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내가 오이를 싫어하는 과학적인 이유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오이 극혐

취향에 따라 좋아하는 음식이 다른 것처럼
싫어하는 음식도 각자 다를 것입니다

냄새 때문에 청국장을 싫어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식감 때문에 가지를 싫어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의외로 김치를 싫어하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오이를 싫어하는 사람도 생각보다 많이 있죠

오이를 싫어하는 사람은 먹는 것뿐만 아니라
냄새를 맡는 것도 아주 싫어합니다

오이에 특별한 감정이 없는 사람들은
이것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컨셉이 아닌가 의심이 들 정도이기도 한데

도대체 왜 오이를 싫어하는 것일까요



오이는 비타민 C, K가 풍부하게 들어있어
뼈를 튼튼하게 해주며

혈액이나 장에 쌓인 독소를 제거해 주기도 하고

95%가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수분 보충에도 도움이 되고

칼로리가 낮고 식이섬유가 풍부하기 때문에
다이어트와 변비에도 도움이 되는

신의 채소라고 불리는 최고의 음식이지만

 


오이를 싫어하는 사람들에겐
그저 극혐 그 자체인 음식일 뿐입니다

이들이 오이를 싫어하는 이유는
오이에서 나는 특유의 맛과 향 때문입니다

오이를 먹으면 느껴지는 쓴맛은
오이의 양 끝부분에 있는 쿠쿠르비타신이라는 성분 때문입니다

쿠쿠르비타신은 박과 식물이 가지고 있는 스테로이드의 일종으로
오이뿐만 아니라 수박, 참외 같은 식물에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쿠쿠르비타신은 쓴맛이 나는 것뿐만 아니라
독성을 띠고 있는데

동물들이 쿠쿠르비타신을 먹었을 때
죽음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을
쥐 실험을 통해 확인했습니다

즉 식물이 쿠쿠르비타신 성분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해충이나 동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함이었던 것이죠

오이를 먹었을 때 배가 아프거나 설사가 나온 경험이 있다면
그것은 쿠쿠르비타신 때문입니다

물론 이것이 인간을 죽음에 이르게 할 순 없지만
이것이 오이를 싫어하는 원인이 되긴 합니다

 



우리가 쓴 음식을 먹으면
혀에 있는 쓴맛 수용체가 쓴맛을 감지하고
신호를 뇌로 보내 쓴맛이 느껴지게 합니다

쓴맛의 민감도는 7번 염색체에 있는
TAS2R38이라는 유전자에 의해 결정됩니다


쓴맛에 민감한 타입을 PAV(Proline, Alanine, Valine)
민감하지 않은 타입을 AVI라고 부르는데(Alanine, Valine, Isoleucine)

오이를 싫어하는 사람의 경우 PAV 타입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들은 쓴맛을 느끼는 정도가 AVI 타입에 비해
100배에서 1000배 정도 더 높다고 합니다

 


쓴맛은 독성을 띠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동물은 기본적으로 쓴맛을 거부하게끔 설계되어 있는 데다
민감도까지 높기 때문에 이들이 오이를 극혐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일지도 모릅니다

즉 오이를 싫어하는 것은 단순한 취향이 아니라
본능과 유전자 때문인 것이죠


오이를 싫어하는 PAV 타입은
수박이나 참외도 싫어하는 경우가 있으며
술을 마실 때 AVI 타입보다 더 쓴맛을 느끼게 됩니다

하지만 술은 맛으로 먹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PAV 타입이라고 하더라도 술을 오이만큼 싫어하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오이를 싫어하는 사람은 맛뿐만 아니라
냄새 역시 역겨워 합니다

오이에서 나는 냄새는 알코올의 일종인
노나디에날과 노나디에놀의 냄새로

이것 역시 쓴맛과 마찬가지로
이런 냄새에 대한 민감도가 다른 사람보다 높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오이를 싫어하는 사람과 밥을 먹을 때
냉면에 올라간 오이를 건져내는 모습을 보고
김밥에 들어간 오이를 빼내는 모습을 보고

유난이다, 편식한다 라고 생각하신 분들이 계실 것입니다

이들이 오이를 싫어하는 것은 취향이 아니라
몸이 거부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니
너무 부정적으로 생각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햄버거에는 햄이 없는데 왜 햄버거라고 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충격..! 햄 + 버거가 아니다

빵과 빵 사이에 여러 가지 채소와
새우 패티를 넣어 만든 음식을 새우버거라고 합니다

빵과 빵 사이에 여러 가지 채소와
치킨 패티를 넣어 만든 음식을 치킨버거라고 합니다

이런 버거를 제외한 나머지 버거는
보통 소고기 패티를 사용하거나
소고기에 돼지고기를 섞은 패티를 사용하는데

이런 음식은 소버거나 돼지버거라고 하지 않고 햄버거라고 합니다

그런데 햄버거에는 아무리 찾아봐도 햄이 들어가지 않고
그렇다고 햄 모양으로 만드는 것도 아닌데
왜 햄버거라고 부르는 것일까요




날고기에 양파, 케이퍼, 마늘 같은 것들을 넣어 다지고
후추, 소금으로 간을 해 먹는
우리나라의 육회와 비슷한 이 음식을 타르타르 스테이크라고 합니다

타르타르 스테이크는 과거 몽골계 유목 민족인
타타르 족이 주로 먹던 음식이었습니다

 


14세기 독일은 타타르 족과 교류를 하던 중
타르타르 스테이크를 보게 되었고
독일 상인이 함부르크로 이 음식을 가져와
익혀 먹기 시작했는데

이것을 함부르크 스테이크라고 불렀습니다


19세기에는 많은 독일인들이 미국으로 이민을 갔는데
이때 함부르크 스테이크 역시 미국에 전해지게 되었습니다

함부르크는 이런 스펠링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을 미국식으로 읽으면 햄버그가 됩니다

그래서 독일에서 전해온 이 음식을 햄버그 스테이크라고 불렀죠

우리나라에서는 햄버그 스테이크를
함박 스테이크라고 부르곤 하는데

햄버그를 일본식으로 발음하면 함바그가 되기 때문에
만들어진 이름입니다



햄버그 스테이크는 함부르크에서 온 것이기 때문에
뒤에 er을 붙여 햄버거라고 불리기도 했는데

이때는 아직 빵 사이에 고기를 넣어 만드는
샌드위치 형식은 아니었습니다

햄버거가 지금과 같은 모양이 된 것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1904년 미국 세인트루이스에서 엑스포가 열렸는데
이때 사람이 너무 많이 몰려
햄버그를 빵 사이에 끼워 팔던 것이
지금의 햄버거가 되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합니다

이후 1921년 화이트캐슬이라는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에서
햄버거를 대중화 시켰고

맥도날드가 더 발전된 햄버거를 만들어 전 세계로 퍼지게 되면서
이 음식은 소버거나 돼지버거가 아니라 햄버거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즉 햄버거는 햄 + 버거가 아니라
함부르크 스테이크에서 발전된 음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위험을 느끼면 뱀으로 변하는 스핑크스 나방 애벌레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뱀처럼 보이시나요?

지구에 살고 있는 모든 생물은
험난한 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해
각자마다 가지고 있는 무기가 있습니다

뛰어난 지능을 가지고 있는 인간
날카로운 이빨이나 발톱을 가지고 있는
호랑이나 곰 같은 동물

뿔을 가지고 있거나 독을 가지고 있거나
단단한 집을 가지고 있는 동물

그리고 결속력을 가지고 있는 동물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들 중에는 
위험한 상황이 되면 무시무시한 동물로 변신하는
신기한 동물도 있다고 합니다


 


지금 보이는 이 녀석은 스핑크스 나방의 애벌레입니다(hemeroplanes triptolemus)

스핑크스 나방은 코스타리카에 주로 살고 있으며
남미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애벌레는 평소에는 이렇게 귀여운 모습을 하고 있지만
위협을 느끼게 되면 모습이 많이 달라지게 됩니다


이들의 머리 표면에는 작은 구멍이 있는데
위협을 느끼면 몸을 뒤집고
구멍으로 공기를 빨아들여 머리를 부풀립니다

그럼 귀여운 모습은 온데간데없고
애벌레의 천적들이 두려워할 만한 독사의 모습으로 변하게 됩니다

 


그리고 실제로 천적들을 위협하기 위해
뱀이 사냥을 하는 것처럼 머리를 흔들기까지 합니다

물론 진짜 뱀으로 변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실제로 천적들을 물 수는 없겠지만

진짜 뱀처럼 보이기 때문에
이런 위장 전략은 꽤 큰 효과를 보인다고 합니다



이렇게 자신의 몸을 보호하기 위해
다른 동물의 모습을 따라 하는 것을
의태라고 합니다

의태에는 뮐러 의태와 베이츠 의태가 있습니다

뮐러 의태는 독이 있는 종끼리 서로 닮는 것인데
장수말벌과 좀말벌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뮐러 의태는 의태종과 포식자 모두가 이득을 보는 것으로
포식자 입장에선 장수말벌이 위험하다는 것만 학습하면
좀말벌의 위험성을 굳이 경험하지 않아도
학습을 통해 알게 되니 좀말벌을 피할 수 있습니다

 


베이츠 의태는 약하고 독이 없는 종이
위험한 종을 따라 하는 것으로
스핑크스 나방 애벌레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스핑크스 나방 애벌레는 코스타리카에 서식하고 있는
초록앵무뱀을 따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leptophis ahaetulla)

베이츠 의태는 의태종은 이득을 보지만
의태의 모델이 되는 종은 피해를 보게 됩니다

 


만약 포식자가 위험을 무릅쓰고 애벌레를 먹었는데 맛있었다면
이후에 초록앵무뱀을 애벌레라고 착각해 공격할 수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의태종은 모델을 따라가는 쪽으로 진화를 하고
모델은 다른 모습으로 바뀌는 쪽으로 진화가 일어난다고 합니다

이렇게 천적으로부터 살아남은 스핑크스 나방 애벌레는
애벌레에서 번데기 그리고 나방이 된 뒤
30일 정도 산 뒤 생을 마감하게 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