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돈이 없어 벌금을 못내면 어떻게 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벌금 못내면 어떻게 될까

죄를 지었으면 벌을 받아야 합니다

벌은 법이 정한 범위 내에서 받게 되는데
벌에는 몇 년간 감옥에 살게 하는 징역이나
일정 금액을 내게 하는 벌금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벌금은 감경하는 경우 더 적어질 수 있지만
보통 5만 원부터 시작하게 됩니다

얼마나 더 큰 죄를 지었느냐에 따라
벌금에 차이가 나게 되죠

만약 징역에 살게 되는 경우
해당하는 기간만큼 감옥에 살다 나오면 됩니다

벌금형에 처해지는 경우에는 돈을 내야 합니다

그런데 만약 형편이 좋지 못해
벌금을 낼 수 없다면 어떻게 되는 것일까요




잘못했을 때 돈을 내는 구류, 과료, 범칙금, 과태료 같은 것들도
그냥 벌금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번 영상에서는 전과 기록이 남는
진짜 벌금에 대해서만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법원에서 유죄판결을 받아 벌금형이 확정되면
한 달 안에 돈을 내야 합니다

벌금은 현금으로만 납부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카드로도 가능하고
형편이 어려운 경우 분할 납부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만약 한 달 안에 돈을 내지 못했다면

2차 고지서가 날라오고
이때도 내지 못하면 3차 고지서가 날라오고
여기서도 내지 못하면 벌금 미납자가 되어
지명수배자 명단에 이름이 올라가게 됩니다


재산이 있는데 의도적으로 벌금을 내지 않으면
재산을 압류당하게 되고

진짜 돈이 없어 벌금을 못내는 상황이라면
사회봉사를 하거나 교도소, 구치소에 들어가 노역을 하는 것으로
벌금을 대신하게 됩니다

이것을 환형(換刑)이라고 하죠

 


과거에는 300만 원 이하의 벌금 선고자들만 사회봉사를 신청할 수 있었지만
돈이 없어 교도소에 들어가는 사람들이 많아지자
2020년부터는 500만 원 이하까지 사회봉사를 신청할 수 있도록 법을 개정했습니다

벌금이 500만 원이 넘어가게 되면
사회봉사는 신청할 수 없고
교도소나 구치소에 들어가 노역(勞役)을 해야 합니다

 


노역을 하는 경우 노역에 대한 대가가 주어지는데
보통 하루에 10만 원으로 결정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1000만 원의 벌금이 나왔는데
돈이 없어 노역을 해야 한다고 하면
하루에 10만 원씩 해서 100일 동안 노역을 하고 나오면
벌금을 모두 낸 것으로 쳐주는 것입니다



과거에는 노역의 경우 최대 3년까지만 가능했습니다

벌금형이라는 것은 징역보다 낮은 형벌입니다
만약 노역 기간에 한계가 없다면
벌금을 많이 받은 사람은 징역을 사는 사람보다
더 많은 기간을 교도소에서 살아야 할 가능성도 생기기 때문이죠

하지만 이것 때문에 벌금에 따른 차별 논란이 생기기도 했습니다

 


예를 들어 100억 원의 벌금형을 선고받은 사람이
3년 동안 노역을 한다고 하면
일당은 약 1000만 원 정도가 되기 때문이죠

실제로 2014년 대주그룹 회장인 허재호는
254억 원의 벌금형을 선고받았는데

당시 재판을 진행했던 장병우 판사가
벌금을 내는 대신 50일 동안 노역을 하는 것으로 형벌을 결정했습니다
이것을 하루 일당으로 따지면 약 5억 원이 됩니다

그래서 황제 노역이라고 불리기도 했죠


2014년 5월 14일 형법 제70조에 새로운 법을 신설해
논란을 잠재우려고 했지만

2016년 전두환의 아들인 전재용이 40억 원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2년 8개월간 노역을 하는 것으로 결정되면서
하루 일당 400만 원짜리 황제 노역이 또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벌금형이 징역보다 강하면 안 된다는 것에 동의는 하지만
황제 노역이 또 발생하지 않게
법을 다시 개정해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항암치료를 할 때 왜 삭발을 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왜 삭발을 하는 걸까

2020년 우리나라 사망자 수는 약 30만명
전체 사망자의 27%는 암으로 사망했습니다

암은 인류가 반드시 극복해야 할 병중 하나입니다

물론 암에 걸린다고 해서 꼭 죽는 건 아닙니다

언제 발견했느냐에 따라 치료가 가능하기도 하죠
하지만 암은 치료하는 과정이 고통스러운 것으로 유명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암에 걸려 치료를 받는 사람들을 보면
삭발을 한 뒤 치료를 받습니다
병을 치료하는 것일 뿐인데
왜 삭발을 하는 것일까요




우리는 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세포는 분열하고 분열하고 또 분열하고 분열합니다
이렇게 분열하는 과정에서 염색체를 복사하게 되는데
복사될 때마다 끝부분에 있는 DNA가 조금씩 파괴됩니다

 


이것을 막기 위해 염색체 끝부분에는 텔로미어라는 것이 있습니다

하지만 텔로미어 역시 염색체가 복사될 때마다
즉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조금씩 줄어듭니다

텔로미어가 전부 줄어들게 되면
세포는 더이상 분열하지 못하고 노화세포가 됩니다


나이를 먹을 수록 노화세포는 많아지고
노화세포에 의해 여러 가지 질병에 걸리게 됩니다

다행히 우리의 세포는 노화세포가 되면
스스로 죽게끔 설계되어 있습니다

만약 노화세포가 되었는데도 죽지 않는다면
우리 몸에 있는 면역세포가 노화세포를 죽이게 되죠



그런데 스스로 죽지도 않고
면역세포의 눈을 피해 살아남는 노화세포가 있습니다

이들은 계속 세포분열을 하며 비정상적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이것을 종양이라고 하죠


이렇게 만들어진 종양이 천천히 성장하고
주변에 특별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양성 종양이라고 합니다

양성 종양은 없애는 것이 어렵지 않기 때문에 큰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만들어진 종양이 빠르게 성장하고
주위에 안좋은 영향을 준다면
악성 종양이라고 합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흔히 말하는 암세포입니다




인류가 의학의 힘으로 암에 저항하는 행위를
항암 치료라고 합니다

암의 크기가 크지 않은 경우
암세포가 퍼진 부분을 잘라내는 수술을 통해
암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암의 크기가 크면
약물을 통해 암세포를 죽이게 되는데
이때 사용하는 약물을 항암제라고 하죠

항암제는 크게 정맥이나 근육에 주사하는 방법이나
알약이나 캡슐 형태의 약을 먹는 방법으로 투여하게 됩니다


암세포는 빠르게 증식하고 분열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항암제는 이렇게 빠르게 분열하는 세포를 찾아
죽이는 역할을 하게 되죠

그런데 우리 몸에는 빠르게 분열하는 다른 정상적인 세포들도 있습니다

위 점막세포, 골수세포, 생식세포 그리고 모근세포 같은 것들이 대표적입니다


안타깝게도 항암제는 정상 세포와 암세포를 구분하지 못합니다
빠르게 분열하는 세포는 무조건 죽이고 보는데
이때 정상적인 세포도 공격을 당하게 됩니다

 

세포가 분열하지 못하면 성장을 하지 못하고
성장하지 못하면 기존의 머리카락은 빠지게 되고
새로운 머리카락이 자라지 않게 됩니다

 

이것은 다른 세포도 마찬가지이죠

 


그래서 항암치료를 하는 과정에서
구토, 변비, 설사, 빈혈, 출혈, 탈모 같은 부작용이 생기는 것이죠

다른 부작용의 경우 추가적인 약을 먹거나
음식을 통해 어느정도 줄일 수 있지만

탈모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빠지는 머리카락을 보며 스트레스 받지 않기 위해
미리 삭발을 하는 것입니다

 


항암치료가 끝나면 정상 세포는 다시 세포분열을 하기 때문에
발생했던 부작용은 빠르게 회복되며
머리카락도 다시 자라나게 됩니다

항암치료를 하고 계신 분들 하루하루가 고통스럽겠지만
잘 버텨서 예정보다 빨리 암이 완치되길 바라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우주에서도 라면을 끓여먹을 수 있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우주에서도 라면 가능?

최고의 음식 라면
어딜 가든 생각나는 라면

그냥 집에서 먹어도 맛있고
여행 갔을 때 먹어도 맛있고
비행기에서 먹어도 맛있고
우주에 나가 먹어도 맛있는 라면

어? 그런데 우주에서도 라면을 먹을 수 있나요?



라면을 끓이는 방법
물을 끓인다
스프를 넣는다
면을 넣는다


하지만 우주에는 중력도 거의 없고 공기도 없기 때문에
물을 냄비에 담을 수도 없고
불을 붙이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런 방법으로는 우주에서 라면을 먹을 수 없습니다

 

 

 


인류가 우주에 대한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을 때부터
우주에서 먹을 수 있는 음식에 대한 걱정도 함께 했을 것입니다

우주에서는 지구에서처럼 요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만들어진 음식을 우주로 가져가 먹는 방법을 선택했습니다


그마저도 지구에서처럼 먹을 수 없었기 때문에
튜브 형태로 만들어 짜먹는 형식으로 음식을 만들었죠

1961년 인류 최초로 우주에 나간 사람인 소련의 유리 가가린은
고기가 담긴 튜브를 가져가 먹었는데
이것이 인류가 먹은 최초의 우주 식량입니다

이후 미국에서도 같은 형태의 음식을 만들어 가져갔는데
이때는 휴대성에 신경 쓰다 보니
음식이 맛있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현대에 와서는 더 다양한 음식을 우주로 가져갈 수 있게 개발하고 있으며
영양이나 칼로리뿐만 아니라 맛도 챙기는 음식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2008년 이소연은 우리나라 최초 우주인으로 선발돼
우주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돌아왔는데
이때 우리나라에서 여러 가지 우주 음식을 만들기도 했었습니다


김치, 고추장, 된장국 그리고 라면 같은 것들을 우주로 보냈는데
라면은 농심과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공동 개발했습니다

우주에서는 물을 100도까지 끓일 수 없기 때문에
미지근한 물에도 익는 라면을 만들어야 했습니다

 


지구에서 먹는 라면의 단면을 보면 속이 꽉 차있습니다
하지만 우주라면의 경우 면에 수분이 잘 흡수되어야 하기 때문에
수많은 구멍을 낸 건면 형태로 만들었습니다

또 라면 스프가 떠다니다 우주선 틈 사이로 들어가면
고장이 날 수 있기 때문에
스프가 면에 달라붙을 수 있게 비빔면 형태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세균이 번식할 수 없도록
방사선 멸균기술을 이용해 멸균을 했는데
이때 한국원자력연구원의 기술이 사용됐다고 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라면은 비닐 용기에 진공 포장돼 우주로 보내졌습니다

이것이 바로 농심과 한국원자력연구원이 만들어낸
우주 신라면입니다

라면은 포장지 윗부분을 잘라낸 뒤
70도의 물을 넣고 10분간 기다리면 완성된다고 합니다

 


라면의 맛은 신라면 베이스에 갈비찜 맛을 추가했으며
영양을 고려해 고단백으로 만들어졌는데
우주 특성상 맛을 지구에서처럼 느낄 수 없기 때문에
조금 더 자극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실제 우주 식량을 먹어본 우주인 이소연의 말에 따르면
라면은 굉장히 맛있었고
다른 나라 우주인들에게도 인기가 있어
남은 라면은 두고 왔다고 합니다


물론 지금은 우주 신라면을 제작하고 있진 않지만
전투식량이나 비상식량에 활용될 수 있도록
기술을 더 발전시키고 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