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황사, 미세먼지, 초미세먼지의 차이

미세먼지의 시즌이 왔다.. -



우리가 미세먼지를 신경쓰기 시작했을 때는 언제부터였을까요


봄이면 매년 황사때문에 불편함을 표현하긴 했어도

미세먼지때문에 불편함을 표현한 것은 그렇게 오래 되지는 않았던 것 같습니다


황사는 그래도 특정 시즌에만 걱정을 하면 됐지만

미세먼지는 다르죠


겨울철 찬바람이 부는 때는 미세먼지가 안보였지만

이제 날씨가 점점 좋아질수록 미세먼지를 주의해야할 날이 많아질 것 같네요

물론 겨울에도 미세먼지가 가득한 날이 있긴 했지만 말이죠





황사는 중국 내몽골지역에서 강한 바람으로 인해

자연적으로 만들어지는 모래와 흙먼지입니다


인간은 자연을 지배할 수 없기 때문에

황사가 일어나는 것은 어떻게 할 수 없습니다


대기 오염이 된 지역을 거쳐서 왔다면

유해성이 증가 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하지만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는 다릅니다

먼저 미세먼지는 지름이 10마이크로미터 이하로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입자 먼지입니다


초미세먼지는 어떨까요?

미세먼지보다 훨씬 작은

지름이 2.5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먼지입니다


사람 머리카락의 지름이 50~70마이크로미터 정도인데

이것보다 훨씬 작습니다


자연적으로 만들어지는 황사와 달리



미세먼지는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를 태울 때 생기는

매연, 자동차 배기가스 등에서 발생합니다


그러니 우리가 주의한다면 충분히 줄일 수 있는 것이죠


뭐 여기서 우리라고 하는 것은 우리나라를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나라가 주의를 한다고 해도 불쾌한 이웃 덕분에

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는 것은 아니니까요



우리나라는 지리적 위치 기상여건 덕분에

중국의 미세먼지 발생에도 신경을 써야합니다


북서풍이 불면 중국의 미세먼지가 한국으로 들어오는데요

우리나라 대기중의 오염물질과 합쳐져

뿌연 하늘을 만듭니다



베이징은 매년 100만 명 이상이 대기오염으로 사망한다고 알려져있으니

중국의 대기오염이 얼마나 심각한지 알 수 있겠죠?



한국의 미세먼지 수치가 높은 것은 정말 중국 때문이 맞냐

하는 의견도 있을 수 있는데


한국표준과학 연구팀이 이것을 과학적으로 증명해냈습니다



한국의 국민이라면 이런 미세먼지의 고향이

어디인지 말 안해도 다 알거라고 생각합니다


이제 날씨가 점점 더 따뜻해지면서

미세먼지가 더더욱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으로 우리가 창문을 열 수 있는 날은 얼마나 될까요

미래에는 미세먼지 덕분에 사망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늘어날까요


국민들이 조심해야한다

배출량을 줄여야한다 하는 것이 아니라

이제는 국가적으로 해결해야할 아주 중요한 문제가 되어버렸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태양계와 같은 수의 행성을 가진 외계 태양계의 발견

- 케플러-90(kepler-90) -




우리는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서 얼마나 더 살 수 있을까요

물론 그것을 고민하는 것은 아주 먼 미래의 일이겠지만

인류가 영원히 존재하기 위해선

우리의 자손들에게 더 좋은 환경을 만들어주기 위해서


혹시 내가 환생했을 때 더 좋은 환경에서 살기 위해서

지금의 우리는 지구가 아닌 다른 행성에서 살 수 없는지를 계속 연구하고 있습니다


지구의 자원은 한정적이기 때문인데요

이 광활한 우주에 지구 이외에 다른 곳에서는 생물이 살 수 없을까요?

개인적으로 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분명 우주 어딘가 다른 생물이 살고 있을 것이고(외계인이라고 불리는 그 어떤 생물)

그들도 우리와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을 것 같습니다




미 항공우주국 나사는 케플러 우주 망원경이 보내온 자료를

구글 머신러닝으로 분석해 케플러-90이라는 별 주위에서

8번째 외계 행성을 발견했다고 말했습니다


케플러-90는 우리 태양계와 같은 수의 행성을 가진 태양계입니다



과거엔 수금지화목토천해명 으로 많이 외웠지만

명왕성이 태양계에서 퇴출된 것은 제법 오래전 일이죠?


그래서 우리의 태양계는 지금 8개의 행성이 존재합니다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케플러-90의 행성은

지금 우리가 부르는 수성, 금성처럼 딱 떨어지는 이름은 없지만

그들도 각각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에 발견한 8번째 행성은 케플러-90i(kepler-90i)라는 이름을 붙였는데요



사진에서 보믄 것 처럼 케플러-90i는 나중에 발견 되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보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순서에서 약간 어긋나죠


한가지 특이한 점이 있다면 우리 태양계의 행성은 크기가 제각각인데

케플러의 경우 멀리 떨어질수록 커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네요


케플러-90i는 지구에서 2545광년 떨어져있는데요

케플러-90 항성(케플러-90의 태양)을 14.4일에 한 번씩 도는 뜨거운 암석 행성입니다


지구는 태양을 365일에 한번씩 돌고있는데

이것과 비교해 본다면 태양과 얼마나 가깝게 붙어있는지를 알 수 있죠


그곳에 가면 2주에 한번씩 나이를 먹게 되겠네요


어쨌든 태양에 너무 가깝게 붙어있기 때문에

표면 온도가 너무 높아 생명체가 살기에는 온도가 너무 높습니다



케플러가 보내온 데이터에는 3만 5천개의 신호가 들어있는데

이것은 모두 외계 행성에 관한 데이터라고 합니다


케플러-90i가 태양에 너무 가까워 생명체가 살 수 없지만

케플러가 보내온 또다른 데이터를 분석하면

그것보다 훨씬 더 멀리 떨어진

지구와 비슷한 환경을 가진 행성을 발견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영원히 살 수만 있다면 영원한 삶을 택해

미래에 어떤 우주로 나가는지 보고싶네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그 많던 검정색 영수증은 어디로? 갑자기 등장한 파란색 영수증

- 나중엔 빨간색 영수증, 초록색 영수증도 가능할까? -




물건을 사고 받는 영수증

습관적으로 영수증은 버려주세요 하는 분들은

아직까지 눈치채지 못했을 수도 있지만


영수증을 잘 받는 분들이라면 영수증 색이 어느순간 바뀌었다는 것을 느끼고 있죠





심지어 최근에는 SNS를 통해 파란색 영수증을 인증하는 것이

유행이라고 하니 새로운 것에 대한 인기를 실감할 수 있는 순간입니다


일반적으로 영수증이라고 하면

흰색 종이에 검은색 글씨가 쓰여있는 것을 떠올리기 마련인데

우리는 왜 영수증을 그렇게 알고 있는 것일까요?



이유는 단순합니다

검은색 글씨가 흰색 종이에 썼을 때 가장 잘 보이기 때문이죠


그런데 왜 갑자기 파란색 영수증을 쓰게 된 것일까요?




영수증은 감열지라고 불리는 특수 종이를 사용하는데요

이것은 종이에 염료가 들어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정 부분에 열을 가하면

열을 가한 부분만 글씨가 써지는 아주 신기한 종이죠



감열지에 들어가는 염료는 80%가 중국에서 만들어집니다

우리나라는 염료를 100%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는데요


2017년 10월 중국은 환경규제 정책을 강화했습니다

그 결과 많은 염료 공장들이 문을 닫게 되었죠



공장이 문을 닫자 검은색 염료의 생산량은 턱없이 부족해졌고

가격은 상승했죠


그래서 검은색 염료의 대체자를 찾게 된 것입니다


검은색 다음으로 재고가 많았던 염료는 파란색 염료입니다

재고가 많다는 것은 그많큼 싼 값에 살 수 있다는 것이죠



요즘에는 많이 쓰이지 않지만

종이에 힘을 가해 글씨를 쓰면 뒷면에 글씨가 남는 감압지에 들어가는 염료가 파란색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비교적 싼 값인 파란색 염료를 수입해오기 시작했고

그것을 영수증에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 파란색 영수증이 탄생한 것이죠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