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핫도그는 왜 뜨거운 개라고 불리는 걸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핫도그는 왜 뜨거운 개일까

길거리를 걷다가 언제는 사먹을 수 있고

장거리 여행을 하다가 휴게소에 들려 사먹을 수 있고

 

그리고 꼭 특별한 의미를 두지 않아도

그냥 마트나 편의점에서 쉽게 사먹을 수 있는 핫도그

 

우리들이 좋아하는 간식 중 하나입니다

 

물론 평소에 이런 것을 생각해보진 않겠지만

핫도그의 이름에 대해 잠깐 생각해봅시다

 

핫도그 직역하자면 뜨거운 개라는 뜻입니다

 

그런데 핫도그의 모양은 개 모양도 아니고

소시지 역시 돼지고기나 소고기를 사용합니다

 

핫도그는 왜 핫도그라고 불리는 것일까요?

 

 

우리나라에서 핫도그라고 하면

막대기에 소시지를 끼운 뒤 밀가루반죽을 묻혀 튀겨낸 음식을 말하지만

 

미국에서 핫도그라고 하면

빵에 소시지를 끼운 뒤 여러가지 채소와 소스를 넣어 만든 음식을 말합니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스포츠를 보며 음식을 먹는 것은 공통된 문화입니다

 

특히 야구를 보면서 음식을 먹는 것은

아주 오래전부터 이어져 내려왔죠

 

미국에서 야구는 아주 인기있는 스포츠 중 하나이기 때문에

그와 관련된 음식 역시 정말 많이 있습니다

 

여러가지 음식 중 핫도그는 미국 야구팬들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으로 알려져있는데

 

미국의 한 통계 자료에 따르면

야구팬들이 먹는 핫도그의 수는

시즌당 2천만개정도 된다고 합니다

 

핫도그에 들어가는 소시지는

독일에서 건너온 것인데

프랑크푸르터라는 정식 명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긴 모습이 닥스훈트와 닮아

닥스훈트 소시지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1901년 미국 뉴욕에서는 야구 경기가 열리고 있었는데

이때도 역시 그 음식을 파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늘 하던것처럼 음식을 팔 때

뜨거운 닥스훈트 소시지가 있습니다

라고 말했는데

 

이것을 본 만화가 태드 도건은

이런 장면을 만화로 그려 신문에 싣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태드 도건은 닥스훈트의 철자를 정확하게 몰라서

뜨거운 닥스훈트가 아니라 그냥 핫도그(뜨거운 개)라고 쓰게 되었는데

이것이 재밌어 이후로 뜨거운 닥스훈트 소시지는 뜨거운 개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실제로 독일에서 닥스훈트가 건너온 것이

1800년대 후반인 것으로 봤을 때

어느정도 가능성이 있는 설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니다

 

하지만 이런 만화는 실제로 발견되지 않았으며

사본 역시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고 합니다

 

1890년대 한 대학교의 기숙사에서

소시지를 파는 마차를 개 마차라고 부른 덕분에

이 음식이 핫도그라고 불리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긴 하지만

 

이것 역시 핫도그의 정확한 어원으로 채택된 것은 아닙니다

 

독일에서 소시지가 들어올 때

닥스훈트도 같이 들어오게 되었는데

 

이때부터 이미 이 소시지를 개라고 부르거나 닥스훈트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처음부터 핫도그는 핫도그였을지도 모릅니다

 

우리는 과거로 돌아갈 수 없기 때문에

핫도그가 왜 핫도그라고 불리는지에 대한 이류를

정확하게 알아낼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

 

어떤 어원이든 마찬가지이겠죠

 

하지만 한가지 확실한 것은

핫도그가 처음 만들어진 때부터 지금까지

쭉 맛있는 음식이었다는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스트레스를 받으면 왜 흰머리가 나는 걸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왜 흰머리가 나는 걸까

사람은 태어난 뒤에 성장합니다

이것은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 식물도 마찬가지이죠

 

생명체라면 똑같은 삶을 반복합니다

성장한 뒤 시간이 지나면 그 다음엔 노화가 시작됩니다

 

우리는 노화를 막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을 연구하고 있지만

자연의 섭리를 거스르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노화는 많은 신체 변화를 가져옵니다

근육과 뼈가 많이 약해지기도 하며

얼굴에 주름이 생기거나 목소리가 변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머리카락을 포함한 털이 하얗게 바뀌게 되죠

그런데 때로는 젊은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흰머리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이유는 무엇일까요?

 

 

노화에 의한 흰머리는 멜라닌 색소가 원인이 됩니다

 

멜라닌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을 막아주는 것이 가장 큰 역할이지만

피부를 비롯한 여러가지 부위에 색깔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점이 까만색인 이유도 머리카락, 눈동자가 까만색인 이유도

모두 멜라닌 때문입니다

 

머리카락은 모낭에 있는 멜라닌 줄기 세포에서 멜라닌이 만들어집니다

그래서 머리카락이 까맣게 보이는 것이죠

 

노화가 시작되면 멜라닌 줄기 세포는 점점 사라지게 됩니다

그럼 멜라닌을 만들어낼 수가 없게 됩니다

 

그래서 머리카락이 하얗게 바뀌는 것입니다

 

젊은 나이에 나는 흰머리는 새치라고 합니다

새치가 나게 되면 너 스트레스 받았나보다 라고 말하긴 하지만

이것에 대한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내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하버드 대학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스트레스가 새치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노르아드레날린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됩니다

노르아드레날린은 멜라닌 줄기 세포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그럼 멜라닌 줄기 세포는 세포 분열을 하게 되고

 

평소보다 성장, 노화가 빨리 일어나게 되죠

 

멜라닌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잃어버리면

까맣던 머리가 하얗게 변하게 됩니다

 

이것은 노화에 의한 흰머리와 똑같은 현상입니다

 

즉 스트레스가 머리카락을 빨리 늙게 만든다는 것입니다

 

하버드 대학 연구 팀은 쥐에게 통증, 제한된 움직임을 통해

지속적으로 스트레스를 주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5일만에 흰색 털을 가진 쥐로 바뀌게 되었죠

 

이후 연구팀은 멜라닌 줄기 세포의 세포 분열을 억제하고

노르아드레날린의 분비를 막았더니

더이상 흰색 털이 자라지 않았다고 합니다

 

아직 젊은데도 불구하고 새치가 난다는 것은

무언가 크게 잘못됐다는 신호는 아닙니다

 

하지만 어쨌든 스트레스가 몸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뜻이지

새치를 발견했다면 스트레스 원인을 제거하거나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해야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피사의 사탑은 왜 기울어져 있으며 어떻게 넘어지지 않는 걸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피사의 사탑은 왜 기울어져 있을까

우리나라에 있는 경복궁

이집트에 있는 피라미드

칠레에 있는 모아이 석상

이탈리아에 있는 콜로세움

프랑스에 있는 에펠탑

 

이런 것들은 그 국가를 대표하는 랜드마크입니다

 

이탈리아에는 콜로세움 말고도 또다른 랜드마크가 있죠

바로 피사의 사탑입니다

 

피사의 사탑은 다른 건축물과는 다르게 기울어져 있는데

그것 덕분에 유명해져 랜드마크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왜 피사의 사탑은 기울어져 있는 것일까요?

처음부터 이렇게 디자인 한 것인지

아니면 어떤 이유가 있는 것인지..

 

 

피사의 사탑은 이탈리아 토스카나 주 피사 시에 있는 탑으로

피사 대성당의 부속건물이지만

약간 기울어져 있는 덕분에 대성당보다 훨씬 더 유명한 건물이 되어버렸습니다

 

피사의 사탑 공사는 1173년 처음 시작되었습니다

높은 건물 답게 공사하는데 꽤 오랜 시간 소요됐습니다

 

1178년 피사의 사탑 3층을 올리던 중

갑자기 건물이 기울기 시작했습니다

 

이런 이유는 피사의 땅이 높은 건축물을 짓기에 부적절했기 때문입니다

 

피사라는 이름은 습지를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따왔다고 합니다

이름처럼 피사의 땅은 젖은 모래와 진흙으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물론 이런 땅에 건축물을 지을 수 있습니다

단 땅을 깊게 파서 지반을 단단하게 다지는 것이 필수적이죠

 

하지만 피사의 사탑을 지을 때는 이런 것을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이들은 고작 3m만 땅을 팠습니다

 

탑이 점점 올라갈수록 땅은 탑의 무게를 견디지 못했고

결국 한쪽으로 기울어져버리게 되었습니다

 

이탈리아의 건축가들은 큰 혼란에 빠졌으며

그 덕분에 공사는 100년동안 중단되었다가 다시 시작됐습니다

 

1272년 공사가 다시 시작될 때 건축가들은 한가지 착각을 했습니다

이제 땅은 모두 굳었을 것이다

 

게다가 지오반니 디 시모네라는 건축가는

이렇게 기울어져버린 탑을 보정하기 위해

기울어진 쪽의 높이를 조금 더 높게 디자인했는데

그 덕분에 탑은 더 기울어져버렸습니다

 

탑의 공사는 1372년에 끝났지만

1.6도 기울어진 상태였습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탑은 계속 기울었고

기울기를 줄이기 위한 여러가지 시도가 있었지만 누구도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결국 이 탑은 5도까지 기울어져버렸죠

 

이탈리아는 1990년 모든 접근을 금지시키고

반대쪽 땅을 파 기울기를 보정하는 방법을 사용해

탑의 기울기를 4도까지 내려놓았습니다

 

이 공사는 2001년 종료되었는데

공사 이후 아이러니하게도 탑이 다시 똑바로 서게 되는 일이 발생하게 됩니다

 

물론 이 탑이 다시 똑바로 서 무너지지 않게 된다면 좋겠지만

그러면 관광 명소로서의 가치가 많이 떨어지게 될 것입니다

 

과거의 이탈리아 사람들은 탑이 기울지 않길 바라야 했지만

현재의 이탈리아 사람들은 탑이 똑바로 서지 않길 바라야합니다

 

그래야 관광 명소로서의 가치를 계속 이어갈 수 있을테니까요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