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귤을 주무르면 달아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과일은 누가 언제부터 먹었을까요

과일이 없는 삶은 상상하고 싶지 않네요


개인적으로 과일을 정말 좋아해서

자주 사먹곤 하는데

겨울의 과일 하면 역시 귤이죠


귤은 알맹이에 씨도 없고

껍질을 까먹는 것도 어렵지 않아서

많은 분들이 드시는 과일이 아닌가 생각되네요


특히나 귤 한상자를 그냥 두고 하나 두개 까먹다 보면

어느덧 텅텅 비어버린 상자를 볼 수 있죠




사실 귤을 좋아하지 않는 분들은

귤이 싫다기보다 귤에 붙어있는 하얀 것이 싫어서

귤을 먹지 않기도 하죠


싫어하기 때문에 이름도 알지 못하는 분들이 많은데

귤에 붙어있는 하얀 것의 이름은 귤락이라고 합니다


귤락에는 펙틴이라는 식이섬유가 들어있는데

대장운동을 활발하게 해주는 것은 물론 중금속 해독까지 해준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귤을 먹고 응가를 잘 싸려면

하얀 것을 떼어내지 말고 먹어야 하는 것이죠



2018/11/19 - [은근한 잡다한 지식/쓸모있는 잡다한 지식] - 왜 설사를 하면 항문이 아픈 것일까?



귤에는 비타민 C가 많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흔히 비타민 C라고 하면 신맛이 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귤이 신맛을 나는 이유는 비타민 C보다 구연산 때문이라고 하네요


그래서 신맛이 많이 나는 귤인 경우

먹기전 충분히 주물러준 뒤 먹곤 하는데

그러면 정말 신기하게도 신맛보다 단맛이 더 강하게 납니다


귤을 주물렀을 뿐인데 더 맛있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귤에는 에틸렌이라는 호르몬이 존재하는데

에틸렌은 식물의 성숙과 노화를 돕는 호르몬입니다



녹색 바나나, 녹색 토마토, 녹색 귤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덜익었다는 것이죠


일반적으로 녹색 과일이라고 하면 덜익은 과일을 뜻하죠


그런데 바나나나 토마토 귤같은 경우에는

녹색인 상태에서 재배를 해도 시간이 지나면 각자 잘익은 색으로 변하곤 합니다


나무에서 떨어졌는데도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에틸렌이 있기 때문입니다



사람에게 계속 충격을 주면 스트레스를 받고 화를 내지만

과일에게 계속 충격을 주면 스트레스를 받고 에틸렌을 뿜어냅니다


귤도 마찬가지이죠

표면을 계속 주무르면 귤이 스트레스를 받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에틸렌을 뿜어내기 시작합니다


이때 귤 속에 있던 전분이 당으로 바뀌고

단기간에 귤이 숙성되면서 당도가 올라가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서 에틸렌이라는 호르몬은 과일을 익게 만들어주는 호르몬이기 때문에

우리가 귤을 먹기 전에 충분히 주물러주면 귤이 빠르게 익으면서 먹기 좋은 상태로 바뀌는 것이죠



하지만 충분히 익은 귤을 주무른다고 해서

당도가 더 높아지지는 않습니다


귤은 당도가 이미 결정되어있기 때문에

충분히 익은 귤을 주무르면

에틸렌의 영향으로 다른 귤보다 더 빨리 썩어버릴 수 있습니다



에틸렌은 과일의 성숙뿐 아니라 노화에도 관련이 있는데

과일이 다 익고나면 에틸렌은 이후에 과일을 노화시킵니다



에틸렌은 가스형태로 과일에서 방출됩니다

에틸렌이 많이 포함되어있는 대표적인 과일이 사과인데

사과와 다른 과일을 같이 보관할 경우 에틸렌 때문에 다른 과일의 성숙이 빨라져

과일이 빨리 상해버리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딸기나 포도처럼 보관기간이 짧은 과일과 함께 보관하면

순식간에 썩는 딸기와 포도를 볼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에틸렌이 나오는 이유에는 한가지 썰이 존재합니다


과일은 벌레나 동물에게 공격을 받을 경우 방어를 하거나 대처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에틸렌을 이용해 빠르게 성숙시킨 뒤 종자를 남겨 후손을 남기기 위한 전략이라는 것이죠


귤은 생존을 위해 에틸렌을 뿜어내는 전략을 이용했겠지만

오히려 이런 전략 덕분에 우리는 더 맛있는 귤을 먹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왜 설사를 하면 항문이 아픈 것일까?



음식을 먹으면 배출을 하는 것은 자연의 섭리입니다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은 몸속에 필요 없는 것들을 배출하죠


오늘 하루 화장실을 몇번 다녀왔나요?

저는 제법 많이 다녀오는 편입니다

소변도 자주 나오는 것 같고

대변도 다른 사람에 비해 꽤 많이 나오는 것 같네요


죄송합니다 너무 TMI였네요





음식을 먹고 나면

소화가 된 음식을 제외하고

나머지 것들은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이것을 큰 것, 대변, 똥이라고 하죠


전문 용어를 사용해야하는 곳이 아니라면

보통은 똥이라고 표현합니다


원래 똥은 지금과 같은 색은 아니지만

혹시 불쾌할 수 있을 것 같아서

나름대로 귀엽게 표현해봤습니다



똥이 나오는 구멍은

우리 몸에 딱 하나 있습니다


이것을 항문, 똥구멍, 똥꼬라고 하죠

보통은 똥구멍이라고 표현하긴 하지만

약간 귀엽게 똥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항문을 어떻게 그려야 할지 엄청 고민하다가

결국 지금과 같은 모양이 탄생했습니다


도저히 이 이상으로 표현할 수가 없네요



화장실에서 볼일을 본 뒤 변기를 자주 보시나요?

물론 더럽겠지만

본인의 건강 확인을 위해서라도

볼일을 본 뒤 변기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뭐 어쨌든 변기를 보면 가끔은 내 자신이 놀랍게 느껴질 때가 있죠


상당히 커다란 그것이 나왔기 때문입니다


똥이 나오는 구멍은 정말 작은데

어떻게 이렇게 커다란 똥이 나왔지? 하면서 말이죠


그런데 크고 굵은 똥도 견뎠던 항문은

훨씬 작고 액체상태인 똥 설사를 견디지 못하고 아파합니다


작은 구멍에서 커다란 똥이 나올 때 더 아파야할 것 같은데

왜 액체상태인 설사가 나올때 더 아픈 것일까요?


일반적으로 똥은 75%가 물이고

나머지의 3분의 2는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

3분의 1은 박테리아라고 합니다


입안으로 들어와 식도를 거쳐 위에 도달한 음식물은

강한 산성 액체인 위액을 만나게 됩니다



산성은 숫자가 낮을 수록 더 신데

위액은 식초나 레몬보다 더 낮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음식물은 위에 들어가 위액과 만나고

이후에 소장으로 보내집니다


소장에서는 음식물의 영양분을 흡수하고

필요없는 나머지는 대장으로 보냅니다


대장에선 물과 나머지 음식물이 뭉쳐집니다


이렇게 탄생한 것이 바로 똥입니다


똥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상당히 짧게 설명하긴 했지만

실제로 똥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12시간 ~ 15시간 정도라고 합니다


그리고 똥이 배출되는 시간은 24시간 ~ 48시간 후라고 합니다


하지만 설사의 경우

이런 과정을 전부 무시합니다



설사는 소화과정을 거치지 않고

위액과 함께 그냥 배출됩니다


위액속에는 위산이라는 강한 산성 액체 염산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약한 항문을 통해

이것을 배출해내면 아플수 밖에 없는 것이죠



일반적인 똥은 대장에서 열심히 모양을 만들기 때문에

표면이 매끈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설사의 경우 덜 가공된 음식물이기 때문에

항문을 통과하면서 항문을 자극하는 것이죠



때로는 똥을 쌌다고 표현하기 보다

똥을 발사했다고 표현하는 것이 맞을 정도로

폭풍설사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폭풍설사는 이름처럼 장내를 폭풍 질주하죠



이때 설사의 최대 속도는 70km정도라고 하네요


아무리 액체라고해도 이렇게 빠른속도로 온다면

항문이 아닌 다른곳이라도 아플수 밖에 없겟죠


우리가 타는 지하철의 경우 평균 속도가 50km정도라고 하고

빠르다고 할때마다 언급되는 동물인 치타는 속도가 100km라고 합니다



설사를 쌀 경우 위산과 덜 가공된 음식물을 배출하느라

항문이 예민해진 상태입니다


이때 항문을 마찰이 심한 휴지로 닦으면서

통증이 더 심해지는 것이죠


설사를 싼 경우에는 항문에 있는 주름 사이에 찌꺼기가 끼어있을 수 있고

항문도 예민한 상태이기 때문에

비데나 샤워기를 이용해서 물로 씻어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밖에서 볼일을 보는 경우 휴지가 아니라 물티슈로 뒷처리를 하는 것이 좋다고 하네요



가끔하는 설사는 몸속의 해로운 물질을 없애주기도 하고

장을 깨끗하게 청소해준다고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설사가 계속 지속되고 정도가 심하다면

병원에 가는 것이 좋다고 하네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더블유(W)는 왜 더블브이(V)가 아니라 더블유(U)라고 할까



지금은 그저 당연하게 사용하고 있지만

문자의 발명은 정말 대단한 것 같습니다


문자가 없었다면 지금도 손짓이나 몸짓으로 대화를 했을 것이고

인간은 동물들과 다를게 없었겠죠


문자를 만든다는 것은 그만큼 대단한 일이고

다시 생각해보면 세종대왕이라는 사람은 진짜 대단한 업적을 이뤄낸 사람인 것 같네요


우리는 수많은 영웅들을 좋아합니다

영웅이라고 불리는데 조건이 무엇인지는 모르겠지만

세종대왕은 감히 영웅이라고 불러도 될 정도인 것 같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한글 자음중에서는

같은 자음을 두번 사용하는 쌍자음이 존재합니다


기역(ㄱ)이 두개 있으면 쌍기역(ㄲ)

디귿(ㄷ)이 두개 있으면 쌍디귿(ㄸ)

비읍(ㅂ)이 두개 있으면 쌍비읍(ㅃ)

시옷(ㅅ)이 두개 있으면 쌍시옷(ㅆ)

지읒(ㅈ)이 두개 있으면 쌍지읒(ㅉ)입니다


영어도 같은 문자를 두번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한글처럼 많지는 않고 딱 하나 있죠

바로 더블유(W)입니다



우리가 평소에 더블유를 사용할 때는 아무런 위화감이 없습니다

그런데 더블류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을 해보죠


더블유를 영어로 쓰면 Double U가 됩니다


Double은 두배의 라는 뜻이고

U는 영어 알파벳 U를 말하죠


더블유를 해석해보면 U가 두개 있다는 뜻입니다


UU이런식으로 말이죠



우리가 사용하는 더블유의 모습을 보죠

W 이런 모습입니다


더블유는 정확히 말하면 더블유가 아니라 더블브이인 것이죠

브이가 두개인 모양입니다


더블유는 브이가 두개 있으면서

왜 더블브이라고 부르지 않고 더블유라고 부르는 것일까요?



전세계적으로 정말 많이 사용하는 문자인 영어는

원래 고대 로마인들이 사용하던 문자였습니다


그당시에는 J, U, W는 없는 문자였죠


사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는 중국어, 스페인어, 영어 순이지만

그나라 언어를 몰라도 영어만 할줄 알면 대화가 통하기 때문에

만능 언어가 아닌가 생각되기도 하네요



U는 중세 이전부터 등장하기 시작합니다

중세 이전에는 U와 V를 같은 문자로 생각하면서 사용했죠


중세 이후에는 U의 쓰임새가 조금 달라졌습니다

단어 앞에 쓸 때는 V를 썼고

단어 뒤에 쓸 때는 U를 썼죠


하지만 발음은 지금의 U와 같은 발음인 [u] 발음을 사용했습니다



이것에 대표적인 예가 이탈리아 보석 브랜드의 불가리입니다


불가리를 영어로 적어보면

BULGARI가 됩니다


하지만 불가리 로고를 보면 BULGARI가 아니라 BVLGARI입니다


이것은 고대 알파벳 표기법에 따라서 적었기 때문이죠

단어 앞에 쓸때는 V 단어 뒤에 쓸때는 U



게르만족이 사용하던 룬 문자에는 W가 있었습니다


룬 문자에서 W는 영어 알파벳 P와 비슷한 모양의 문자였죠

지금 이미지에서 가장 오른쪽 상단에 위치한 문자입니다



지금의 W를 읽을 땐 더블유라고 읽지만

과거 룬 문자 W를 읽을 땐 윈(wynn)이라고 읽었습니다


룬 문자 윈의 발음 기호는 [uu] 였습니다



노르만족들이 영국을 정복한 노르만 정복 이후에는 

W의 사용이 늘어났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지금의 W가 아니라 룬 문자 윈(p)의 사용이 늘어난 것이죠


룬 문자 윈은 영어 P와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에

사용할때마다 헷갈리기 일쑤였습니다


그래서 1300년대 이후에는 룬 문자 윈은 사라지게 되었죠


그리고 V와 U를 다르게 발음하기 시작했습니다


V는 [v] 발음으로 U는 [u] 발음이었죠


그렇기 때문에 과거 룬 문자 윈을 발음할 문자가 필요했습니다

룬 문자 윈의 발음 기호는 아까도 말했지만 [uu] 이런식이죠



처음에는 발음 기호의 모양대로 UU를 사용했습니다

이때부터 더블유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UU의 모양은 시간이 지나 VV로 바뀌었고

최종적으로 지금과 같은 W가 된 것이죠


UU를 사용할 때부터 더블유라고 불렀지만

이후에 모양이 바뀌게 되면서 명칭을 바꾸지 않았기 때문에

더블브이가 아니라 더블유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하지만 W를 더블유라고 읽는 곳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영어를 포함한 소수의 언어 뿐이죠

영어는 W를 더블유라고 읽고 U발음과 비슷하게 발음합니다


프랑스어, 독일어, 네덜란드어, 이탈리아어 같은 경우에는

W를 더블브이로 읽고 발음도 V발음과 비슷하게 발음하죠



대표적인 예로는 독일의 폭스바겐이 있죠


폭스바겐의 영문명은 Volkswagen입니다


우리가 알고있는 영어를 생각해보면 wagen은 절대 바겐이 아니라 웨건이죠

그리고 바겐을 쓰려고 하면 wagen이 아니라 vagen이라고 써야 맞습니다


하지만 폭스바겐은 독일어로 적었기 때문에 바겐이라 할지라도

vagen이 아니라 wagen이 되는 것이죠


독일어에서 W는 V발음이 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같은 경우에는

W를 지명이나 사람이름, 외래어를 쓸때만 사용하고

평상시에는 사용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William(윌리엄) 이렇게 사람 이름은 W를 사용하죠


영어로 겨울은 WINTER입니다

하지만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는 W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WINTER가 아니라 VINTER라고 씁니다


읽을때도 영어는 윈터라고 읽지만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는 빈터라고 읽는 것이죠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