입니다

 

이후에 멍은 보라색으로 변합니다

이때가 되면 멍이 서서히 치유되고 있다는 뜻입니다

 

파괴된 모세혈관이 복구 되고

새로운 적혈구가 생성됩니다

 

혈관 밖으로 나온 적혈구는 쓸모가 없기 때문에 파괴됩니다

 

보라색이었던 멍은 이제 차츰 녹색으로 변하기 시작하죠

 

적혈구에 있는 헤모글로빈은 파괴될 때 빌리루빈이라는 물질이 나옵니다

빌리루빈은 황갈색을 띄기 때문에

멍은 갈색이나 노란색으로 바뀌고

색이 서서히 옅어저 사라지게 됩니다

 

멍을 빨리 낫게 해주기 위해선 찜질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처음에는 냉찜질을 하고 이후에 온찜질을 해야 합니다

 

냉찜질을 하면 혈관을 수축시켜 혈액이 밖으로 나오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멍이 더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죠

 

이후에 온찜질을 해주면 고여있는 혈액을 빠르게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멍이 들면 멍이 든 부위에 계란을 문지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계란이 멍을 흡수한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것은 잘못된 상식입니다

 

계란은 쉽게 구할 수 있고 둥글기 때문에 마사지 하기에 적합합니다

 

멍이든 부위에 강하게 마사지를 하면 좋지 않기 때문에

살살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계란은 쉽게 깨지기 때문에 마사지 역시 살살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실제로 멍이 든 부위에 마사지를 하면 효과가 있기 때문에

계란으로 마사지를 하면 계란이 멍을 흡수하는 것처럼 느껴질 뿐이지

계란에 뭔가 특별한 능력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마사지를 할 때 꼭 계란일 필요는 없습니다

둥글고 마사지 하기에 쉬운 물건이라면 그 어떤 것도 상관 없습니다

 

부딪친적도 없는데 멍이 드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은 몸에 혈소판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혈소판은 혈관이 파괴되어 혈액이 밖으로 나오려고 할 때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혈액을 응고시키는 역할도 하고 있죠

 

혈소판이 부족하면 혈관이 쉽게 파괴되고

혈액이 응고되지 않아 멍이들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혈소판 생성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먹거나

철분제를 먹는다면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