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곪은 데는 왜 마취가 안 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곪은 데는 왜 마취가 안 될까

피부에 상처가 나 세균에 감염되면
면역세포 중 하나인 백혈구가 세균과 싸우게 됩니다

이것을 염증이라고 하는데
싸우는 동안 죽은 백혈구나 세균은 상처 부위로 배출됩니다

이것을 고름이라고 하며 고름이 생긴 부위를 곪은 데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이처럼 곪은 데는 마취가 안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도대체 왜 곪은 데는 마취가 안되는 걸까요

https://youtu.be/kzC7r93YEy0


마취는 전신마취와 부분마취가 있습니다
곪은 데를 치료할 때는 부분마취를 하는데
일정 부분만 마취를 한다고 해서 국소마취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우리 몸속에 있는 세포에는 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얇은 막이 있습니다
이것을 세포막이라고 하는데 세포막에는 이온 채널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온 채널은 각종 이온을 세포의 안과 밖으로 통과시키는 일종의 통로입니다

 


피부에 뭔가 강한 자극이 발생하면 신경세포가 먼저 이 자극을 느낍니다
전하를 띤 이온은 세포막을 통과할 수 없지만
신경세포가 자극을 느끼면 이온 채널중 하나인 나트륨 채널이 열려
나트륨 이온이 신경세포로 들어갑니다


그럼 신경세포가 활성화돼 자극에 대한 정보를
전기신호로 만들어 뇌로 전달하고
뇌가 이 신호를 받으면 통증이 느껴집니다

국소마취를 할 경우 약물이 세포막을 뚫고 들어가 나트륨 채널에 영향을 줘
자극이 발생해도 나트륨 채널이 열리지 않도록 합니다

 


나트륨 채널이 열리지 않으면 나트륨 이온이 들어오지 못해
전기신호를 만들어낼 수 없습니다

전기신호가 만들어지지 않으면 뇌로 정보가 전달되지 않으니
마취를 하면 자극이 발생해도 통증이 느껴지지 않는 것입니다



어떤 물질의 산성도를 나타내는 단위를 pH라고 합니다
pH7인 경우 중성, 7보다 높을 경우 염기성, 낮을 경우 산성입니다

정상적인 피부 조직은 pH7.4 정도 되고
염증이 발생한 조직, 즉 곪은 데는 pH6.0 정도 된다고 합니다

국소마취 약물은 염기성입니다

 


앞에서도 말했던 것처럼 전하를 띤 이온은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하는데
정상적인 피부 조직에서는 이온화가 덜 이루어져
약물이 세포막을 뚫고 나트륨 채널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곪은 데는 산성이기 때문에 약물과 산성이 만나면 이온화가 많이 이루어져
약물이 세포막을 뚫고 들어가지 못합니다

약물이 들어가지 못하면 나트륨 채널이 열리게 되니
자극을 받으면 마취를 했음에도 통증이 느껴지게 됩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박명수의 말처럼 곪은 데는 마취가 안되는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방송에서 연예인들이 타투를 가리는 이유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방송에서는 왜 타투를 가리는 걸까

 

 

여러분들은 타투를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무섭거나 왜 했나 싶은 생각이 들 정도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고

나를 표현하는 또 다른 수단, 패션의 일부로 생각하는 것처럼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확실히 과거에는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았지만
요즘에는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인뿐만 아니라
티비에 자주 나오는 연예인이나 운동선수도
타투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타투를 한 사람이 티비에 나오면
타투에 테이프를 붙이거나 모자이크 처리를 해
타투가 안 보이게 만듭니다

이처럼 티비에서 타투를 가리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리나라에서 의사 면허가 없는 사람이
타투 시술을 하는 것을 불법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타투이스트는 2만 명 정도
이중 의사 면허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10명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대부분의 타투 시술이 불법인 셈이죠

하지만 이런 이유 때문에 방송에서 타투를 가리는 것은 아닙니다

방송은 시청자의 알 권리를 보장해야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내용을 방송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괜찮은 내용인지 괜찮지 않은 내용인지에 대한 것은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에 나와있는데

제27조를 보면 불쾌감이나 혐오감을 느낄 수 있는 내용은
표현해서는 안 된다고 나와있습니다

물론 이것이 타투를 콕 집어서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런 내용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나와있지 않기 때문이죠


한국리서치에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타투를 혐오스럽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60%
타투를 한 사람은 불량하거나
무섭게 느껴진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66%였습니다

나이가 어릴수록 타투를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긴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타투는 여전히 부정적인 이미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방송사에서는
타투가 불쾌감이나 혐오감을 줄 수 있다고 판단해
자체적으로 타투를 가리는 것입니다

방송 심의에 관한 규정 제44조를 보면
어린이와 청소년이 모방할 우려가 있는 내용을 다룰 때에는
신중해야 한다고 나옵니다

그래서 어떤 내용이냐에 따라
7세, 12세, 15세, 19세 이상으로 분류하기도 하죠

 


방송에 담배나 술이 나올 경우 19세 이상으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타투 역시 부정적인 이미지 때문에 19세 이상으로 분류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방송 자체가 어린이와 청소년이 봐도 괜찮은 내용임에도
타투를 한 출연자 때문에 19세 이상으로 분류될 순 없으니
타투를 가리는 것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앞에서도 말했던 것처럼
타투가 방송에 나오면 안 된다는 절대적인 규정은 없습니다

단지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기 때문에 가리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
우리나라에서 타투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바뀐다면
방송에서도 타투를 가리지 않게 될 수도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혈액형 스티커는 정말 자동차 사고가 났을 때 도움이 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포ㅇ스 선정 위급 시 도움 안되는 스티커 1위

 

 

도로에 나가면 자동차 뒤편에
각종 스티커가 붙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어이없게도 초보자임을 이용해 협박을 하는 문구도 있지만
운전을 잘 못하니 양해해달라는 의미를 가진
초보운전 스티커부터 시작해서


아이가 타고 있어요라든지
임산부가 타고 있어요라든지
위급 시 아이 먼저 구해달라는 문구나
아이의 혈액형 혹은 가족 전체의 혈액형처럼
각종 정보를 써놓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중 혈액형의 경우 수혈이 필요한 큰 사고가 났을 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초보를 벗어난 사람들도 많이 붙이곤 하죠



그런데 사실 혈액형 스티커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환자에게 수혈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것은
사고가 굉장히 크게 났다는 것입니다

스티커가 있었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자동차의 상태가 온전하지 않겠죠


만약 스티커가 잘 붙어 있다 하더라도
인명구조를 하기에 바쁜 구급 대원이
혈액형 스티커를 보고 있을 여유는 없을 것입니다

만약 구급 대원이 이 스티커를 봤다 하더라도
병원에 정보를 전달할 일은 없습니다

 


피를 많이 흘렸을 땐 자신의 혈액형과
같은 혈액형의 피를 받아야 합니다

다른 혈액형의 피가 들어올 경우
피가 굳어 혈관을 막아 사망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병원에서 혈액형 스티커를 보고 수혈을 했는데
하필 차에 탄 사람이 다른 사람이었거나
스티커의 정보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수혈이 필요한 환자가 들어올 경우
정확한 판단을 하기 위해 혈액형 검사를 먼저 한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혈액형 스티커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이죠
오히려 스티커가 시야를 가려 사고가 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초보운전 스티커의 경우 도움이 된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미국 뉴저지에서는 2010년에
21세 미만의 사람이 면허를 따면
1년 동안 초보운전 스티커를 붙이도록 하는 법을 만들었습니다


그 결과 법 시행 첫 2년 동안은 충돌 사고가 9.5% 감소했다고 합니다

일본과 호주에서도 면허를 따면
1년 동안 초보운전 스티커를 의무적으로 붙여야 합니다

우리나라 역시 초보운전 스티커를 의무적으로 붙여야 했지만
오히려 초보자들이 위협당한다는 이유로
1999년에 법이 삭제되어
지금처럼 자유롭게 붙이는 식으로 변화하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