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충격 사실 맨투맨은 영어가 아니라 콩글리쉬라고?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이 옷 이름 맨투맨 아님

 

이렇게 생겨 별다른 옵션이 없는 옷을 우리는 티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옷깃과 함께 단추가 달려 있는 옷을 우리는 셔츠라고 부르죠
털실로 두껍게 만든 옷을 니트 혹은 스웨터라고 부릅니다

티라고 하기엔 조금 두껍고
니트라고 하기엔 조금 더 활동적인
소매와 허리 쪽에 꽉 잡아주는 부분
흔히 시보리라고 부르는 이곳이 있는 옷을
우리는 맨투맨이라고 부릅니다

맨투맨은 어쨌거나 영어입니다
그런데 외국에 나가서 맨투맨을 찾기 위해
이 옷을 맨투맨이라고 하면 알아듣지 못한다고 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ZNf6g_b87Q


맨투맨이라고 하면 사람 대 사람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운동경기에서 공격수 한 명에 수비수 한 명이
전담해서 붙는 것을 의미하는데

우리나라에선 이런 옷을 부르는 단어로 사용되기도 하죠


과거 운동선수들은 울 소재의 스웨터를 입고 경기를 했다고 합니다
경기 중 땀을 많이 흘리기 때문에 끝나면 바로 세탁을 해야 했는데
스웨터 특성상 세탁을 하면 옷이 줄어들기도 하고 마르는데 오래 걸리는데다
재질 때문에 입으면 따가웠기 때문에
운동복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진 않았습니다

미국의 러셀이라는 의류 업체의 창립자인 벤자민 러셀의 아들은
미식축구 선수였는데

스웨터의 이런 불편함을 보완한 새로운 옷이 필요하다고
아버지에게 건의하게 됩니다


그래서 러셀은 1926년 면 소재의 옷을 새롭게 만들게 되었는데
기존의 스웨터보다 가벼웠으며 통풍이 잘 됐고, 더 활동적이었으며
무엇보다 부드럽다는 장점이 있었습니다

러셀은 이 옷을 땀이 날 때 입는 옷이라고 해서
스웨트셔츠라고 불렀습니다

스웨트셔츠는 기존의 스웨터보다 더 많은 장점이 있었기 때문에
스포츠 업계에 큰 인기를 끌며 종목을 가리지 않고 퍼져나갔습니다



당시 만들어진 스웨트셔츠는 무늬가 없는 무지 옷이었는데
1930년대에 챔피온이라는 의류 업체에서 스웨트셔츠에 글씨를 새기고
색깔을 바꾸는 식으로 디자인해
운동선수들이 소속감을 느낄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이것이 일반인들에게도 인기를 끌게 되었고
이로 인해 다양한 디자인의 스웨트셔츠가 탄생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우리가 맨투맨이라고 부르는 바로 그 옷입니다


이후 우리나라에도 스웨트셔츠가 들어왔는데
대중화되기 시작한 건 1970년대인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1974년 우리나라의 의류 업체인 성도 섬유에서
국내 기술로 스웨트셔츠를 만들어 판매하기 시작했는데
이때 브랜드 이름이 맨투맨 스웨트샤쓰였습니다


이런 내용을 담은 광고가 1974년 7월 27일 경향신문에 실렸는데
이것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에선 스웨트셔츠가
맨투맨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스테이플러를 호치키스라고 부르는 것처럼
체성분 분석기를 인바디라고 부르는 것처럼
즉석밥을 햇반이라고 부르는 것처럼
살충제를 에프킬라라고 부르는 것처럼

하나의 상표가 보통명사가 되어버려
스웨트셔츠를 맨투맨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죠


즉 맨투맨은 외국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우리나라 사람만 알아들수 있는
일종의 콩글리쉬였던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주변에 사람이 있으면 오줌이 안나오는 현상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내 안의 수줍은 아이

 

3월이 되면 새 학기가 시작되면서
새로운 학교로 가거나 더 높은 학년으로 올라가
새로운 친구들과 만나게 되는 낯선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설레기도 하고 무섭기도 하고 긴장되기도 해서
모든 게 어색한 이 시간에는
이상하게 화장실에 자주 가게 되곤 합니다

그런데 막상 화장실에 가면
특히 주변에 사람이 있거나 누가 차례를 기다리고 있으면
아무리 마려워도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분명 엄청 마려운데 오줌을 싸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https://youtu.be/AptnK7cJquE


심장이나 소화기관, 근육, 동공 같은 것을 통제해
우리 몸의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자율신경계입니다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있습니다

교감신경은 위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우리의 몸이 빠르게 반응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데

동공이 확장돼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게 되고
심장박동이 빨라져 더 많은 피가 돌게 됩니다
그리고 소화작용을 억제시켜 에너지가 이곳에 쓰이는 것을 방지합니다


부교감신경은 위급한 상황을 대비해
우리의 몸을 휴식시켜 에너지를 모을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데
동공이 축소되고 심장박동이 느려지며
소화작용을 촉진시킵니다

자율신경계는 방광에도 영향을 주는데
교감신경은 방광을 이완시키고 괄약근을 수축시켜
오줌이 나오지 않게 만들고
부교감신경은 방광을 축소시키고 괄약근을 이완시켜
오줌이 나오게 만듭니다



오줌이 마려워 화장실에 갔는데
오줌을 싸지 못하는 현상을 배뇨공포증이라고 합니다

집 화장실에서는 괜찮지만
공중화장실처럼 여러 사람이 같이 사용하는 곳에서는
문제가 발생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오줌을 싸는 내 모습을 누군가 본다는 두려움과
소리가 들릴 수 있다는 수치심 같은 것들이 합쳐져

이상하게 긴장되고 불안하기 시작하면 교감신경이 활성화돼
오줌이 나오지 않게 됩니다

그래서 오줌이 마려워서 화장실에 갔는데도
오줌을 싸지 못하게 되는 것이죠


게다가 이런 상황이 되면
오줌을 못 싸는 나를 보고 비웃는 건 아닐까 하는 창피함과
나 때문에 뒤에 사람이 기다린다는 미안함이 더해져

더 긴장해 오줌을 더 쌀 수 없게 됩니다

그래서 배뇨공포증을 수줍은 방광 증후군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수줍은 방광 증후군은 우리나라에서는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지만
외국에서는 방광 증후군 협회가 있을 정도로
꽤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수줍은 방광 증후군을 해결하기 위해선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갖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혼자서는 쉽지 않다면 믿을만한 사람과 같이 가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또 불안한 상태가 계속되면 숨을 참아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새 학기에 사람이 많은 화장실에서 오줌을 싸지 못하는 현상은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이것에 대해 너무 심각하게 생각하거나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귀신과 소통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휘파람

 

https://youtu.be/7FijD-SZ1yo

입을 오므려 바람을 불어 소리 내는 행위를
휘파람이라고 합니다

별다른 악기가 없어도 악기처럼 소리를 낼 수 있는 행위로
휘파람을 잘 부는 사람은 그냥 쉽게 소리를 내기 때문에
부는 게 별로 어렵지 않을 것이라 생각될 수 있지만
불지 못하는 사람은 아무리 해도 소리를 내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과거에는 휘파람을 부는 것 자체를 신기해 했으며
휘파람에 큰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죠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백과사전인 오주연문장전산고에 보면
휘파람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휘파람을 소(嘯)라고 불렀으며


휘파람을 불면 귀신을 감동시키고 불사를 이룰 수 있으며
만령(모든 생명)이 안정을 얻을 수 있다고 나와있습니다

조선에서 휘파람을 가장 잘 부는 사람은 북창 정염이라는 사람이었는데
그가 휘파람을 불면 아주 우렁차서 바위와 골짜기가 울렸고
마치 신선(불로불사의 인간)이 소리를 내는 것처럼 들렸다고 합니다


이러다 보니 휘파람은 영적인 존재와 만나는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특히 무속인이 자신이 모시는 신령님을 부르거나
특정 장소에 있는 귀신을 부를 때
휘파람을 사용했는데

휘파람은 일종에 레이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귀신이 내는 고유한 주파수를 자극해 귀신을 찾은 뒤
소통하는 식이었습니다


영화 곡성에서도 귀신을 부르기 위해 휘파람을 부는 장면이 나오고
최근에 개봉한 영화 파묘에서도 귀신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휘파람을 부는 장면이 나옵니다

무속인들의 이런 행위를 소법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휘파람은 다른 나라에서도 비슷한 의미를 가집니다

중국에서는 휘파람을 불면 동물을 소환하고 기상 현상을 제어하며
초자연적인 존재와 소통할 수 있다고 말하는데
이것을 changxiao라고 불렀습니다

튀르키예에서는 밤에 휘파람을 불면 악마가 소환된다고 말합니다

영국에서는 7마리의 새가 밤에 하늘을 날며 휘파람 소리를 내면
큰 재난이 있을 것이라는 전설이 있는데
이 새를 세븐 휘슬러라고 부릅니다


러시아에서는 실내에서 휘파람을 불 경우
재물이 빠져나가 가난하게 된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밤에 휘파람을 불면 귀신이 나온다고 말하기도 하는데
귀신은 주로 밤에 활동하고
휘파람은 귀신을 부를 때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런 말이 만들어진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