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순록 323마리의 시체를 방치했더니 생긴 믿을 수 없는 결과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시체를 방치했더니 생긴 믿을 수 없는 결과

1년 중 가장 더운 달의 평균 기온이 10도 이하인 곳으로
나무가 없는 언덕이라는 의미를 가진 곳을 툰드라라고 합니다

툰드라는 독특한 기후 때문에 사람이 생활하기엔 적합하지 않지만
이런 이유 때문에 추운 기후를 견딜 수 있는 순록에게는
살아가기에 가장 적합한 지역입니다

노르웨이에 있는 하르당에르비다 국립 공원은
날씨가 추워 나무가 잘 자라지 않는 툰드라 지역입니다

이곳은 북유럽 최대 규모의 고원이기도 하며
유럽 최대의 야생 순록 서식지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2016년 8월 말 이곳에 서식하던 야생 순록 323마리가
일순간에 떼죽음 당하는 일이 있었다고 합니다




순록은 무리 생활을 하기 때문에 평소에도 함께 모여 다니지만
그날은 비가 많이 오고 번개가 쳤기 때문에
무서움을 달래기 위해 평소보다 더 가까이 모여 있었습니다

그러다 갑자기 순록이 있는 언덕에 벼락이 떨어졌고
비가 많이 와 땅이 젖어 있어 벼락은 땅을 타고 흘러
언덕에 있는 순록에게 영향을 줬습니다

벼락의 영향을 받은 순록 323마리는 그대로 즉사했죠

 


그날의 현장은 토르의 실수라고 표현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였습니다

순록의 이런 상황은 참 안타깝지만
순록 323마리의 시체를 치워야 하는 커다란 과제가 남게 되었습니다


순록은 몸길이가 2m 정도 됐고
뿔을 제외했을 때 높이가 1.5m 정도
그리고 몸무게는 300kg까지 나가는 거대한 동물입니다

물론 가족 단위로 있었기 때문에 더 작은 순록도 있었지만
이 정도의 동물 300여 마리를 옮기는 것은
아무리 도구를 사용하는 인간이라고 해도
꽤 어려운 작업이었을 것입니다

 


그래서 하르당에르비다 국립 공원 관계자는
순록의 시체를 치우는 것을 쿨하게 포기했죠

그러자 국립 공원 근처에 사는 사람들이 크게 반발했습니다

시체를 그대로 두면 시체가 썩을 것이고
시체가 썩게 되면 냄새가 날 뿐만 아니라
시체 주변에 벌레나 쥐 같은 동물이 들끓어
생태계가 파괴되고 국립 공원의 경관을 해쳐
관광객이 찾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국립 공원 관계자는
벼락이 떨어진 것은 자연 현상이고
벼락에 의해 순록이 죽은 것 역시 자연 현상이니
인간이 개입해서는 안 된다 하며 시체를 치우지 않았습니다

죽은 순록 323마리는 그렇게 방치됐죠


순록 시체가 썩으면서 주민들이 우려했던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구더기를 포함한 여러 벌레가 생기게 됐고
쥐를 포함한 여러 설치류가 등장했습니다

이것으로 국립 공원의 환경과 생태계가 완전히 무너질 것으로 생각했지만
자연은 또 한 번 인간의 예상을 뛰어넘었습니다


벌레가 많이 있으니 벌레를 주식으로 하는 작은 새들이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벌레와 시체를 먹기 위해 까마귀들도 하르당에르비다를 들렀고
쥐가 많이 있으니 쥐를 먹기 위해 여우도 이 공원에 등장했습니다

여우가 많아지자 이들을 사냥하는 검수리까지 공원에 나타났죠

남동 노르웨이 대학교의 자연 과학 전문가인 셰인 프랭크 교수는
방치된 순록 시체 주변 환경을 연구했는데
그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7년부터 조류나 육식동물의 수가 증가했고
그로 인해 설치류의 수가 줄어들게 되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검은시로미라고 불리는 이 식물은
하르당에르비다 생태계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순록 시체 근처에서 발견된 까마귀나 여우의 똥에
검은시로미의 씨앗이 있었다고 합니다

똥에 있는 풍부한 영양분 덕분에 식물은 잘 자라
벌레나 초식동물의 먹이가 되었죠


순록 시체를 방치한 이 판단 덕분에 자연은 아주 자연스럽게
생태계를 더 활발하게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되기까지 고작 4년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무언가 문제가 생겼을 때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찾습니다

하지만 결과는 언제나 좋지 못했죠
어쩌면 문제가 생겼을 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샌드위치는 왜 모래 마녀라고 불리는 걸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왜 모래 마녀라고 할까

빵과 빵 사이에 고기, 햄, 치즈
여러 가지 채소들을 넣어 만들어 먹는 음식을
우리는 샌드위치라고 합니다

샌드위치는 영어 이름인데
샌드와 위치 두 개의 단어가 합쳐진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sand는 모래고 wich(witch)는 마녀입니다

즉 샌드위치는 모래 마녀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것이죠

도대체 샌드위치가 마녀랑 무슨 관계길래
샌드위치는 모래 마녀라고 불리게 된 것일까요




1718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난 존 몬태규는
집안 대대로 해군에서 중요한 직책을 맡아온
뼈대 있는 귀족 출신이었습니다

1722년 그가 4살일 때 아버지가 사망하는 바람에
10살인 1729년 할아버지로부터 작위를 이르게 계승 받았고
여러 가지 공부를 한 뒤 1739년부터 상원의원이 되어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했습니다


몬태규 가문에 주어진 작위의 이름은 샌드위치 백작으로
1대 샌드위치 백작이었던 에드워드 몬태규에 이어
존 몬태규는 4대 샌드위치 백작이었습니다

현재 하와이라고 불리고 있는 섬은
과거 샌드위치 제도라고 불렸는데

1778년 탐험가 제임스 쿡이 처음 발겼을 했을 때
4대 샌드위치 백작인 존 몬태규의 후원을 받고 있었기 때문에
섬의 이름을 그렇게 지었다고 합니다

존 몬태규는 1748년 제1해군경이 되기도 했는데
여기서 제1해군경은 영국 해군의 총지휘자를 말하는 것입니다

이처럼 그는 꽤 유능한 인재였던 것 같지만
한 가지 큰 단점이 있었으니
도박을 아주 좋아했다는 것입니다


한번 도박을 시작하면 식사할 시간도 아까워
도박을 하는 곳에서 끼니를 때우곤 했는데

이때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빵과 빵 사이에 고기와 채소를 넣어 만든 음식을 주로 주문했다고 합니다


함께 도박을 했던 사람들은
샌드위치 백작이 먹는 이 음식에 관심을 보였고
같은 음식을 주문했는데
이때 샌드위치와 같은 걸로 달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아마도 이때부터 이 음식을 샌드위치라고 부르지 않았나
추측하고 있습니다

즉 샌드위치가 모래마녀라고 불린 것은 마녀와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라
작위 이름과 관련이 있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현대에 와서는 이것이 거짓이라는 해석도 존재합니다

당시 영국에는 휘그당과 토리당이 있었는데
샌드위치 백작은 휘그당 소속으로
토리당과는 대적 관계에 있었습니다

그래서 토리당이 샌드위치 백작을 깎아내리기 위해 만들어낸 이야기라는 것이죠

 


샌드위치 백작은 사실 도박은 별로 좋아하지 않았고
일하는 것을 좋아해 책상에 앉아있는 시간이 많았는데
그의 하인이 책상에 앉아 먹을 수 있는 간편식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이때 만들어진 음식이 빵과 빵 사이에 고기와 채소를 넣은 음식이었는데
이것이 전해져 샌드위치가 되었다는 추측도 있습니다

물론 샌드위치라는 음식 자체는 샌드위치 백작 이전부터 존재했습니다
시간이 많이 지난 지금 샌드위치에 대한 어원을 정확하게 알 순 없겠지만
어쨌거나 샌드위치 백작이라는 사람이 이름에 영향을 줬다는 것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개똥도 약에 쓰려면 없다 개똥을 진짜 약에 썼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개똥을 진짜 약에 썼을까

우리나라에는 개똥도 약에 쓰려면 없다
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평소에는 흔하게 보이는 물건이
막상 쓰려고 하면 잘 보이지 않는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죠

그런데 생각해 보면 이상합니다

개똥을 쉽게 볼 수 있다는 건 알겠지만
똥을 약에 쓴다니요

과거에는 정말 개똥을 약에 썼던 것일까요?




똥이라고 하면 더러운 것, 피해야 할 것으로 인식되지만
과거에는 속담에 나온 것처럼 개똥을 약에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동의보감을 보면 똥을 어떤 식으로 사용했는지 잘 나와있는데
모든 개의 똥을 약으로 사용한 것이 아니라
흰 개의 똥을 주로 사용했습니다

 


이것을 백구시(白狗屎)라고 불렀는데
백구시는 정창, 누창 및 온갖 독에 주로 쓴다고 나와있습니다

여기서 정창은 종기를 말하며
누창은 종기가 빠져나간 뒤 생겨난 구멍을 말합니다


또 백구시는 명치에 적취가 뭉친 것이나
어혈진 것을 치료한다고 나오는데
이때는 술에 타먹는 식으로 개똥을 먹었다고 합니다

여기서 적취는 몸속에 생긴 덩어리를 말하며
어혈은 피가 흐르지 않고 뭉치는 병을 말합니다



동의보감에는 개똥 말고도 말똥을 사용해
병을 치료하는 방법도 기록되어 있습니다

말의 똥은 마분(馬糞) 혹은 마통(馬通)이라고 말하는데 
이때도 역시 백마의 똥이 좋다고 합니다

마분은 지혈에 효과가 있기도 하고
말린 다음 달여 마시면 서병을 치료한다고 합니다

여기서 서병은 여름에 너무 더워 생기는 병인데
열이 나고 땀이 많이 나며 정신이 흐려지는 증상이 있습니다


숫참새의 똥을 웅작시(雄雀屎)라고 하는데
똥을 가루 내 꿀과 함께 환으로 만들어 빈속에 먹으면
몸속에 생긴 여러 가지 덩어리를 치료한다고 나옵니다

 


조선시대 왕의 일상을 기록한 승정원일기를 보면
영조는 마분차를 자주 마셨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영조는 조선의 왕중에서 가장 장수한 왕으로 알려져 있는데
어쩌면 그 비법이 말똥....

어쨌든 왕도 이렇게 똥을 먹었다는 기록이 있는 것을 보면
일반 백성들 사이에서도 똥은 약재로써
자주 사용됐을 것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