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건물 옥상은 누구의 소유일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건물 옥상은 누구의 소유일까

건물 가장 꼭대기에 있는 공간을 옥상이라고 합니다

보통 주거공간을 하나 더 만들어 놓거나
창고 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날씨가 좋은 날에는 고기를 구워 먹기도 하죠

이처럼 옥상은 꽤 유용한 공간이다 보니
사용하다 보면 건물 주인과 가장 꼭대기 층에 사는 사람
그리고 다른 층에 사는 사람들 간에
소유권에 대한 분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건물 옥상은 누구의 소유인 것일까요

 

 

아파트나 빌라처럼 여러 세대가 하나의 건물로 합쳐져 있는 건물을
집합건물이라고 합니다

집합건물에서 나만의 단독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곳을
전유부분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101동 101호를 계약했다면
101동 101호가 전유부분이 되겠죠

반대로 계단이나 주차장, 엘리베이터처럼
집합건물에 살고 있는 모든 사람이 사용하는 곳을
공용부분이라고 합니다


공용부분은 전원이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집합건물법 제10조 제1항)

건물의 옥상 역시 공용부분에 해당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역시 건물에 살고 있는 모든 사람이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습니다

또 모두에게 소유권이 있으므로 옥상을 청소하거나 유지, 보수하는데 드는 비용도
모두가 같이 부담해야 합니다


꼭대기 층에 사는 사람이 옥상을 독점한다든가
마음대로 무언가를 설치하는 행위는
공유자들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가 될 수 있습니다

나아가 최근 대법원은 아파트 옥상의 경우
공용부분 중에서도 일부공용부분에 해당한다는 판결을 한적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같은 아파트 단지에 살더라도
내가 101동에 살고 있다면 101동 옥상은 사용할 권리가 있지만
102동 옥상은 출입 제한은 물론 사용할 권리도 없다는 것이죠

101동 옥상은 101동 거주자들만
102동 옥상은 102동 거주자들만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일부공용부분이라는 것입니다

물론 이 판결에 대해 관리 현장의 현실과
괴리가 있다는 의견이 있기도 합니다

아무튼 옥상은 여러 사람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간 배려가 필요한 공간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청진기로 소리를 들어 금고를 열 수 있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청진기로 금고를 여는 게 진짜 가능할까

 

https://youtu.be/uqvsT_Y8I9E

영화를 보면 도둑들이 청진기로 소리를 듣고
금고의 비밀번호를 맞춰 금고를 털곤 합니다

금고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열쇠로 여는 것도 있고
비밀번호를 눌러 여는 것도 있고
다이얼을 돌려 여는 것도 있습니다


청진기로 소리를 들어 여는 금고는
다이얼을 돌려 여는 것으로 다이얼 금고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청진기로 금고를 여는 것은
영화뿐만 아니라 현실에서도 가능한 일입니다


실제로 내셔널 지오그래픽에서 열쇠 장인을 불러
청진기로 금고 여는 것을 시도해 봤는데
두 시간이나 걸리긴 했지만
소리를 들어 금고를 여는데 성공했습니다

다이얼 금고의 잠금 장치는 홈이 파인 큰 원판 세 개
홈이 파인 작은 원판 하나, 걸쇠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다이얼을 돌려 비밀번호를 맞추면 홈이 일렬로 정렬되고
걸쇠가 홈으로 내려와 작은 원판의 홈에 걸리게 됩니다

그리고 작은 원판이 걸쇠를 당기면 잠금이 풀리게 되죠

다이얼 금고는 보통 비밀번호가 3개의 숫자로 이루어져 있는데
큰 원판이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것이며


가장 안쪽에 있는 원판이 첫 번째 비밀번호
그다음 원판이 두 번째 비밀번호
가장 바깥쪽에 있는 원판이 세 번째 비밀번호가 됩니다

이해하기 쉽게 1번, 2번, 3번 원판이라고 하겠습니다

작은 원판은 큰 원판을 돌리는 역할을 합니다
금고의 다이얼을 돌리면 작은 원판만 돌아가는데


작은 원판이 돌아가다 보면 살짝 튀어나온 부분이
큰 원판의 살짝 튀어나온 부분과 맞물리게 되고

작은 원판과 큰 원판이 같이 돌아가게 됩니다

즉 다이얼을 한바퀴 돌리면 작은 원판만 돌아가고
두바퀴 돌리면 작은 원판과 3번 원판이 같이 돌아가고
세바퀴 돌리면 작은 원판과 3번, 2번 원판이 같이 돌아가고
네바퀴 돌리면 작은 원판과 3번, 2번, 1번 원판이 같이 돌아가는 것입니다



금고를 열기 위해선 먼저 다이얼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네바퀴 돌려야 합니다
첫 번째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해선 
1번 원판의 홈을 정렬시켜야 하는데
네바퀴 돌려야 1번 원판이 돌아가기 때문입니다

네바퀴 돌려 첫 번째 비밀번호에 맞추고
시계 방향으로 세바퀴 돌려 두 번째 비밀번호에 맞춥니다


처음 돌렸던 방향과 반대로 돌려야
1번 원판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시계 방향으로 돌리는 것입니다

이때 네바퀴까지 돌려버리면 1번 원판이 돌아가기 때문에
세바퀴째에 두 번째 비밀번호를 맞춥니다
만약 네바퀴 이상 돌렸다면 처음부터 다시 진행해야 합니다

그리고 다시 시계 반대 방향으로 두바퀴 돌려
2번 원판이 고정된 상태로 세 번째 비밀번호를 맞춥니다

역시 두바퀴째에 세 번째 비밀번호를 맞춰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시계 방향으로 다이얼을 돌리면
모든 홈이 정렬되면서 걸쇠가 내려오고
잠금이 풀리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다이얼 금고의 원리입니다



다이얼을 돌리다 보면 원판에 있는 홈과 걸쇠가 만나는 순간
뭔가 걸리는 듯한 소리가 살짝 나게 됩니다

바로 이 소리를 청진기로 듣는 것입니다

이 소리는 아주 작아 평소라면 들을 수 없겠지만
청진기는 소리를 증폭시켜주기 때문에
소리를 들어 비밀번호를 알아낼 수 있는 것이죠

그런데 이렇게 비밀번호를 몰라도 소리를 들어 금고를 열 수 있다면
그 금고에 대한 신뢰도가 바닥을 칠 것입니다


그래서 최근에 만들어지는 금고는 소리를 듣고 열 수 없도록
특수한 장치를 해놓는다고 합니다

게다가 다이얼을 돌리는 방식이 아니라
비밀번호를 눌러서 여는 전자식 금고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이제는 청진기를 이용해 금고를 여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혹시 설렌 건 아니죠?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공짜를 좋아하면 정말 대머리가 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공짜를 좋아하면 진짜 대머리가 될까

 

이 영상을 보고 계신 분들께는
제가 공짜로 문화상품권을 드리겠습니다

라고 하면 거절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공짜로 무언가를 준다는데 거절할 이유가 없죠

그런데 공짜를 좋아하면 대머리가 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공짜를 좋아하면 정말 대머리가 되어버리는 것일까요

https://youtu.be/9Si5eC816SE


어떤 원인에 의해 머리카락이 자주 빠지고
빠진 만큼 자라지 않는 현상을 탈모라고 합니다

탈모에는 원형탈모, U자형 탈모, M자형 탈모가 있는데
원형탈모는 스트레스에 의해
U자형 탈모와 M자형 탈모는 유전자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렇게 탈모에 의해 머리카락이 다 빠져버린 상태를
우리는 대머리라고 부르죠


그렇다면 공짜를 좋아하면 어떨까요
공짜로 무언가를 얻는다면 스트레스를 받는 게 아니라
오히려 스트레스가 해소될 것입니다

그리고 공짜 물건은 유전자에 영향을 줄 수 없습니다
없던 탈모 유전자가 만들어지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짜를 좋아한다고 해서
대머리가 되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모두 공짜를 좋아합니다
하지만 모두가 대머리인 것은 아니죠

그렇다면 왜 이런 말이 만들어진 것일까요

머리에 난 털 즉 머리카락을 두발이라고 합니다
과거 우리나라는 사람들의 두발을 단속하곤 했습니다

 


1895년에는 조선의 근대화를 위해
상투를 자르는 단발령이 내려지기도 했고

1970년대에는 남자가 머리를 기르지 못하도록 하는 법이
만들어지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선생님이나 경찰이 바리캉이나 가위를 들고
두발 단속을 하며 머리카락을 깎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기도 했죠


지금의 바리캉은 전자식이고 깨끗하게 사용하기 때문에
위생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이 당시 사용하던 바리캉은 이런 폭력적인 모습인데다
위생 관념도 지금과 같지 않았기 때문에

바리캉을 이 사람 저 사람에게 돌려쓰다
위생 문제가 발생하곤 했습니다



곰팡이에 의해 피부가 벗겨지고 갈라지는 병을 무좀이라고 합니다
무좀은 발에만 생기는 것이 아니라
손이나 머리에 생기기도 하는데

머리에 생긴 무좀을 두부백선이라고 부릅니다
두부백선은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생기는 병으로

머리카락이 쉽게 끊어지고 빠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이 심해지면 탈모가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두부백선은 더러운 바리캉이 원인이 되기도 했는데
특히 공짜로 머리를 깎아주던 이발소에서
자주 발생하곤 했습니다

그래서 두부백선을 기계독이라고 부르기도 했죠

즉 과거에는 공짜로 머리를 깎다
대머리가 되는 일이 실제로 있기도 했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유래해 공짜를 좋아하면 대머리가 된다는 말이 만들어진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머리를 자주 감기도 하고
위생적인 환경에서 머리를 깎기 때문에

공짜로 머리를 깎다고 해서 대머리가 되는 일은 없고
공짜를 좋아한다고 해서 대머리가 되는 일도 없으니
이 점은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