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보이면 절대 죽이지 말고 절해야 하는 모기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찬양이 필요한 모기

귓가를 맴돌며 우리를 열받게 하는 그 녀석

피만 빨면 괜찮지만
각종 병균을 옮기는 것과 함께 간지러움까지 주는
바로 그 녀석의 시즌이 왔습니다

모기는 여름, 가을 한정 인류의 최대 적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입니다

아디다스 모기부터
빨간집모기, 이집트숲모기, 학질모기 등등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보이는 즉시 사살해야 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기 중에서 인간에게 이로움을 주기 때문에
절대 죽여서는 안되는
보인다면 엎드려서 절을 해도 모자란
익충 모기가 있다고 합니다




모기는 약 2500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우리나라에는 약 50종 정도가 있다고 합니다

그중 유일한 익충인 이 모기는
크기가 15~20mm 정도 되는데

약 5mm 정도 되는 다른 모기와 비교해 보면
월등히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왕모기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광릉수목원(국립수목원)에서 최초로 발견되어
광릉왕모기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광릉왕모기는 유충일 땐 자기보다 작은 동물을 먹고
성충일 땐 꽃의 꿀을 먹으며 삽니다

 


이들의 주둥이는 다른 모기와 달리 휘어져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피부를 뚫기에 적합하지 않아
사람은 물론 다른 동물의 피를 전혀 빨지 않습니다

병균을 옮길 일도 없고 가려울 일도 없습니다

애초에 피를 빨지 못하니 사람에게 관심도 없어
귓가에 맴도는 일도 없습니다


광릉왕모기는 숲이나 나무 구멍, 폐타이어에 고여있는 물에 사는데
이것은 다른 모기도 마찬가지입니다

광릉왕모기의 유충은 자기보다 작은 동물을 먹고 자랍니다
광릉왕모기는 다른 모기보다 월등히 큽니다
유충 역시 다른 모기의 유충보다 월등히 큽니다

 


광릉왕모기의 유충은
다른 모기의 유충을 잡아먹으며 자랍니다

유충이 허물을 벗는 것을 령이라고 합니다
한 번 벗으면 1령 두 번 벗으면 2령인데
광릉왕모기를 연구해 본 결과 4령 유충이
흰줄숲모기 이른바 아디다스 모기 3령 유충을
하루 평균 10마리씩 먹었다고 합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우리나라의 환경부와 고려대 연구진은
광릉왕모기를 사육하는 기술을 연구했습니다

숲모기가 너무 많이 퍼지는 것을 막고
모기가 옮기는 여러 가지 질병을 미리 예방하자는 차원이었죠

그 결과 2017년에 50일 동안 암컷 한 마리에서
600마리 이상의 광릉왕모기를 얻어내는데 성공했습니다

물론 이것 때문에 생태계 교란이 일어나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있습니다
그래서 더 많은 연구를 통해 생태계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판단될 때
실제로 적용시킬 예정이라고 합니다



모기를 먹는 모기
그러면서 피를 빨지 않고
병균도 옮기지 않으며
꽃의 꿀을 빨며 수분도 담당해 주는
지구 최고의 생물 광릉왕모기

우리는 이 모기를 기억하고 찬양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여름에는 뭔가 모기 같지만 이상하게 큰 모기가 있다면
살려주는 아량을 베푸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지렁이는 반으로 잘리면 정말 두 마리가 될까? 그리고 비오면 지렁이가 보이는 이유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반으로 잘리면 두 마리가 된다고?

지렁이는 인간 입장에서 봤을 때 호감 가는 생김새를 하고 있지 않아
좋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지 않은 동물이지만

토양을 비옥하게 만들어 식물이 잘 자랄 수 있게 해주고
먹이사슬 최하층에 위치해 동물의 생태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
지구에서 절대 없어서는 안되는 동물 중 하나입니다

지렁이는 약합니다
정말 약해서 쉽게 상처 나고
찢어지고, 잘리고, 짜부돼서 죽습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이들에겐 재생 능력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들의 능력이 얼마나 뛰어난지
반으로 잘려도 두 마리가 된다는 이야기가 있죠

지렁이는 언뜻 보기에 앞뒤 구분이 없을 것 같지만
자세히 보면 약간 다른 색깔을 하고 있는 부위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곳을 환대라고 하는데 환대를 기준으로 앞뒤를 구분합니다

보통 환대 앞을 머리라고 환대 뒤를 꼬리라고 합니다

 


머리에는 뇌와 심장을 비롯한 여러 가지 장기들과 생식기관이 있고
꼬리에는 항문이 있습니다

만약 어떤 원인에 의해 지렁이가 반으로 잘리면
주요 장기가 있는 머리 부분은 재생세포에 의해 다시 꼬리가 자라납니다
그래서 반으로 잘려도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꼬리 부분은 잘려도 여전히 꿈틀거립니다
그래서 마치 반으로 잘리면 두 마리가 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꼬리는 재생능력이 있는 세포가 없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움직임을 멈추고 그대로 죽게 됩니다

지렁이는 수천 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들 중 일부는 두 마리가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때 잘리는 위치에 따라
모든 장기가 재생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온전한 두 마리가 된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지렁이는 야행성이기 때문에 밤에 주로 활동하고
낮에는 땅속에서 생활을 하지만

 


비가 올 때는 아침이라도 땅 위에 올라오곤 합니다

지렁이가 땅 위로 올라오는 이유는
땅이 젖으면 숨을 쉴 수 없기 때문에
숨을 쉬기 위함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지렁이는 물에 빠져도 2주 동안은 생존할 수 있기 때문에
숨을 쉬기 위해 올라오는 것은 아닙니다



지렁이는 두더지를 피해 땅 위로 올라오는 경우가 있는데
비가 오는 소리가 두더지가 오는 소리와 비슷하기 때문에
비가 오면 두더지가 온다고 착각해 땅 위로 올라온다고 합니다

지렁이의 피부는 항상 촉촉하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아침에 땅 위로 올라올 경우 햇빛에 의해 말라죽게 되는데
비가 오면 수분이 유지될 수 있어 올라와도 말라죽지 않습니다

 


땅속에서 이동하는 것보다 땅 위에서 이동하는 것이 더 빠르기 때문에
이동하기 위해 땅으로 올라오는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그리고 땅으로 올라오면 다른 지렁이를 쉽게 찾을 수 있으니
짝짓기를 위해 올라오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땅으로 올라오면 많은 포식자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런 위험부담은 이들 스스로가 극복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위대한 항해사? 재평가 시급한 콜럼버스의 진실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위대한 항해사 콜럼버스의 진실

 

 

과거 과학기술이 많이 발전되지 않았을 땐
사람들은 지구가 평평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지구 끝부분으로 가면 낭떠러지가 있고
계속 가면 결국 떨어질 것이라 믿었죠

하지만 항해사 콜럼버스는 지구가 둥글다고 믿었고
둥글기 때문에 서쪽으로 계속 가면
인도에 닿을 수 있을 거라 생각했습니다

사람들은 콜럼버스를 비웃었지만
콜럼버스는 믿음을 가지고 항해를 했고
그 결과 신대륙인 아메리카를 발견하게 됩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콜럼버스는 위대한 항해사이자 개척자
한 명의 위인으로 우리에게 알려져 있죠

그런데 사실 이 당시 대부분의 사람들은
지구가 둥글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이보다도 훨씬 더 먼 옛날
기원전 6세기 피타고라스는 지구가 둥글다고 주장했고
기원전 4세기 아리스토텔레스 역시 지구는 둥글다고 주장했습니다
기원전 3세기 에라토스테네스는 지구의 둘레를 계산하기까지 했습니다

콜럼버스는 1451년에 태어났는데 이 시대에는
지구가 둥글다는 것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었죠



그럼에도 우리가 이렇게 알고 있던 이유는
미국의 작가 워싱턴 어빙 때문입니다

그는 1828년에 콜럼버스의 삶과 항해라는 책을 썼는데

이 책에는 콜럼버스만이 지구가 둥글다고 믿었고
다른 유럽 사람들은 지구는 평평하다고 믿었다고 나옵니다
이것은 사실이 아님에도 말이죠

 


책이 유명해지면서 콜럼버스의 업적이 과장되기 시작했고
위인전이 등장하고 교과서에도 실리면서
콜럼버스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배우게 된 것입니다

현대에 들어서 워싱턴 어빙의 이 책은
미국의 위상을 드높이기 위해 쓰인 거짓된 책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당시 사람들이 콜럼버스의 항해를
비웃었던 것은 사실입니다


대부분의 학자들이 서쪽으로 항해할 경우
아시아까지 거리가 20,000km는 될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콜럼버스가 항해를 시작한 것은 1492년인데
이때 기술력으로는 식량과 물을 보관하지 못해
20,000km를 항해하는 것이 불가능했습니다

하지만 콜럼버스는 일본까지 거리가 4,400km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고 말하며
충분히 항해할 수 있을 것이라 했기 때문이죠



콜럼버스는 스페인 여왕 이사벨에게 지원을 받아
서쪽으로 가는 항해를 시작했는데
항해의 목적 자체가 새로운 항로를 개척하고
서쪽으로 가면 인도에 닿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함이 아니었습니다

그저 아시아에 있는 보물을 약탈하고
그곳을 식민지화하기 위함이었죠


실제로 콜럼버스는 인도에 도착할 경우
도착한 땅을 관리할 수 있는 총독 지위를 줄 것
지위가 자손에게 세습될 것
땅에서 얻는 수입의 10%를 줄 것
무역을 할 경우 이익의 8%를 줄 것을 요구했다고 합니다

당연히 많은 사람들이 콜럼버스의 항해가 실패할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이런 터무니없는 요구를 받아들였는지도 모르죠

그런데 모두의 예상을 뒤엎고 콜럼버스는 인도에 도착하게 됩니다
물론 그가 도착한 곳은 아메리카였지만
그 누구도 그곳에 아메리카가 있을 것이라 생각하지 못했기 때문에
콜럼버스는 인도에 도착한 것이 되었습니다



유럽이 아메리카를 정복하기 전
그곳엔 사람이 살고 있었습니다

우리는 이들을 아메리카 원주민, 네이티브 아메리칸
혹은 인디언이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인디언은 인도 사람을 부르는 말로 사용되고 있기도 합니다

 


콜럼버스가 아메리카에 도착했을 때
이곳이 인도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콜럼버스는 이들을 인디오(indio)라고 불렀는데
이것이 유래가 돼 인도 사람이 아님에도 인디언이라고 불리게 된 것이죠

어쨌거나 콜럼버스는 서쪽으로 가면 인도에 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뒤
스페인으로 돌아가 더 많은 지원을 받으며
1493년 2차 항해, 1498년 3차 항해, 1502년 4차 항해를 나갔습니다


그는 항해를 하는 동안 수많은 원주민을 노예로 만들었습니다
여기에는 어린아이도 예외가 없었습니다

원주민들에게 금을 캐오라고 시켰으며
할당량을 채우지 못하면 구타하고 고문했습니다
그래도 말을 듣지 않으면 신체를 잘랐고
원주민들은 그렇게 죽어갔습니다

노예가 된 원주민 중 일부는 스페인으로 팔려갔으며
끔찍한 이 상황을 버티지 못하고 자살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이런 내용은 그의 항해일지에 나와있으며
항해에 참여했다 잔혹한 학살의 현장을 목격한
라스 카사스의 책 인디아스 파괴에 관한 간략한 보고서에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콜럼버스가 항해를 하는 동안
원주민들은 계속 학살당했습니다

 


그가 식민지배했던 곳은 히스파니올라 섬인데
이곳의 인구는 30만 명이었지만
콜럼버스의 학살 이후 500명으로 줄어들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던 위대한 항해사 콜럼버스는
사실 잔혹한 학살자였던 것입니다


1504년 자신의 항해를 지원해 주던 이사벨 여왕이 죽자
콜럼버스의 지위도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었고
1506년 콜럼버스는 질병에 의해 사망하게 되었습니다

그는 사망하는 그날까지 자신이 도착한 곳은
인도라고 굳게 믿고 있었습니다

콜럼버스는 아메리카를 최초로 발견한 사람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그가 아메리카에 도착했을 때 이미 사람이 살고 있었으니
아메리카를 최초로 발견한 사람은 콜럼버스가 아니라
원주민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503년 이탈리아의 아메리코 베스푸치는
콜럼버스와 마찬가지로 서쪽으로 항해를 해서
아메리카에 도착하게 됩니다

하지만 그는 콜럼버스와 다르게 이곳을 신대륙으로 생각했고
이 사실을 널리 알렸습니다

그래서 그의 이름을 따 신대륙은 아메리카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추가로 콜럼버스의 달걀이라고 해서
누구도 달걀을 세우지 못할 때
끝을 조금 부숴 달걀을 세운 일화를 모두 알고 계실 것입니다

심지어 이것도 사실은 콜럼버스의 일화가 아니라
1377년에 태어난 이탈리아의 건축가 필리포 브루넬레스키의 일화라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