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물음표는 왜 ? 이런 모양으로 생겼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왜 이런 모양일까?

채팅을 하면서 상대방에게 무언가를 물어볼 때
믿기지 않은 소식을 들었을 때
상대방의 말이나 행동에 동의하지 않을 때
우리는 물음표를 사용합니다

물음표는 이런 모양으로 생겼습니다

영어로는 question mark이라고 하죠
여기서 의문을 뜻하는 question은
물음을 뜻하는 라틴어 quaestio에서 유래했습니다

 

 


과거 물음표가 없었을 때는
문장이 의문문인 것을 나타내기 위해
문장 끝에 quaestio라는 단어를 썼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단어는 꽤 길었기 때문에
qo로 줄여서 사용하곤 했는데
그러다 보니 의문문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단어인 것처럼 보여져
qo를 위아래로 적는 식으로 바꿔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점점 더 간소화돼
지금의 물음표와 같은 모양으로 변하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1880년 프랑스의 조각가 로댕은
단테의 신곡을 보고 영감을 받아
생각하는 사람이라는 조각을 만들었는데
이 모습을 본떠 물음표가 만들어졌다는 말도 있고

상대방의 말에 귀 기울여 듣기 위해
귀의 모양을 본떠 물음표가 만들어졌다는 말도 있습니다



지금의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같은 나라는
과거엔 프랑크 왕국이라는 하나의 나라에 소속되어 있었습니다

프랑크 왕국은 751년부터 카롤루스 왕조가 다스리고 있었는데
768년 샤를마뉴라고 불리는 카롤루스 마그누스가
프랑크 왕국의 왕에 오르게 됩니다

샤를마뉴가 이끄는 프랑크 왕국은 시간이 갈수록 번성하고 영토도 확장되었지만
시민들의 교육 수준은 그리 높지 않았다고 합니다


샤를마뉴는 왕국의 교육 수준을 높이기 위해
뛰어난 학자를 데려오길 원했죠

이때 그의 눈에 띈 사람이
730년대 노섬브리아의(영국) 요크라는 지역에서 태어난 앨퀸이라는 철학자였습니다

앨퀸은 시도 쓰고 문법에 관한 책도 쓰며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로 활동하고 있었는데

샤를마뉴는 이런 앨퀸을 알아보고
왕국의 교육수준을 올려줄 적임자라고 판단해

 


당시 프랑크 왕국의 수도였던 아헨이라는 지역에 있는
궁정학교 총책임자 역할을 제안했습니다

그리고 앨퀸은 너무나 당연하게도 이 제안을 받아들였죠



앨퀸이 왕국에 들어왔을 때만 해도
사용되던 알파벳은 대문자밖에 없었습니다

이때는 부드러운 재질인 양피지로 책을 만들었는데
그런 덕분에 곡선을 그리거나 필기를 빠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졌죠

그러다 보니 직선 위주의 대문자가
곡선 위주로 바뀌게 되었는데
이렇게 탄생한 것이 소문자입니다

 


앨퀸과 왕국의 학자들은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책을 쉽게 읽을 수 있을지를 고민했습니다

규칙 없이 쓰이던 문장에 띄어쓰기를 도입했고
마침표(.)와 쉼표(,)를 넣어 어디서 끊어 읽어야 할지를 표시해줬습니다

그리고 끝을 올려 읽어야 하는 의문문에는 물결표(~)를 넣었는데
이것이 전해져 내려와 오늘날의 물음표가 됐다고 합니다

정말 물음표를 앨퀸이 만들었는지
qo가 변형된 것인지 정확하게 알 순 없지만
많은 사람들이 신뢰하는 것은 앨퀸의 물결표 이야기라고 합니다

언제, 누가 만들었는지 모르겠지만
참 물음표스럽게 잘 만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창문에 테이프를 X자로 붙여 놓는 건 정말 효과가 있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테이프랑 신문지 효과 없다고?

현재 11호 태풍인 힌남노가
우리나라 쪽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합니다

태풍의 강도는 최대풍속에 따라
중(25~33m/s), 강(33~44m/s), 매우 강(44~54m/s), 초강력(54m/s~)으로 나누어지는데

강의 경우 기차가 탈선할 정도의 위력이고
매우 강의 경우 사람도 날려버릴 정도의 위력이고
초강력의 경우 건물이 붕괴될 정도의 위력입니다

9월 4일 기준 힌남노는 초강력에 해당하는 태풍으로
우리나라에 역대급 피해를 입혔던 초강력 태풍인 매미와(피해 금액 약 4조 원)
같은 급의 태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태풍은 중심 기압이 낮을수록 위력이 강한데
힌남노가 우리나라를 관통할 때 중심 기압이 945hPa정도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매미의 경우 954hPa이었으니
매미보다 더 큰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래서 힌남노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여러 가지 대비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강풍에 의해 창문이 깨져버리는 경우도 있어
창문에 테이프를 X자로 붙여 놓거나 젖은 신문지를 붙여놓곤 하는데
이것은 정말 효과가 있는 것일까요




초속 36m의 바람이 창문에 집중될 경우 창문은 깨지게 됩니다
즉 강 이상의 태풍이 상륙할 경우
태풍에 의해 창문이 깨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때 창문이 깨지는 것은
단순히 바람이 불기 때문이 아닙니다

 


창틀과 창문 사이에는 약간의 틈이 있습니다
이 틈으로 바람이 통하기도 하고
그러면서 흔들림이 발생하기도 하죠

창문이 흔들리면 그 충격이 유리에 전달되는데
너무 심하게 흔들려 유리가 충격을 견디지 못하면
결국 깨지게 됩니다

즉 바람이 불어 창문이 깨지는 것이 아니라
바람이 불어 창문이 흔들리기 때문에 깨지는 것입니다


창문에 테이프를 X자로 붙여 놓으면 어떨까요
결국 틈을 막은 것은 아니기 때문에
여전히 바람이 통해 창문이 흔들리게 되고
그 충격으로 창문은 깨져버릴 것입니다

그럼 더 강력한 청테이프를 붙여 놓으면
그래도 창문은 깨저버릴 것입니다

테이프를 X자로 붙여 놓는 건
전혀 효과를 보지 못합니다

젖은 신문지를 붙여 놓는 것 역시 마찬가지이죠



태풍에 의해 창문이 깨지는 것을 막기 위해선
창문이 흔들리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테이프를 X자로 붙여 놓는 것보다
창문 가장자리에 테이프를 붙여
창문과 창틀을 고정시키는 것이
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합니다

또 창문과 창틀 사이의 틈에 신문지를 끼워 넣으면
창문의 흔들림을 방지해 깨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역대급 태풍이라 불리는 힌남노가 9월 5일, 9월 6일
우리나라를 관통할 것이라고 합니다
부디 태풍의 위력이 약해져 큰 피해 없이 지나가길 바라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환승을 하면 낸 요금은 어떻게 나눠가질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요금을 어떻게 나눠가질까

어딘가로 이동할 때 우리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곤 합니다
버스나 지하철이 대표적인 대중교통이죠

목적지까지 한 번에 가면 좋겠지만
그럴 수 없는 경우 환승을 해야 합니다

그래도 환승을 할 때 부담이 없습니다
대중교통을 갈아탈 때마다 요금을 새롭게 내지 않고
약간의 추가요금만 내면 되기 때문이죠

물론 우리가 걱정해야 할 문제는 아니지만
지하철을 타고 버스를 타면 추가요금도 내지 않아
버스를 공짜로 타는 느낌이 들어
버스 회사는 돈을 벌 수 있는 걸까? 하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환승을 하면 수익은 어떻게 나눠가지는 걸까요



과거 교통카드가 보급화되지 않았을 때는
환승을 하면 요금을 할인해 준다는 개념 자체가 없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환승할 때마다 해당하는 교통요금을 내야 했습니다
먼 거리를 가야 하는 사람들은 요금에 대한 부담이 있을 수밖에 없었죠

그러다 2001년 대중교통과 교통카드 이용을 촉진시키기 위해
교통카드를 이용해 환승을 하는 경우 50원을 할인해 주는 제도가 만들어졌습니다

 


그리고 2004년 대중교통 요금을 완전히 개편하고
교통카드를 이용해 환승을 하는 경우
무료로 할 수 있는 제도가 만들어졌습니다

이것을 통합환승 할인제도라고 합니다

2022년 기준 교통카드를 사용해 성인이 버스를 이용할 경우
기본요금은 1200원입니다


지하철을 이용할 경우 기본요금은 1250원이고(10km 이내)
이동하려는 거리가 5km 늘어날 경우 100원씩 추가요금이 발생합니다

환승을 할 경우 10km까지는 무료로 가능하고
이동하려는 거리가 5km 늘어날 경우 100원씩 추가요금이 발생합니다
이때 기본요금은 더 비싼 쪽의 기본요금을 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버스에서 버스로 환승하면 추가요금이 없지만
버스에서 지하철로 환승하면 50원의 기본요금 차이가 있기 때문에
50원을 더 내야 합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환승을 하는 경우
버스는 1200원을 지하철은 50원을 가져가는 걸까요?

만약 그렇다고 한다면 지하철에서 버스로 환승하는 경우엔
버스는 한 푼도 가져갈 수 없는 결과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런 불합리함을 방지하기 위해
우리가 낸 요금을 기본요금에 비례해 나누어가지는 식으로 제도를 만들었습니다

예를 들어 지하철에서 버스로 환승해 10km 이내의 거리를 갔다고 해봅시다
환승 할인이 없었다면 지하철을 탈 때 1250원을
버스를 탈 때 1200원을 내야 합니다


즉 우리가 내야 할 요금은 2450원이죠
하지만 환승 할인이 있어 우리가 낸 요금은 1250원이기 때문에
지하철은 1250/2450 만큼의 금액을
버스는 1200/2450 만큼의 금액을 가져가게 됩니다

 


이것을 계산해 보면 지하철은 약 638원을
버스는 약 612원을 가져가게 됩니다

10km를 넘어 추가요금이 발생하면
추가요금 역시 기본요금에 비례해 나누어 가지고

환승을 세 번 했다면 낸 요금을 세 곳이 나누어 가지게 됩니다


환승 할인 덕분에 우리는 1200원의 이득을 봤지만
지하철과 버스는 각각 612원, 588원의 손해를 봤습니다

이렇게 손해 본 금액을 환승 손실금이라고 합니다

지하철과 버스가 손해 본 금액은 나라에서 지원을 해주는데
이것을 환승 손실 보전금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때 손해 본 금액을 모두 지원해 주는 것은 아닙니다
2014년까지는 60%만 지원을 해줬으며
2015년부터는 46%만 지원을 해주고 있습니다

물론 환승 할인 덕분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부담이 줄어들어
승객이 늘어난다는 장점이 있긴 하지만

손해 본 금액을 모두 보상받지 못하기 때문에
지하철과 버스 업체의 불만이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경기도는 환승 손실 보전금으로
2014년 1910억 원을 2015년 2263억 원을 2016년 2302억 원을 지출했습니다
경기도는 이런 부담을 줄이기 위해
환승 손실 보전금의 비율을 줄이려고 하지만

대중교통 업체는 비율을 늘리려고 하고 있어
서로가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