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흰색 플라스틱이 노랗게 변색되는 이유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왜 누렇게 바뀌는 걸까

우리 주변에는 꽤 많은 플라스틱 제품이 있습니다

 

매일매일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부터

집안 곳곳에 자리잡고 있는 가전제품들

화장품이 들어있는 여러가지 케이스

 

차라리 플라스틱이 아닌 제품을 찾아보자! 하는 것이 빠를 것 같습니다

 

 

집에 있는 여러가지 플라스틱 제품 중에서

어떤 색깔이 많이 있나요?

 

일단 저희 집에는 하얀색 플라스틱 제품이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뭐 어떤 색깔이 이쁜 색이다 라는 기준은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사람마다 취향은 다르긴 하지만

흰색은 깔끔하기도 하고 어디에나 잘 어울리기 때문에

많이 만들어지고 많이 선택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흰색 제품은 한가지 단점이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노랗게 변한다는 것이죠

 

뭐 이것은 가전제품만 이런 것은 아닙니다

흰색 레고나 흰색 피규어 색도 노랗게 변하고

스마트폰에 끼워 사용하던 젤리 케이스 역시 노랗게 변합니다

 

차라리 예쁜 노란색으로 변한다면 좀 낫겠지만

노랗다라는 말보다 누렇다라는 말이 어울릴 정도로

지저분하고 탁한 색으로 바뀌게 됩니다

 

흰색 제품은 시간이 지나면 왜 노랗게 변하는 것일까요?

 

플라스틱의 등장은 우리 생활을 참 많이 바꿔놨습니다

값이 싸긴 하지만 가공하기 쉽고 가볍고

제법 튼튼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일상용품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플라스틱 하면 주위에 널려있는 딱딱한 물건을 떠올리겠지만

스티로폼도 플라스틱이고

아크릴도 플라스틱

나일론도 플라스틱

비닐봉투도 플라스틱입니다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아세탈,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PET, ABS 등등

정말 여러가지 플라스틱이 있습니다

 

플라스틱은 썩지 않는다는 장점인듯한 단점 덕분에

오랜기간 사용할 수 있지만

시간이 흐르면 색이 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플라스틱의 색을 변화시키는 가장 큰 원인은 바로 자외선입니다

 

자외선은 UV라고 부르기도 하며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짧아 우리 눈에 보이지 않지만

태양빛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에게 많은 영향을 주는 빛중 하나입니다

 

자외선은 1급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있고

영향을 받으면 피부를 노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플라스틱은 생명체는 아니지만

자외선을 받으면 사람처럼 노화가 시작됩니다

 

색을 노란색으로 변한다고 해서 이런 현상을 황변이라고 합니다

 

플라스틱 제품에는 불에 잘 타지 않게 하기 위해

브로민이라는 물질을 추가합니다

 

플라스틱 제품이 자외선을 받으면

화학적 분해가 일어나 브로민이 떨어져 산소와 결합하게 됩니다

 

브로민은 실온에서 적갈색을 띄기 때문에

플라스틱이 장기간 자외선에 노출되면 노랗게 변하는 것이고

시간이 더 많이 지나면 갈색으로 바뀌게 됩니다

 

햇빛을 피해 실내에서 보관해도 황변이 일어나는 이유는

형광등에서도 자외선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고가의 피규어가 황변이 일어나지 않게

자외선이 차단되는 보관함에 보관하기도 합니다

 

또 애초에 자외선 코팅이 되어 나오는 제품도 있긴 하지만

자외선을 100% 막아주지는 못하기 때문에

보관함에 보관하든 코팅이 되어 나오든

시간이 지나면 노랗게 변하게 됩니다

 

최근에는 과산화수소를 이용해 브로민을 다시 결합시켜

노란색 제품을 다시 흰색으로 바꾸는 방법도 알려지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일시적인 방법일 뿐

시간이 지나면 다시 노란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또 이런 과정을 거치다보면 플라스틱 제품의 내구성이 약해지고

쉽게 부서지기 때문에 조심해서 해야합니다

 

때로는 손 때가 묻어서 노랗게 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에

제품을 사용한 뒤 열심히 씻어내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진짜 때가 묻었다면 씻겨지겠지만

자외선에 의한 황변은 때나 얼룩이 아니라

플라스틱이 늙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기 때문에

아무리 닦아도 원래의 색으로 돌아오지 못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지구에서 생명력이 가장 강한 동물, 물곰(완보동물)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지구에서 가장 강한 동물

지구에서 가장 강한 동물이 인간인가? 라고 물어보면

그렇다 라고 대답하긴 힘든점이 있습니다

 

특히 강하다라는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다를텐데

생존력이 가장 강하느냐? 해도 인간은 그렇지 못하고

힘이 가장 세느냐? 해도 인간은 그렇지 못합니다

 

하지만 지능이 가장 높느냐? 라는 질문에는 인간이 그렇다라고 대답할 수 있고

이것 덕분에 현재 지구를 지배하고 있는 동물은 인간이 되고 있습니다

 

 

지구는 적당한 온도와 적당한 대기상태

물이 많이 있는 생명체가 살기 좋은 좋건을 가지고 있는 행성입니다

 

그래서 지구에는 많은 생명체가 살고 있죠

 

물론 지역에 따라 극한의 환경인 곳도 있습니다

북극이나 남극 같은 곳이 대표적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곳에서 살고 있는 동물들도 있습니다

 

생명체에게 지구는 그야말로 축복받은 행성인 것입니다

 

인간은 환경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극한의 환경

예를들어 아주 더운 곳이나

아주 추운 곳에서는 쉽게 살아남을 수 없습니다

 

지능은 높지안 아쉽게도 강력한 신체를 가지진 못했기 때문이죠

 

하지만 인간보다 더 강력한 신체가 없는 이들

인간보다 지능도 더 낮은 이들

인간보다 훨씬 작은 이들은

 

인간이 살아남을 수 없는 극한의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끈질긴 생명력 하면 가장 대표적인 동물이 바퀴벌레인데

이 동물은 바퀴벌레보다 더 뛰어난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게다가 3억 5천만년 전부터 존재했다고 알려진 바퀴벌레보다

더 이른 시점인 5억 3천만년 전부터 존재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들은 완보동물문에 속하는 동물로

물곰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물곰은 작은 것이 0.1mm정도 되고 전부 자라도 0.5mm정도밖에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1000종 이상 발견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암컷, 수컷이 구분되긴 하지만

일부 종은 암컷, 수컷이 한몸에 있는 자웅동체인 것도 있다고 합니다

 

타원형 몸에 8개의 다리가 있는 것이 특징인데

걷는 모습이 곰과 비슷하다고 해

곰벌레라는 이름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물속이나 습기가 많은 이끼에서 주로 발견되긴 하지만

 

습기가 전혀 없는 사막에서도 발견되기도 하며

물이 얼어붙어 있는 북극이나 남극에서도 발견되고

영하 272도까지 견뎌낸다고 합니다

 

게다가 끓는 물은 물론 151도 이상의 온도도 견뎌내고

기압의 6000배를 견뎌내고

공기가 전혀 없는 우주에서 살아남기도 하며

방사능에 노출되어도 살아남는 엄청난 생존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느날 지구에 커다란 운석이 충돌해

지구가 산산조각나 모든 생명체가 멸종한다고 해도

물곰만큼은 살아남을 수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기도 합니다

 

물곰이 이렇게 대단한 생명력을 가질 수 있는 이유는

탈수가사라는 능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탈수가사는 극한의 건조함을 견딜 수 있는 상태

물이 공급되면 다시 살아날 수 있는 상태를 말하는데

 

물곰의 경우 탈수가사 상태에 돌입하면 에너지 소모량을 0.01%까지 낮출 수 있다고 합니다

 

극한의 상황이 되면 이들은 머리와 다리를 몸 안으로 밀어넣고

특수한 물질을 분비해 세포나 DNA처럼 손상되면 안되는 것들을 보호합니다

 

에너지 소모량을 낮춰 물 없이도 생존할 수 있도록 몸을 바꿔버립니다

 

남들이 보기엔 죽은 것처럼 보이지만

이들은 극한의 상황을 견뎌내고 있는 것으로

환경이 다시 바껴 살기에 적합하다고 느껴질때까지 이런 상태로 살아갑니다

 

보통 생물은 물 없이 오랜 기간 살아갈 수 없습니다

특히 인간은 물 없이는 3일밖에 살지 못한다고 하죠

물을 마시지 않고 사막에서 살아갈 수 있다고 알려진 낙타조차

몇 달정도밖에 살 수 없지만

 

물곰의 경우 물 없이 30년 이상 혹은 이것보다 훨씬 더 긴시간을 견뎌내기도 합니다

 

물이 공급되기 시작하면

물곰은 물을 이용해 특수한 물질을 녹여

세포와 DNA를 다시 활성화 하고

머리와 다리를 꺼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게 됩니다

 

이런 특징 때문에 일부 과학자들은 물곰을 절대 죽일 수 없다고 말하기도 하고

과거에는 혹시 물곰은 외계에서 온 생명체가 아닐까? 하는 가설도 있었다고 합니다

 

과학자들은 물곰을 계속 연구하고 있으며

다른 독성물질도 견뎌낼 수 있을지 실험하고 있고

이들의 능력을 이용해 극한의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살아남은 자가 강한 것이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

 

물곰은 지구에서 일어난 다섯번의 대멸종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대멸종

데본기 말 대멸종

페름기 대멸종

트라이아스기-쥐라기 대멸종

K-Pg 대멸종에서도 살아남았습니다

 

위 말대로라면 물곰은 강한자의 끝판왕이 되는 것이죠

어쩌면 지구에서 가장 강한 동물이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지도 모릅니다

 

물곰은 어디에나 존재합니다

이 글을 보고 있는 여러분들의 어깨 위에도 존재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하지만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물곰은 인간을 신경쓰지 않고 해를 입히지도 않으니까요

 

그렇다고 해서 물곰을 무시해선 안됩니다

이들을 만나면 예의를 잘 갖춰야 합니다

왜냐하면 물곰은 지구에서 가장 강한 동물이니까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신호등 불은 초록색인데 왜 파란불이라고 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파란색이 아닌데 왜 파란불이라고 할까

저는 태어나서부터 지금까지 한글을 사용하고 있는데

아직까지 한글에 대해 다 알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심지어 내가 죽기 전까지 한글을 다 아는 날이 올까? 하는 생각을 하기도 합니다

 

얼마전 유퀴즈 온 더 블럭을 보는데

한 외국인이 이렇게 말하더군요

[참석하다, 참여하다, 참가하다] 의 차이를 잘 모르겠다

 

네.. 저도 모르겠네요

 

그리고 이건 예전부터 생각한 것인데

청색이라는 표현은 조금 어려운 것 같습니다

 

청포도는 분명 파란색 포도가 아니라 초록색 포도인데 청포도라고 하고

청자는 녹색 도자기인데 청자라고 하죠

 

 

도로는 위험하지만 신호등이 있기 때문에 그나마 안전하게 도로를 건널 수 있습니다

 

신호등은 색을 켰다 껐다 하는 방식으로 신호를 전달하는데

차량 신호등의 경우 빨강, 노랑, 초록 세가지 색을 사용하고

사람 신호등의 경우 빨강, 초록 두가지 색을 사용합니다

 

신호등에 빨간불이 켜지면 멈추라는 뜻이고

노란불이 켜지면 주의하라는 뜻

파란불이 켜지면 가도 된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한가지 이상한점을 느끼지 못했나요?

 

신호등에는 파란색이 없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가도된다는 신호를 파란불이라고 이야기 하죠

 

신호등의 녹색불은 왜 파란불이라고 말하는 것일까요?

 

햇빛이 물방울에 의해 굴절되면 여러가지 빛으로 나눠지는데

우리는 이것을 무지개라고 부릅니다

 

무지개는 빨주노초파남보 일곱가지 색깔로 이루어져 있다고 말하긴 하지만

실제로 무지개를 보면 색의 경계가 정확하게 나뉘어져 있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태양빛은 적외선과 자외선을 포함하고 있긴 하지만

우리의 눈은 적외선과 자외선을 보지 못합니다

 

우리가 볼 수 있는 빛을 가시광선이라고 합니다

 

적외선, 전파는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긴 빛이고

자외선, 엑스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짧은 빛입니다

 

신호등이 처음 등장한 것은 1868년 영국이지만

지금과 같은 삼색 신호등이 등장한 것은 1918년 미국의 뉴욕이라고 합니다

 

이런 신호등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광복 이후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과거에 신호등은 백열 전구를 사용했지만

지금은 LED로 바뀌었습니다

물론 백열 전구를 사용하는 신호등도 아직 남아있긴 합니다

 

백열 전구나 LED 모두 가시광선이 나오는데

햇빛이 물방울에 굴절되면 무지개가 보이는 것처럼

백열 전구나 LED에서 나오는 빛도 무언가에 굴절되면 빛이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신호등에는 초록색 LED를 사용하기 때문에 언제나 초록색 빛을 발산하지만

대기 상태에 따라서 신호등 불이 초록색이 아닌 청록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좀전의 무지개를 떠올려 봅시다

초록색과 파란색은 인접해있기 때문에

이런식으로 보이는 것이죠

 

신호등에서 정지는 빨간불입니다

 

하지만 빨간색의 반대 색은 파란색이라고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정지의 반대인 가다를 떠올릴 때

초록색 불이 아니라 파란색 불을 떠올리게 됩니다

 

국어사전에서 푸른색을 찾아보면

맑은 가을 하늘이나 깊은 바다 풀의 빛깔과 같이 맑고 선명한 색이라고 나옵니다

 

푸른색은 하늘의 파란색도 되고 풀의 초록색도 되는 것입니다

 

파란색을 타나내는 한자인 청은 靑 푸를 청을 사용하고 있고

초록색을 나타내는 한자인 록은 綠 푸를 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푸른색은 파란색과 초록색을 모두 포함한 색인 것입니다

 

그래서 푸른 하늘이라고 하면 파란색 하늘을 말하는 것이고

푸른 들판이라고 하면 초록색 들판을 말하는 것입니다

 

과거에는 파란색과 초록색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했습니다

초록색 포도임에도 청포도라고 부르는 것과

초록색 도자기임에도 청자라고 부르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죠

 

이후에 초록색이 등장하면서 초록색과 파란색은 구분지어졌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푸른색을 사용했습니다

 

시간이 흘러 푸른색은 파란색의 이미지가 강해지게 되면서

푸른색 신호등은 파란색 신호등으로 불리게 되었고

 

초록색 불임에도 파란불이라고 부르게 된 것입니다

 

국어사전에서 파란색을 찾아보면

맑은 가을 하늘과 같이 밝고 선명한 푸른색이라고 나옵니다

 

그리고 파란불을 찾아보면

청신호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이라고 나옵니다

 

신호등의 빛은 분명하게 초록색이긴 하지만

국어사전에서도 인정하고 있는 것을 보면

신호등의 빛을 파란불이라고 부르는 것은 틀린표현이 아닌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