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그 많던 검정색 영수증은 어디로? 갑자기 등장한 파란색 영수증

- 나중엔 빨간색 영수증, 초록색 영수증도 가능할까? -




물건을 사고 받는 영수증

습관적으로 영수증은 버려주세요 하는 분들은

아직까지 눈치채지 못했을 수도 있지만


영수증을 잘 받는 분들이라면 영수증 색이 어느순간 바뀌었다는 것을 느끼고 있죠





심지어 최근에는 SNS를 통해 파란색 영수증을 인증하는 것이

유행이라고 하니 새로운 것에 대한 인기를 실감할 수 있는 순간입니다


일반적으로 영수증이라고 하면

흰색 종이에 검은색 글씨가 쓰여있는 것을 떠올리기 마련인데

우리는 왜 영수증을 그렇게 알고 있는 것일까요?



이유는 단순합니다

검은색 글씨가 흰색 종이에 썼을 때 가장 잘 보이기 때문이죠


그런데 왜 갑자기 파란색 영수증을 쓰게 된 것일까요?




영수증은 감열지라고 불리는 특수 종이를 사용하는데요

이것은 종이에 염료가 들어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정 부분에 열을 가하면

열을 가한 부분만 글씨가 써지는 아주 신기한 종이죠



감열지에 들어가는 염료는 80%가 중국에서 만들어집니다

우리나라는 염료를 100%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는데요


2017년 10월 중국은 환경규제 정책을 강화했습니다

그 결과 많은 염료 공장들이 문을 닫게 되었죠



공장이 문을 닫자 검은색 염료의 생산량은 턱없이 부족해졌고

가격은 상승했죠


그래서 검은색 염료의 대체자를 찾게 된 것입니다


검은색 다음으로 재고가 많았던 염료는 파란색 염료입니다

재고가 많다는 것은 그많큼 싼 값에 살 수 있다는 것이죠



요즘에는 많이 쓰이지 않지만

종이에 힘을 가해 글씨를 쓰면 뒷면에 글씨가 남는 감압지에 들어가는 염료가 파란색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비교적 싼 값인 파란색 염료를 수입해오기 시작했고

그것을 영수증에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 파란색 영수증이 탄생한 것이죠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2030년에 생길 수도 있는 미래의 직업 6가지




디지털 마케팅 업체 아카(AKQA)와 사우디아라비아의 미스크 재단의 미스크 글로벌 포럼 합동팀이

2030년까지 출현 할 수 있는 새로운 직업을 그림으로 표현해 공개했습니다



폐기물 재활용 기사입니다


재활용 기술 발전에 따라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 신종 직업입니다

사실 그림으로 보면 저런 기계를 인간이 타고 다니면서

재로운 물건을 만들어낸다고?

생각이 드는데요


실제로 저런 기계를 타지는 않더라도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직업이

나올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래도 지구의 자원은 한정적이다보니 서서히 다른곳으로 눈을 돌려야 하는데

쓰레기를 그냥 버리고 썩혀두기엔 너무 아까우니

쓰레기를 재활용 해서 어떤 것을 만들어낸다거나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면

그것으로 엄청난 이득을 보는 것이겠죠


옛날부터 생각했던 것이긴 한데

점점 실현될 가능성이 있다고 하니 신기하네요


아주 어렸을 땐 자동차 안에 쓰레기를 넣으면 그것을 태우거나 뭐 어떻게 에너지로 바꿔서

기름을 넣지 않고도 자동차를 움직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그땐 말도 안되는 생각이었지만 어쩌면 미래엔 그렇게 될 수도 있겠네요



국가유산 보존사입니다


나라의 주요 건축물을 입체적으로 스캐닝해 디지털 기록물로 영구히 보존하는 일을 하는 사람입니다

충분히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이것은 굉장히 중요한 작업이죠

한 나라의 역사를 볼 수 있는 건물이 붕괴해버리면

역사가 통째로 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먼 미래가 아닌 가까운 미래에 꼭 나왔으면 하는 직업입니다


이크라에선 이슬람 국가에 의해 사라질 위협에 처해 있는

바빌론 유적을 레이저를 이용해 3차원 디지털 영상으로 남기는 작업이 진행되기도 했습니다


동그란 기계가 레이저를 쏘는 것을 보니

영화 에일리언이 생각나네요



블록체인 뱅킹 엔지니어입니다


블록체인 기술 인프라를 확장해 사람들이 세계 어느곳에서든 안전하게 은행 업무를 볼 수 있게 하는 직업입니다


뭐 이것은 먼 미래가 아니라 가까운 미래에 나올 수 있는 직업이라 생각됩니다

미래의 직업 6가지 중에서 가장 실현도도 높은 것 같구요

실제로 지금 블록체인을 이용해서 자율 주행 자동차같은 여러가지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죠


블록체인 하면 가장 핫했던 비트코인을 먼저 떠올릴 수도 있는데

블록체인 기술은 코인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니까요



건축 프린팅 기사입니다


3D 프린터를 이용해 건축물을 만드는 사람입니다


과거에만 하더라도 3D 프린터 하면 아주 간단한 도형이나 섬세하지 못한 피규어같은 것들을 만들어내곤 했는데

이제 그 기술이 발전해서 더 대단한 것들을 만들어내고 있죠


실제로 미국의 MIT 대학에선 3D 프린터를 개발해 단층 건축물을 만드는 시연을 하기도 했습니다



공공기술 윤리 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새로운 기술들이 나타나면서 그것이 정말 안전한 것인지

악의적으로 사용되진 않는지 판단하는 직업입니다


갑자기 짠 하고 등장하기 보단

기술이 점점 발전하면서 그것을 통제하기 위한 사람들이 생겨나고

그러면서 직업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원격로봇 외과의사입니다


외딴 섬이나 먼 거리에 있는 환자들을 로봇을 통해 원격으로 진찰해주는 의사입니다


그림으로 그려서 로봇이 정말 대단하게 표현되었지만

사실 진찰만 한다고 생각했을 땐 지금도 충분히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맥박이나 심장박동, 카메라를 이용해 눈, 피부, 뼈 이런 것들을 보고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판단하는 시스템은

지금의 기술력으로도 만들어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스마트폰이 들어오면서 3g 시대가 시작됐고 LTE를 넘어 이제는 5g가 자리를 잡고 있는 만큼

원격 제어를 할 수 있는 물건들이 점점 더 많아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2016년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에서는

초등학생의 65% 현재 존재하지 않는 직업에서 일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고 합니다


그도 그럴 것이 제가 초등학생일 때를 생각해보면

꿈을 적는 란에 공무원, 선생님, 과학자 같은 약간은 진부한 직업을 적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이런 직업 이외에도 수많은 직업들이 존재하니까요


특히 컴퓨터, 인터넷, SNS같은 완전히 새로운 것들이 등장하면서

돈을 벌 수 있는 수단이 바뀌었고

미래에도 그렇게 되지 말라는 법이 없으니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지구가 배 아파 낳은 자식 달? 거대 충돌설과 달의 탄생

- 달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






지구의 위성이라고 불리는 달은

고개만 들면 하늘 어딘가에서 찾을 수 있죠


그래서 그런지 우리에게 굉장히 친숙하지만

달은 사실 우리가 아는 것보다 훨씬 더 신비한 존재입니다



달은 지구의 4분의 1크기인데

이것은 태양계 위성 중 다섯 번째 해당하는 크기입니다


태양계 전체를 생각했을 때 지구의 크기와 달의 크기는 굉장히 작게 느껴지지만

상대성을 생각한다면 작다고만 이야기할 순 없습니다



그런데 지구는 왜 이런달을 위성으로 가지고 있는 것일까요


46억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그때는 태양을 중심으로 많은 성간물질들이 흩어졌다 뭉치면서


덩어리를 형성하고 그 덩어리가 다시 깨지기도 하며

깨진 잔해들이 만나 다시 덩어리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그러던 중 화성만 한 크기였던 초기 행성 테이아가

지구에 너무 가깝게 접근했고 결국 충돌을 일으키고 말았습니다


테이아와 지구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면서 잔해들이 우주속으로 뜯겨나가게 되었습니다



이 잔해들은 지구의 중력에 의해 지구를 공전하게 되는데요

오랜 세월 지구를 공전하면서 다시 뭉쳐 천체를 형성한 것이 바로 우리의 달입니다



여기서 굉장히 신기한 점은

우주적 우연인지 지구에서 바라보는 달은

지구에서 바라보는 태양과 크기가 거의 같아 보인다는 것입니다


태양은 달보다 400배 크지만

지구에서 달의 거리보다 400배 멀리 떨어져있기 때문에

지구에서 바라보는 크기는 거의 일치하는 것이죠


우주가 도와준다는 말도 여기에 해당하는 것일까요?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려버리는 개기일식(태양 달 지구)은

지구에서만 관측 가능하다고 합니다



낮하면 태양 밤하면 달이 떠오르는데

인간의 심리속에 달이 태양과 동등한 존재로 인식되었던 이유도

바로 이런 것 때문이 아니었을까요?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