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치약대신 모래로 양치했던 조선시대(양치의 역사)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모래로 양치를 했던 조선시대

우리가 매일 하는 양치질의 역사는 아주 오래되었지만
지금처럼 칫솔에 치약을 묻히는 방식의 양치질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지금과 같은 형태의 치약은 1890년대에 만들어졌고
지금과 같은 형태의 칫솔은 1930년대에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그 당시까지만 하더라도
칫솔과 치약의 가격이 너무 비싸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지는 못했습니다

1950년대 우리나라에서도 자체적으로 칫솔과 치약을 만들어냈으며
이때부터 양치질이 대중화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칫솔과 치약이 아직 만들어지지도 않았던 조선시대에는
도대체 어떤 방법으로 양치질을 했을까요




과거에는 지금처럼 칫솔과 치약을 이용해 양치를 하지 못했지만
어쨌든 이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지금과 다른 방법으로 양치질을 했습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계란이나 굴 껍데기를 갈아 이를 닦았고
고대 로마에서는 오줌을 이용해 이를 닦았다고 합니다

이때는 칫솔이 없었기 때문에 손가락을 이용해
양치를 하지 않았을까 추측하고 있습니다

 

 


이후 시간이 흘러 그럴듯한 모습의 칫솔이 만들어지기 시작했습니다

동물 뼈나 나무에 돼지털을 박아 만들기도 했으며
좀 더 부드러운 말의 털을 이용해 만드는 경우도 있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살균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버드나무 가지를 이쑤시개처럼 만들어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을 빼내는 형식으로 양치질을 했습니다

버드나무의 가지를 양지라고 부르는데
과거에는 버드나무를 이용해 양치를 하는 것을 양지질이라고 불렀습니다

이후에 이 단어가 전해져 내려오다가 지가 치로 바뀌었고
이런 행위를 양치질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하지만 버드나무는 왕과 양반만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일반 평민들은 지푸라기를 이용해 칫솔처럼 만들어 사용하기도 했고
소금을 이용해 양치질을 했습니다

지금은 소금을 구하는 것이 어렵지 않지만
과거에는 소금은 아주 귀하고 비싼 물건이었습니다

그래서 돈이 없는 일부 사람들은 소금이 아니라
모래를 이용해 양치를 하기도 했습니다

 

 


요즘 만들어지는 모든 치약이 그런 것은 아니지만
치약의 성분으로는 연마제, 불소, 향료, 보존제가 있습니다

여기서 연마제는 이에 붙어있는 플라크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데
그 당시 모래가 바로 연마제의 역할을 했던 것이죠

이때 너무 굵은 모래를 쓰면 잇몸이 상하거나
이가 손상될 수 있어 고운 모래를 사용했다고 합니다

 


1876년 강화도 조약 이후 서양에서 만든 칫솔과 치약이 들어오게 되면서
양치질에 대한 방법이 현대처럼 바뀌긴 했지만
여전히 돈이 없는 사람들은 지푸라기나 모래를 이용했습니다

앞에서도 말했던 것처럼 1950년대 락희공업사에서
럭키치약이라는 치약을 만들어내면서
많은 사람들이 지금과 같은 양치질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야생동물은 충치에 걸리지 않는걸까? 왜 양치를 안하지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야생동물은 충치가 안생기는 걸까?

귀찮음이라는 것을 느끼지 않는다면 어떨까요?

무엇을 하든 기분좋게 할 수 있겠죠?

 

여러분들이 가장 귀찮아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공부, 숙제 같은 것들도 있겠지만

아무래도 집안일이나 청소같은 것들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www.youtube.com/watch?v=fKPmU9N7KZs

www.youtube.com/watch?v=fKPmU9N7KZs

청소, 샤워, 세탁, 양치 같은 것들은

귀찮지만 우리가 건강하게 생활을 하기 위해서

꼭 해야하는 것들입니다

 

이중에서 양치는 하는데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은 아니지만

하루에 세번 해야하기 때문에 다른 것들보다 더 귀찮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야생동물 역시 이빨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이 양치를 하는 모습은 본적이 없습니다

 

야생동물은 충치에 걸리지 않는 것일까요?

 

우리가 흔히 충치라고 표현하는 것은

치아우식증이라는 정식 명칭이 있습니다

 

이는 잇몸 아래에 박혀있는 치근과

잇몸 위에 돌출되어 있는 치관으로 구분됩니다

 

치관은 몸에서 가장 단단한 물질이라고 알려진

에나멜에 의해 보호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는 사실

일반적인 세균이 쉽게 공격할 수 없는 곳이 아닙니다

 

하지만 무엇이든 영원한 것은 없듯

아무리 단단한 물질이라고 하더라도 관리를 소홀하게 하면

썩게 됩니다

 

충치를 일으키는 균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라고 불리는 균입니다

 

줄여서 뮤탄스균이라고 불리고 있는데

뮤탄스균은 우리가 음식을 먹으면 음식에 있는 당분을 분해하고

젖산을 만들어냅니다

 

뮤탄스균에 의해 만들어진 젖산은 에나멜을 녹이게 되고

이런 행위가 반복되면 충치가 생기게 됩니다

 

충치의 원인은 뮤탄스균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그것보다 더 근본적인 원인은 당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만약 당분을 먹지 않는다면

충치가 생길 확률은 아주 낮아지게 됩니다

 

야생동물의 이빨역시 에나멜이 보호하고 있기 때문에

당분이 들어오면 뮤탄스균에 의해 충치가 생기게 됩니다

 

하지만 야생동물이 주로 먹는 음식에는

당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인간보다 충치에 걸릴 확률이 아주아주 낮다고 합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충치가 아예 안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때로는 이빨사이에 낀 음식 때문에 충치가 생기기도 하는데

이것 때문에 풀이나 나무껍질을 씹거나

물을 마실 때 이빨을 씻기도 하며

 

태양열을 이용해 살균을 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즉 이들은 자연에 있는 무언가를 이용해 양치를 하는 것이죠

 

그리고 동물의 대부분은

인간보다 수명이 짧기 때문에

충치에 의한 걱정은 상대적으로 덜한다고 합니다

 

또 야생동물은 언제 죽을지 모르는 운명

충치가 생기기도 전에 다른 야생동물에게 잡아먹히는 경우가 있어

충치를 신경쓰지 않는다고 합니다

 

또한 설치류의 경우 이빨이 계속 자라기 때문에

충치가 생길 틈이 없고

 

상어의 경우 이빨이 재생되기 때문에

양치를 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합니다

 

과학자들은 상어의 이빨 재생을

인간에게 적용시킬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양치를 하는 것은 귀찮은 일이지만

아직 우리의 이는 재생할 수 없기 때문에

귀찮음을 조금 참으면서

충치가 생기지 않게 관리를 철저하게 하도록 해봅시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