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죽은 벌레는 왜 뒤집어져 있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벌레는 왜 뒤집혀서 죽는 걸까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인간이 지배하고 있긴 하지만

인간만이 살고 있는 곳은 아닙니다

 

다른 생명체도 많이 살고 있는데

모든 생명은 소중하기 때문에

인간보다 강하든 약하든 존중해줘야 합니다

 

 

벌레들 역시 우리 주변에 살고 있는 생명체중 하나입니다

특히 이들은 종류가 아주 많은데

눈에 보기 힘들정도로 작은 것들부터 해서

꽤나 크다고 느껴질정도로 큰 것들도 있습니다

 

이들은 인간에게 해를 입히지 않는 종도 있지만

어떤 종은 존재 자체만으로도 혐오감이 느껴지곤 합니다

 

대표적인 벌레가 바로 바퀴벌레인데

이런 녀석들은 제발 눈에 띄지 않는 곳에 있으면 참 좋겠지만

하필이면 우리집에 나와 같이 살고 있어서

 

안타깝지만 죽임을 당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들은 참 신기한게

살아있을 때는 등이 하늘쪽에 배가 땅쪽에 있는데

 

죽을 때는 몸이 뒤집히게 됩니다

 

벌레들은 왜 죽을 때 몸이 뒤집히는 것일까요?

 

벌레를 잡을 때 손이나 어떤 물건을 강하게 내려쳐 잡는 방법이 있지만

이럴 경우 끔찍한 광경을 봐야하기 때문에

살충제를 이용해 죽이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살충제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지금은 많이 사용하지 않지만 태워서 연기를 내는 방식

전기를 이용한 방식

그리고 뿌리는 방식이 있습니다

 

기본적인 원리는 모두 비슷합니다

 

국화의 한 종류인 제충국에는 피레트린이라는 성분이 있습니다

과거 제충국 주변에 벌레가 많이 죽어있는 것을 보고

이 성분을 이용해 살충제를 만들기 시작했죠

 

하지만 피레트린은 천연 추출물이기 때문에

살충제의 가격이 비싸질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래서 피레트린의 성분과 똑같은

합성 화학물인 피레트로이드를 만들어냈고

이것으로 값싼 살충제가

보급화 될 수 있었습니다

 

벌레는 커다란 몸에 다리가 여러개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몸에 비해 다리가 많이 얇긴 하지만

여러개 있는 덕분에

체중이 잘 분산돼 균형잡힌 채로 살아갈 수 있습니다

 

벌레에게 살충제를 뿌리게 되면

살충제 성분은 벌레의 피부를 통해, 호흡기를 통해, 입을 통해 몸 속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벌레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신경세포(뉴런)가 존재합니다

신경세포와 신경세포를 연결해주는 곳을 시냅스라고 하는데

시냅스에는 약간의 틈이 존재합니다

 

여러가지 신경전달물질은 이 시냅스를 통해

신경세포에서 다른 신경세포로 이동하게 됩니다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인 아세틸콜린은

근육의 수축을 담당하는 물질입니다

 

그런데 아세틸콜린이 너무 많이 분비될 경우

근육이 계속 수축되기 때문에 정상적인 활동이 불가능해집니다

 

그리고 심장박동에 필요한 근육도 수축되기 때문에

정상적인 호흡도 불가능해지죠

 

그래서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가 분비돼

임무를 다 한 아세틸콜린을 분해합니다

 

그럼 근육이 다시 이완될 수 있고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해집니다

 

그런데 살충제 성분이 몸으로 들어오게 되면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의 분비를 억제합니다

 

그럼 아세틸콜린이 계속 분비되게 되고

근육이 계속 수축돼 결국 벌레는 죽게 됩니다

 

이런 과정은 한번에 빰 하고 일어나는 것이 아닙니다

살충제 성분이 벌레의 목숨을 서서히 갉아먹게 되는 것이죠

 

인간이든 벌레든 이런 죽음의 순간이 오게 되면

살기 위해 발버둥치게 됩니다

 

하지만 살충제 성분에 의해 아세틸콜린이 계속 분비되고

근육이 마비되면서 몸을 제대로 움직일 수 없게 되죠

 

평소라면 여러개의 다리가 무게 중심을 잘 잡아 똑바로 서있을 수 있지만

살충제 성분에 의해 다리가 마비된 덕분에 균형을 잡지 못하게 되고

버둥대다 결국 뒤집혀 버리는 것입니다

 

평소라면 몸이 뒤집혔을 때 다시 원상태로 뒤집을 수 있겠지만

근육이 계속 마비되기 때문에 몸을 다시 뒤집지 못하고

그대로 최후를 맞이하게 됩니다

 

즉 죽어있는 벌레가 뒤집혀 있는 이유는

이들이 마지막 가는 길에 하늘을 보고싶어서가 아니라

살기 위한 처절한 움직임의 결과였던 것입니다

 

살충제에 의해 죽지 않고 자연사한 벌레라면

똑바로 죽게 되며

 

이렇게 죽은 벌레라고 하더라도 바람에 의해 뒤집힐 수 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혀가 잘리면 정말 죽게 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혀깨물고 죽겠습니다는 사실일까?

혀는 말을 할 때도 중요하지만

음식을 먹을 때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입으로 들어온 여러가지 음식물을 골고루 씹을 수 있도록 섞어주기도 하고

여러가지 맛을 느낄 수 있게 해줍니다

 

그런데 이렇게 음식을 먹는 과정에서

실수로 혀를 깨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고통은 말할 수 없을 정도로 크기 때문에

항상 조심해야 하죠

 

 

그런데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혀를 깨물고 죽겠습니다 라는 표현이 나오기도 해서

혹시 내가 죽게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

 

혀에는 많은 혈관이 있기 때문에

혀를 깨물면 과다출혈로 죽게 된다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다른곳과 마찬가지로 혀에도 많은 혈관이 있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혀에 있는 혈관은 대부분이 모세혈관이라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깨물었다고 해서

혹은 잘렸다고 해서 죽을만큼 많은 피가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혀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빠르게 지혈되기 때문에

혀를 깨물어서 과다출혈로 죽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합니다

 

또한 혀를 깨물면 혀를 통제하는 신경이 끊어져 혀가 말려 목으로 넘어가 기도를 막게 된다라는 말도 있습니다

그래서 죽게된다는 것인데

 

혀를 움직이는 신경은 뇌신경 12번인 혀밑신경(설하신경)입니다

 

그런데 혀밑신경은 목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혀를 깨물거나 혀가 잘렸다고 해서 혀를 통제하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즉 혀를 깨물고 죽는다라는 말은

과격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그렇게 말한 것일뿐

실제로 일어나지 않는 일이라고 생각할 수 있죠

 

1987년에 있었던 대한항공 KAL기 폭파 사건의 범인인

북한의 김현희는 사건 이후 탈출에 실패하자

자살을 위해 혀를 깨물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죽지 않았고 그대로 붙잡히고 말았죠

 

그리고 정확하게 알려지진 않았지만

이런말을 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혀를 깨물어도 아프기만 하더라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시계 방향은 누가 정한 걸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시계는 왜 모두 같은 방향으로 가는 걸까

 

지금이 몇시인지 안다는 것은 참 중요합니다

 

언제나 즉흥적으로 살 수 없기 때문에

때로는 계획을 세워서 행동하는데

이때 시간을 모른다면 타이밍을 계산할 수 없게 되죠

 

학교에 가거나 회사에 갈 때도 시간은 중요하며

저처럼 출근을 하지 않아도 게을러지지 않기 위해선

시간을 잘 지켜야 합니다

 

 

지금은 디지털 시계가 많이 보급화 되어 있어서

딱 보면 시간을 알 수 있지만

시계라고 하면 보통 이런 모양의 시계를 떠올리곤 합니다

 

그런데 시계는 참 신기한게

모양은 제각각일지라도 어떤 시계든 바늘이 이동하는 것은 항상

위쪽에서 오른쪽, 오른쪽에서 아래쪽

아래쪽에서 왼쪽, 왼쪽에서 위쪽으로 이동합니다

 

그래서 이런 방향을 시계방향이라고 말하기도 하죠

 

시계방향은 도대체 누가 정한 것이며

왜 모든 시계는 항상 이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일까요?

 

지금처럼 기술이 발전하지 못했던 과거에는

자연의 힘을 이용해 시간을 측정했습니다

 

어쩌면 이것이 최초의 해시계였는지도 모릅니다

 

이후에는 우리가 알고 있는 모양과 비슷한 모야으이 해시계가 발명됐습니다

해시계에 사용하는 막대기를 그노몬이라고 하는데

이것이 지금 시계의 바늘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그노몬은 지구의 자전축과 평행이 되게 기울여 만들었습니다

그래야 어디서 측정하든 그림자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 오게 되죠

 

해시계의 가장 큰 단점은 해가 없을 때는 사용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해가 없는 밤이나 비가오는 날에는

물시계나 모래시계를 사용하곤 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시계를 만드는 기술도 발전됐습니다

추와 용수철이 등장하면서 그럴듯한 모양의 시계가 만들어지기 시작했고

태엽의 등장으로 시계가 가벼워지고 작아졌습니다

 

그러면서 손목시계가 등장하기 시작했죠

 

그런데 이렇게 과거에 만들어진 시계 역시

언제나 같은 방향으로 이동합니다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마치 약속이라도 한 것처럼 움직입니다

 

언제부터 이랬을까 생각하면서 쭉 거슬러 올라가보면

시계가 처음 만들어질 때부터 이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시계방향이 이렇게 정해진 이유는

누군가 그렇게 정했기 때문이 아니라

처음부터 이렇게 정해진 것이었습니다

 

해는 동쪽에서 떠서 남쪽을 지나 서쪽으로 집니다

그럼 그림자는 서쪽에 생겼다가 북쪽을 지나 동쪽으로 생기게 되죠

 

이런 이유는 북극에서 지구를 바라봤을 때 지구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자전하기 때문입니다

 

지구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자전하기 때문에

태양은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게 되고

그림자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입니다

 

지구의 자전에 의해 시계 방향이 이렇게 정해졌고

그 덕분에 시계 방향

시계 반대 방향이라는 말까지 생기게 되었습니다

 

그런이 시계는 모두가 이런 방향인 것은 아닙니다

 

남극에서 지구를 바라보면 지구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자전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즉 시계 방향으로 자전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구 남반구에서 태양은 동쪽에 떠서 북쪽을 지나 서쪽으로 지게 됩니다

그림자는 서쪽에 생겼다가 남쪽을 지나 동쪽으로 이동하게 되죠

 

그래서 남반구에서 만들어진 시계는

우리가 알고 있는 시계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인류의 역사는 북반구에 있는 나라들을 중심으로 발전했기 때문에

북반구에서 사용하던 시계가 남반구에 들어오게 되었고

이들의 시계를 대체해버리면서

남반구에 있는 시계도 우리가 알고 있는 시계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버린 것입니다

 

남아메리카에 있는 볼리비아라는 나라는

남반구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남반구가 세계의 중심이 되길 바라는 의미로

의사당에 거꾸로가는 시계를 설치했다고 합니다

 

우리 입장에서 보면 이것은 거꾸로 가는 시계지만

그들 입장에서 보면 이것이 제대로 가는 시계일지도 모릅니다

 

만약 인류의 역사가 남반구에 있는 나라들을 중심으로 쓰여졌다면

이런 시계가 거꾸로 된 시계가 아니라 제대로 된 시계가 됐을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