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우리가 듣는 노래는 왜 대부분 3분~5분 사이일까



하루중 노래는 얼마나 자주 들으시나요?

저는 가끔씩 정적인 상태로 작업을 하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많은 시간을 노래와 함께 하는 것 같습니다


노래라는 것은 정말 신기하죠

분명 얼굴도 이름도 모르는 사람이 쓴 노래지만

내가 사랑을 할 땐 모든 사랑 노래가 내 이야기인 것 같고

내가 이별을 할 땐 모든 이별 노래가 내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


기쁠때 신나는 노래를 들으면서 기분을 더 업시키고

슬플때 기분을 바꿔줄 노래를 들으면서 멘탈을 다시 잡습니다





과거에는 노래나 음악을 듣기 위해선 직접 연주하는 곳을 찾아가야했습니다

하지만 지금 우리는 듣고 싶은 노래를

언제나, 어디서나, 원하는 만큼 들을 수 있습니다


바로 스마트폰과 스트리밍 서비스 덕분인데요

(최근에 이 서비스의 가격이 오른다고 하죠..)


그런데 우리가 듣는 노래의 대부분은 3분에서 5분정도의 러닝타임을 가지고 있습니다

웬만한 노래는 3분 이상이고

웬만한 노래는 5분 이하입니다

물론 그 3분 이하 5분 이상의 노래도 있긴 하지만 극히 드물죠


왜 이런 시간의 통일성이 나타나는 것일까요?


최근에 북한이 한국과 시간을 통일하더니

노래 시간도 통일된 것일까요?



이 답을 찾기 위해선 190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야합니다

당시에는 노래를 듣기 위해선 LP판을 사용해야했습니다


LP판 레코드판이라고도 하죠

LP판은 당시 음악계 주류 매체로 등극했는데요

LP판의 러닝타임은 3분에서 5분정도가 한계였습니다


물론 더 긴 시간을 녹음할 수 있었지만 그렇게 될 경우 음질 저하가 있어서

함부로 사용하지 않았죠



라디오 역시 음악시간이 한계를 가지는데 일조를 했습니다

당시에는 음악을 들을 수 있는 방법이 많지 않았습니다

라디오는 음악을 듣는데 효용가치가 높은 물건 중 하나였죠


라디오에서 노래가 나오기 위해선 45rpm판에 녹음을 해야하는데

45rpm판도 5분 이내의 노래만 녹음할 수 있었죠


라디오에서 노래가 나오는 것은 굉장히 중요했습니다


라디오에서 나오는 노래를 듣고 많은 사람들이 앨범을 구매했죠

가수가 돈을 벌 수 있는 굉장히 중요한 수단이었습니다


노래는 대중들이 듣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5분 이상의 노래를 만들면 라디오에서 틀 수 없으니

어쩔수 없이 시간을 맞춘 것이죠



물론 이런 제약에 신경쓰지 않고 5분 이상의 노래를 만든 사람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밥 딜런인데요

그는 싱글 판매나 라디오 방송에 신경쓰지 않고 5분 이상의 노래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그 노래가 바로 Like a rolling stone이라는 노래죠



지금은 이런 기술적인 문제가 모두 해결되었습니다

라디오에선 5분 이상의 노래를 틀 수 있었고

LP판이 아닌 스마트 기기로 아무리 긴 노래도 들을 수 있었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3분 이상 5분 이하의 노래가 계속 나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과거에 계속 3분짜리 노래를 만들었고 그 노래를 계속 들어왔기 때문에

3분짜리 노래에 길들여졌기 때문입니다


역사적으로 우리가 들었던 노래는 3분, 4분짜리 노래가 대부분이었고

그 이상이 되면 지루하게 느끼는 것이죠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10월 4일 다음은 10월 15일? 역사에서 사라진 10일

- 달력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2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 -



10월 4일 다음 날은 며칠일까요

당연히 10월 5일이겠죠?


하지만 1582년 10월은 달랐습니다


10월 4일 뒤에는 10월 15일이었는데요

어떤 이유때문에 10일이라는 시간이 사라져버린 것일까요





사실 이 이야기를 보기 전에

달력은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지를 먼저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2018/04/10 - [내방/서랍] - [인포그래픽] 한해의 마지막은 12월인데 왜 2월이 28일까지 밖에 없는 걸까요?



1년을 365.25일로 계산했던 율리우스력의 달력

이후에 과학 기술이 발전하면서 1년은 365.2422일이라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율리우스력의 달력을 사용하다 1582년이 되니

달력상의 날짜가 실제 날자보다 10일 빨리지게 되었습니다


실제로는 20일이어야 했지만 달력상으론 10일이었던 것이죠


원래 춘분은 3월 21일이어야 하지만

10일 빨라졌기 때문에 달력상의 날짜는 3월 11일로 되어있던 것이죠



당시 사람들에게 춘분의 날짜는 상당히 중요했습니다

춘분은 한해의 농사가 시작되는 날이기도 했지만

춘분 뒤 만월이 지난 첫 주일이 부활절이었기 때문입니다


기독교가 국교였던 당시에는 부활절이라는 날은 굉장히 중요한 날이었던 것이죠



당시 교황이었던 그레고리오 13세는

그레고리력을 이용해 새로운 달력을 만듭니


그레고리력에서 1년은 365.2425일이었습니다

하지만 실제 1년인 365.2422일과는 약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역시 윤년이 필요했습니다



사실 그레고리력의 윤년은 조금 복잡합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4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를 윤년으로 정했습니다


즉 4의 배수는 윤년이 되는 것이죠

2004년 2008년 2012년 처럼 말이죠


하지만 이렇게 모든 4의 배수를 윤년으로 두지는 않았습니다


1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평년으로 한 것이죠

2100년은 4의 배수이긴 하지만 100의 배수이기도 하기 때문에 평년이 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끝이 아니라 이 중에서 또 4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윤년으로 정했습니다


즉 2000년은 4의 배수이면서 100의 배수지만 400의 배수이기도 해서 윤년이 되는 것입니다

(4x500=2000), (100x20=2000), (400x5=2000)


물론 이렇게 계산을 하는 것도 실제 시간과 차이는 있지만

그 차이는 이만년에 하루정도로 매우 정교해졌습니다



이렇게 달력을 수정하면서 빨라진 10일도 수정해야 했죠

그래서 10월 4일 다음엔 빨라진 10일을 늦추기 위해

10월 15일이 와야 했습니다


그렇게 10월 5일부터 14일은 역사 속에서 사라졌고

우리는 이런 달력을 지금 잘 사용하고 있는 것이죠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2월은 왜 28일까지 밖에 없을까? 2월이 짧은 이유

- 달력의 기원 -



우리가 사용하는 달력은 30일과 31일로 나뉘어져 있죠

딱 한 달 2월만 제외하면 말이죠


그런데 한 해의 마지막은 12월인데 왜 중간에 있는 달인

2월이 날짜가 적은 것일까요?





고대 로마인들이 사용하던 달력은 1월부터 10월까지

1년에 열 달밖에 없었습니다


지금의 3월이 당시의 1월이었던 것이죠


라틴어를 살펴보면 이것을 확실하게 알 수 있는데요

지금의 9월인 September는 라틴어 Sept에서 따온 것인데 일곱 번째의 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역시 지금의 10월인 October는 라틴어 Octo에서 따온 것인데 여덟 번째의 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후 로마의 황제 누마 폼필리우스는

기존의 10월까지 있던 달력에 두 달을 더해

1년을 열두 달로 만들었습니다


11월과 12월이 생긴 것이죠


이것은 지구의 공전을 달에 맞췄기 때문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그때의 1년은 355일이었습니다



로마인들은 짝수를 불길하게 여겼습니다

그래서 달력의 날짜를 31일과 29일로 배정을 했죠


1월 3월 5월 8월은 31일을

나머지 달은 29일을 배정했습니다


12월까지 29일을 배정했다면 356일이 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12월을 28일로 배정했습니다



그리고 기원전 45년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누마의 달력을 수정합니다


지구의 공전을 달이 아닌 태양을 기준으로 맞추기 시작한 것이죠


이렇게 해서 나온 1년은 365.25일이었습니다



카이사르는 홀수 달에는 31일을

짝수 달에는 30일을 배정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1년에 366일이 만들어지죠


그래서 마지막 달인 12월에 하루를 빼 29일로 만들었습니다


그렇게 될 경우 0.25일이 남게되죠


0.25일은 4년이 지나면 하루가 되기 때문에

4년마다 한번씩 마지막달에 남았던 0.25일을 몰아서 하루로 채운 것 입니다


이것이 바로 윤달입니다

4년마다 한번씩 윤년이 오게 되는 것이죠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7월 생으로

자신이 태어난 달인 7월의 이름을 Quintilis 에서 자신의 이름에서 딴 July로 이름을 바꿉니다



학설에 따르면 빨리 취임하고 싶었던 카이사르는

11월 1일에 새로운 달력을 공포하고 이날을 1월 1일로 정했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달력이 두 달씩 밀리게 된 것이죠


즉 당시의 11월은 지금의 1월이 된 것이고

당시의 12월은 지금의 2월이 된 것입니다


그 당시 12월은 29일까지 밖에 없었는데

이것이 2월이 되면서 2월의 날짜가 29일로 바뀌게 된 것입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 다음 황제는 아우구스투스였습니다


아우구스투스는 카이사르보다 높은 곳에 있고 싶어 했습니다


그래서 7월 이후의 달인 8월의 이름을 Sextilis 에서 자신의 이름을 딴 Augustus로 바꿨습니다


당시 8월은 30일까지밖에 없었는데 황제의 달이

다른 달보다 날짜가 적은 것을 참지 못하고

하루를 더해버렸습니다


그러면서 8월은 31일까지 있게 된 것이죠


하루를 더했으니 하루를 어딘가에서 빼야했는데

이 날짜를 2월에서 뺀 것입니다


그래서 2월은 29일에서 28일로 줄어들었습니다



그 결과 지금의 달력이만들어진 것입니다


과거로 돌아가보면 지금의 2월이 당시의 12월이었기 때문에

날짜가 적었던 이유를 납득할 수 있는 것이죠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