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만약 물속에 계속 있는다면 어떻게 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물속에 계속 있으면 어떻게 될까

 

뜨거운 물에 몸을 푹 담그고 있으면
스트레스가 풀리고 기분이 좋아집니다

뜨거운 온도 때문에 혈관이 확장돼 혈액 순환이 원활해지고
근육이 이완돼 뭉친 근육을 풀어주며 피로가 풀리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이런 기분을 오래 느끼기 위해
물속에 계속 있으면 어떨까요

 

아마 몇 분간은 기분 좋은 상태가 계속될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의 손가락과 발가락이 쭈글쭈글해지죠


과거에는 표피에 있는 각질층은 물을 흡수해 부풀어 오르지만
과립층은 물을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차이가 발생해 주름이 생긴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신경에 원인이 있다고 말하곤 합니다

물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신경계가 신호를 보내
혈관을 수축시켜 의도적으로 주름을 만든다는 것이죠


실제로 신경이 마비된 사람은 물에 아무리 오래 있어도
주름이 생기지 않는다고 합니다

주름은 물에 젖었을 때도 미끄러지지 않고
잘 잡을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이라는 말이 있긴 하지만
아직 정확한 이유는 찾아내지 못했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피부가 물을 흡수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 몸에서는 개기름이라고도 불리는 피지가 끊임없이 나오고 있습니다
피지라고 하면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긴 하지만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꼭 필요한 녀석이죠

물속에 오래 있을 경우 피지가 씻겨내려가
피부를 보호하는 보호막이 사라집니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물에 들어간 뒤 12시간이 지나면
피부가 손상되기 시작하고

72~144시간이 지나면
피부염이 발생하게 된다고 합니다

많은 물이 피부로 흡수되고
이로 인해 피부 안에 수포가 만들어집니다

만약 욕조 안에 있는 것이라면 움직임이 제한되기 때문에
엉덩이나 등, 발뒤꿈치에 받는 압박이 늘어날 것입니다


신체 일부분이 지속적으로 압박받으면
피가 잘 돌지 못해 산소 공급이 부족해져 피부가 손상됩니다

이것을 욕창이라고 하죠

압력이 사라지면 욕창도 자연스럽게 사라지지만
압력이 계속되면 피부가 괴사해 떨어져 나가
근육이나 뼈가 드러나게 됩니다



움직일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있는 곳이라면
욕창은 발생하지 않겠지만

오히려 움직이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피부 속에 만들어진 수포는 시간이 지나면서 터지게 되는데
그러면서 피부도 같이 벗겨지게 되죠

그런데 움직임 때문에 마찰이 발생하면
피부가 더 심하게 벗겨질 수 있습니다


벗겨진 곳으로 세균이 들어와 피부가 추가적으로 손상되거나
질병에 걸릴 수 있습니다

물론 이것은 하루, 이틀이 아니라 며칠에 걸쳐 서서히 발생하게 됩니다

만약 11일 동안 물속에서 있었다면
축하합니다 당신은 방금 세계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미국의 마술사 데이비드 블레인은
물속에서 7일 동안 지내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그는 물속에 있는 동안
살과 근육이 찢어지는 것 같은 통증을 느꼈다고 합니다

남아공의 다이버 팀 야로우는 잠수복을 입고 있긴 했지만
물속에서 10일 동안 지내며 212시간(거의 9일)의 이전 기록을 깨고
새로운 기록을 세웠습니다


이들은 프로젝트가 끝난 뒤 물속에서 무사히 빠져나오긴 했지만
일부의 전문가들은 영구적인 손상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피부가 손상된 상태로 물속에 계속 있을 경우
결국 사망하게 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물 없이 살지 못하지만
너무 많은 물과 함께할 경우 역시 살지 못하게 되는 것이죠




그런데 사실 피부가 이렇게 되기 전에
우리는 물 밖으로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뜨거운 물에 오래 있으면
땀을 많이 흘리기 때문에 갈증이 납니다
이 상태가 오래되면 탈수 때문에 쓰러지거나
목숨을 잃게 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간중간 물을 마셔줘야 합니다
그리고 배가 고프기 때문에 음식도 먹어야 하죠

물론 물속에서 먹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문제는 먹고 난 뒤입니다

물을 마시면 오줌이 마렵고
음식을 먹으면 똥이 마렵습니다

이런 것들은 영원히 참을 수 없기 때문에
결국 밖으로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스마트폰을 계속 사용하면 배터리 수명이 줄어드는 이유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왜 계속 쓰면 수명이 줄어드는 걸까

스마트폰을 산지 얼마 안 됐을 땐 몇 시간을 사용해도
배터리가 넉넉하게 남아있습니다

하지만 1년, 2년, 3년 사용하다 보면
배터리 닳는 속도가 점점 빨라지게 됩니다

그래서 한 시간도 안 썼는데
다시 충전을 해야하는 상황이 되기도 하죠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사용할수록
배터리의 수명이 점점 줄어드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https://youtu.be/xDWG7F68eDw


배터리는 전자기기가 작동할 수 있도록
전기 에너지를 공급해 주는 장치입니다

전지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충전이 불가능한 1차 전지와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노트북, 무선 이어폰,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것이
바로 2차 전지이며 2차 전지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리튬을 소재로 해 만들어진 전지인
리튬이온 전지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리튬이온 전지는 리튬이온을 보관하고 있는
쉽게 말해 리튬이온의 집이라고 할 수도 있는
플러스(+), 마이너스(-) 즉 양극재와 음극재

리튬이온이 양극과 음극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해질

배터리가 사용되지 않을 때 리튬이온의 이동을 막는
분리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충전된 배터리의 리튬이온은 음극재에 머물러 있습니다
이때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음극재에 있는 리튬이온이
전자를 잃어버리게 되고 전해질을 통해
양극재로 이동하게 됩니다

잃어버린 전자는 도선을 따라 음극재에서 양극재로 이동하는데
이때 이동하는 과정에서 전기 에너지가 만들어져
스마트폰이 작동하게 됩니다


즉 배터리가 닳는다는 것은 음극재에 있는 리튬이온이
양극재로 이동하는 현상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방전이라고 하죠

배터리를 전부 사용하면 모든 리튬이온이 양극재에 머물러 있습니다
이때 리튬이온은 산소와 결합해 리튬 산화물 형태로 존재하는데
이런 상태에서 충전기를 연결하면


양극재에 있는 리튬 산화물이 다시 리튬이온으로 분리돼
음극재로 이동하게 됩니다
그리고 잃어버렸던 전자를 다시 얻게 되죠

이것을 충전이라고 합니다

배터리의 사용과 충전은 이런 원리로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리튬이온 전지의 음극재, 즉 리튬이온의 집은
흑연으로 만들어집니다

연필에 있는 그 흑연과 같은 것으로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고 리튬이온을 많이 저장할 수 있고
가격이 싸기 때문에 음극재로 사용하기 적합한 소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흑연은 사용할수록 구조가 점점 변해
저장할 수 있는 리튬이온의 수가 줄어들게 됩니다

사용하고 충전하고
사용하고 충전하다 보면
리튬이온이 머물 수 있는 집이 하나 둘 무너진다는 것이죠


집이 무너지면 음극재에 머무는 리튬이온의 수가 줄어들게 되고
리튬이온의 수가 줄어들면 전자의 수도 줄어들게 되니
만들어지는 전기 에너지도 줄어들게 됩니다

그래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사용할수록
배터리의 수명이 줄어들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집이 무너지기 시작하면
아무리 충전을 해도 리튬이온이 머무를 집이 없어지게 되니
이전과 같은 성능을 내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깜짝 놀라면 진짜로 애가 떨어지게 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놀라면 진짜 애가 떨어질까

 

깜짝 놀랐을 때 놀라서 애 떨어질 뻔했다 라고 말하곤 합니다

뱃속에 있는 아기가 유산될 정도로 깜짝 놀랐다는 뜻인데
임산부는 물론 임신을 하지 않은 여자도
임신을 할 수 없는 남자도 사용하는 말입니다

그렇다면 실제로 임신한 상태에서 깜짝 놀라면
놀란 것 때문에 아기가 유산되기도 할까요
https://youtu.be/cULb8j-XXJ8


임신을 하면 뱃속에 있는 아기의 안전을 위해
평소보다 더 조심하게 됩니다

먹는 것을 조심하거나
행동하는 것을 조심하거나
보거나 듣는 것을 조심하기도 하죠

그중에는 놀라서 애 떨어질 뻔했다는 말 때문에
놀라지 않기 위해 공포영화를 보지 않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공포를 느끼거나 큰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이 되면
아드레날린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됩니다

아드레날린은 근육의 혈관을 확장시켜
위기 상황에 더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고
생존에 꼭 필요하지 않은 쪽의 혈관은 축소시키는데


이때 자궁의 혈관 역시 축소됩니다

만약 임신 중이라면 태아에게 전달되는 혈액의 양이 줄어들어
태아에게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것이 심해지면 유산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깜짝 놀라면 순간적으로 받는 스트레스 때문에
공포영화를 보면 무서움과 긴장감 때문에
아드레날린이 분비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유산의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 생각할 수 있지만

놀라거나 공포영화 때문에 유산되는 경우는 없다고 합니다
오히려 공포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은
영화를 보고 스트레스를 풀 수 있으니
공포영화가 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놀라서 애 떨어질 뻔했다 라는 말이 있는 것일까요
사실 여기서 말하는 애는 아기가 아니라
몸속에 있는 장기인 간을 말하는 것입니다

깜짝 놀랐을 때 간 떨어질 뻔했다 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간 떨어질 뻔했다와 애 떨어질 뻔했다는 같은 말인 것이죠

그렇다면 깜짝 놀랐을 때 진짜로 간이 떨어질 수 있는 것일까요?

 



우리가 사용하는 관용어에는 이상하게 간이 자주 들어갑니다

간이 부었다, 간이 크다 같은 표현이 있고
애가 탄다, 애를 쓰다에서 나오는 애 역시 간을 말하는 것입니다

과거에는 사람이 태어나면서 혼백이 같이 만들어진다고 생각했습니다
여기서 혼은 정신을 의미하는 것이고 백은 육체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살아있는 동안 혼백은 몸속의 장기에 머물게 되는데
혼은 간에 머물고 백은 폐에 머문다고 합니다

그래서 간을 중요하게 생각했고
정신에 문제가 생기면 간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간에 문제가 생기면 정신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사람이 죽으면 혼백이 나누어져
혼은 하늘로 올라가고 백은 땅으로 꺼지게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너무 놀랐을 때 혼비백산이라는 말을 사용하곤 하는데
이것은 혼이 날아가고 백이 흩어졌다는 뜻으로
정신과 육체가 분리될 정도로
즉 죽을 정도로 놀랐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넋이 나갔다, 얼이 빠졌다 라는 표현에서 넋과 얼은 혼을 말하는 것으로
과거에는 어떤 표현을 할 때 혼을 자주 사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놀라서 애 떨어질 뻔했다, 간 떨어질 뻔했다 라는 표현은
아이나 간이 아니라 혼이 떨어져 나갈 뻔했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죽을 정도로 놀랐다 라는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애 떨어질 뻔했다에서 애는 아이를 말하는 것이 아니지만
아이를 말하는 것으로 잘못 이해하게 되면서
놀라면 유산될 수 있으니
임산부는 놀라면 안 된다고 말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엄청 힘든 상황에서 ㅈ 빠지겠네 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오늘부터는 역사와 전통이 있는
혼 빠지겠네 라는 표현을 사용하면 어떨까요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