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자율 무려 100% 어마무시했던 조선시대의 사채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이자율 100%? ㅎㄷㄷ 했더 조선시대 사채

 

 

무언가 하려고 하는 일에 큰돈이 필요할 때
그런데 나는 그렇게 큰돈을 가지고 있지 않을 때

돈을 더 많이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돈을 빌리곤 합니다

이것을 대출 혹은 사채라고 말하는데
은행에서(1금융, 2금융) 돈을 빌리면 대출이라고 표현하고
대부 업체나 불법사업체에서 돈을 빌리면 사채라고 표현합니다

 


대출이든 사채든 중요한 건 이자가 얼마나 되느냐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대출 이자율 평균은 5% 정도 된다고 합니다

대부 업체의 경우 업체마다 다르지만
법정 최고 이자율인 20%를 넘길 수 없습니다

하지만 불법사업체의 경우엔
20%를 훨씬 넘어섭니다


조선시대에도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행위가 있었습니다

이 사업을 급채, 방채, 흥리라고 부르기도 했는데
가장 많이 사용된 말은 식리(殖利)라고 합니다

그래서 관련된 사업을 하는 사람을 식리인이라고 부르기도 했죠

조선에서는 식리가 엄청나게 유행했습니다

나라에서 직접 사업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고위 관직들 양반들 심지어 스님들까지

돈을 좀 가지고 있다 하면 너도나도 식리에 뛰어들었는데

오히려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관련된 사업을 했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입니다


나라에서 하는 식리는 공채라고 불렀으며
개인이 하는 식리는 사채라고 불렀습니다

이때 공채는 일반적으로 이자율이 20%
사채는 이자율이 50%였다고 합니다

식리의 이자를 이식이라고 했는데
50%가 넘어가는 이자는 장리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이자율 50%도 말도 안 되는 수준이지만
일부의 식리는 이자율이 무려 100%였습니다

만약 내가 1만 원을 빌리면 갚아야 할 돈은 2만 원이 되는 셈이죠

게다가 1년 뒤에는 원금과 이자를 합쳐 이자를 계산하기도 했습니다

나는 1만 원을 빌렸는데 4만 원을 갚아야 하는 상황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빌려준 사람과 빌린 사람 간에
크고 작은 다툼이 발생하기도 했는데
심하게 괴롭히거나 채찍으로 때리기도 했으며
살인을 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심지어 살인을 한 뒤 시체를 다른 곳에 버리고
그 사람이 자살한 것처럼 꾸미기도 했습니다

식리인의 횡포에서 벗어나기 위해 돈을 갚으려
도둑질을 하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나라가 직접 이자율을 정해주기도 했는데
왕이 누구냐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었습니다

조선의 4대 왕인 세종은 공채의 이자가 3%를 넘지 못하도록 했으며
19대 왕인 숙종과 21대 왕인 영조는
공채, 사채 구분 없이 모두 20%를 넘지 못하도록 했습니다


조선 전기에는 이자가 아무리 쌓여도 원금을 넘지 못하게 하는 법이 있었는데
이것을 일본일리 혹은 자모상모라고 합니다

조선 후기에는 3년까지만 이자를 받고
그 이후에는 이자를 받지 못하게 하는 법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것들이 언제나 지켜지는 것은 아니었죠


대한제국 때에는 법으로 정한 최고 이자율은 20%였고
일제강점기 때에는 금액마다 달랐지만 20~30%였습니다

외환위기(IMF)가 발생했을 때는 잠시나마 이자 제한을 폐지했고
2002년 다시 이자 제한을 부활시키면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의지를 가지고 스스로 움직이는 나무가 있다?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움직이는 나무가 있다고?

우리는 입으로 음식을 먹어
소화되는 과정에서 나오는 영양분에서
에너지를 얻어 살아갑니다

식물은 입이 없는 대신 잎이 있어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얻고
뿌리로 영양분을 흡수해 에너지를 얻어 살아갑니다

그런데 뿌리는 땅속에 박혀있기 때문에
식물은 의지를 가지고 스스로 움직이지 못합니다

하지만 남아메리카에 주로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이 야자수는 조금 다릅니다

워킹팜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름처럼 이 야자수는 다른 식물과 다르게
걸어 다닐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25m까지 자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워킹팜은
줄기의 길이만 20m 정도 되고
특이하게 뿌리가 땅에 박혀있는 것이 아니라
3m 정도가 땅 밖으로 나와있습니다

워킹팜은 바로 이 뿌리를 이용해 걸어 다닌다고 합니다

식물이 잘 자라기 위해선 햇빛이 필요합니다
워킹팜은 햇빛을 찾아 이동하는데

 


햇빛이 더 잘 드는 쪽으로 새로운 뿌리를 내리고
그렇지 못한 쪽에 있는 뿌리는 말려 죽입니다

이런 식으로 계속 뿌리를 내리다 보면
새로운 뿌리가 자란 쪽으로 조금씩 이동하게 되는데
이렇게 이동하는 거리만 1년에 20m 정도 된다고 합니다

1년에 20m라고 하면 굉장히 적은 거리라
움직였다고 할 수 있나?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항상 같은 자리에 있는 다른 식물들과 비교해 본다면
엄청난 움직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워킹팜이 살고 있는 열대 우림에는
수많은 식물들이 있기 때문에
영양분과 햇빛을 얻기 위한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이렇게 진화한 것이라고 합니다

워킹팜에 대한 이런 이야기는 1980년대부터 나오기 시작했는데
일부의 전문가들은 워킹팜에 무언가 떨어져 워킹팜을 짓누를 경우
새로운 뿌리를 내리고 기존의 뿌리와 줄기를 죽여
위험 요소가 없는 새로운 곳으로 이동해 자란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워킹팜이 움직이는 것은
과장된 이야기라고 말하는 전문가들도 있습니다

워킹팜의 뿌리중 일부가 죽고 새로운 뿌리가 자랄 순 있지만
여전히 그 자리에 박혀있을 뿐 전혀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이죠

워킹팜이 실제로 움직이는 영상을 전혀 찾지 못했는데 
비교적 최근에 연구가 이루어졌다고 해도
이점은 조금 이상하긴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슬로바키아의 생물학자 피터 브르산스키는
워킹팜이 움직이는 모습을 실제로 봤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움직이는지 움직이지 않는지 아직 정확하게 말할 수 없지만
이것을 증명하기 위한 연구는 지금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유전자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유전자

https://youtu.be/8jEjOdsBam8

요즘 같은 날씨에는 가만히 있어도 땀이 날수밖에 없습니다

땀이 나면 찝찝함도 문제가 되지만
불쾌한 냄새도 문제가 됩니다


땀은 땀샘에서 분비되는데
입술, 성기, 손발톱을 제외한 모든 곳에 있는 에크린샘과
주로 겨드랑이에 있는 아포크린샘 두 종류가 있습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 다르게
땀 자체는 냄새가 없습니다

하지만 땀을 흘리면 냄새가 납니다

특히 겨드랑이에서 나는 냄새는 얼마나 심한지
암내라는 명칭이 만들어져 따로 불리고 있기도 하죠

 


겨드랑이에서 나는 땀은 아포크린샘에서 분비되는 것인데
아포크린샘은 피지샘과 통로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곳을 통해 나온 땀은
지방, 단백질, 콜레스테롤 같은 것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겨드랑이에는 포도상구균의 일종인
스타파일로코쿠스 호미니스 라는 세균이 살고 있습니다

이 세균은 아포크린샘에서 나오는 땀 속에 있는 이물질을 흡수한 뒤
티오알코올이라는 물질을 만들어내는데
이 물질이 악취의 원인이 됩니다

즉 암내는 땀에서 나는 냄새가 아니라
비유하자면 세균이 땀을 먹고 싼 똥에서 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암내는 아포크린샘에서 땀이 얼마나 나느냐
겨드랑이에 세균이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암내는 특히 서양인들이 지독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들은 아포크린샘에서 땀의 분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땀의 분비가 활발하냐 활발하지 않느냐는
어떤 유전자를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아포크린샘 활성화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가
ABCC11이라는 유전자인데

이 유전자는 G형과 A형으로 나누어집니다
G형은 땀의 분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A형은 땀의 분비가 적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G형을 가지고 있으면 암내가 심하고
A형을 가지고 있으면 암내가 심하지 않습니다



2013년 일본에서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아프리카, 아메리카, 유럽인들은 대부분이 G형을 가지고 있고

동아시아인들은 대부분이 A형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한국인은 모든 사람이
A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는데
이런 이유 때문에 서양 사람들은 암내가 심하고
우리는 암내가 심하지 않은 것입니다

물론 이 연구는 대구 사람 100명을 가지고 한 것이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는 없지만


2010년 독일에서 했던 연구 결과에서도
동아시아인들은 A형의 비율이 높다고 한 것으로 봐
 
확실히 우리나라 사람은 다른 나라 사람에 비해
암내 유전자가 적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암내가 심하게 나면 질병으로 분류하기도 하는데
이것을 액취증 혹은 취한증이라고 합니다

액취증은 G형 유전자가 많은 서양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병으로
이들은 냄새를 관리하기 위해 데오드란트 같은 제품을 자주 사용합니다

데오드란트는 아포크린샘을 막아 땀이 나는 것을 방지하고
겨드랑이에 있는 세균을 죽여
암내가 나지 않게 해주는 제품입니다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도 데오드란트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서양에서는 필수 보급품처럼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제품이라고 합니다

 


아포크린샘은 귀에도 있습니다
귀에 있는 귀지는 젖은 귀지와 마른 귀지로 나누어지는데
ABCC11 G형을 가지고 있다면 땀 때문에 젖은 귀지가 만들어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서양인들은 대부분이 젖은 귀지를 가지고 있는데
만약 내가 젖은 귀지를 가지고 있다면
암내가 날 확률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포크린샘이 활발할 경우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내가 젖은 귀지를 가지고 있고
암내가 심하게 난다면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높다는 뜻이니
이것을 주의해야 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