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왜 설사를 하면 항문이 아픈 것일까?



음식을 먹으면 배출을 하는 것은 자연의 섭리입니다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은 몸속에 필요 없는 것들을 배출하죠


오늘 하루 화장실을 몇번 다녀왔나요?

저는 제법 많이 다녀오는 편입니다

소변도 자주 나오는 것 같고

대변도 다른 사람에 비해 꽤 많이 나오는 것 같네요


죄송합니다 너무 TMI였네요





음식을 먹고 나면

소화가 된 음식을 제외하고

나머지 것들은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이것을 큰 것, 대변, 똥이라고 하죠


전문 용어를 사용해야하는 곳이 아니라면

보통은 똥이라고 표현합니다


원래 똥은 지금과 같은 색은 아니지만

혹시 불쾌할 수 있을 것 같아서

나름대로 귀엽게 표현해봤습니다



똥이 나오는 구멍은

우리 몸에 딱 하나 있습니다


이것을 항문, 똥구멍, 똥꼬라고 하죠

보통은 똥구멍이라고 표현하긴 하지만

약간 귀엽게 똥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항문을 어떻게 그려야 할지 엄청 고민하다가

결국 지금과 같은 모양이 탄생했습니다


도저히 이 이상으로 표현할 수가 없네요



화장실에서 볼일을 본 뒤 변기를 자주 보시나요?

물론 더럽겠지만

본인의 건강 확인을 위해서라도

볼일을 본 뒤 변기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뭐 어쨌든 변기를 보면 가끔은 내 자신이 놀랍게 느껴질 때가 있죠


상당히 커다란 그것이 나왔기 때문입니다


똥이 나오는 구멍은 정말 작은데

어떻게 이렇게 커다란 똥이 나왔지? 하면서 말이죠


그런데 크고 굵은 똥도 견뎠던 항문은

훨씬 작고 액체상태인 똥 설사를 견디지 못하고 아파합니다


작은 구멍에서 커다란 똥이 나올 때 더 아파야할 것 같은데

왜 액체상태인 설사가 나올때 더 아픈 것일까요?


일반적으로 똥은 75%가 물이고

나머지의 3분의 2는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

3분의 1은 박테리아라고 합니다


입안으로 들어와 식도를 거쳐 위에 도달한 음식물은

강한 산성 액체인 위액을 만나게 됩니다



산성은 숫자가 낮을 수록 더 신데

위액은 식초나 레몬보다 더 낮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음식물은 위에 들어가 위액과 만나고

이후에 소장으로 보내집니다


소장에서는 음식물의 영양분을 흡수하고

필요없는 나머지는 대장으로 보냅니다


대장에선 물과 나머지 음식물이 뭉쳐집니다


이렇게 탄생한 것이 바로 똥입니다


똥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상당히 짧게 설명하긴 했지만

실제로 똥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12시간 ~ 15시간 정도라고 합니다


그리고 똥이 배출되는 시간은 24시간 ~ 48시간 후라고 합니다


하지만 설사의 경우

이런 과정을 전부 무시합니다



설사는 소화과정을 거치지 않고

위액과 함께 그냥 배출됩니다


위액속에는 위산이라는 강한 산성 액체 염산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약한 항문을 통해

이것을 배출해내면 아플수 밖에 없는 것이죠



일반적인 똥은 대장에서 열심히 모양을 만들기 때문에

표면이 매끈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설사의 경우 덜 가공된 음식물이기 때문에

항문을 통과하면서 항문을 자극하는 것이죠



때로는 똥을 쌌다고 표현하기 보다

똥을 발사했다고 표현하는 것이 맞을 정도로

폭풍설사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폭풍설사는 이름처럼 장내를 폭풍 질주하죠



이때 설사의 최대 속도는 70km정도라고 하네요


아무리 액체라고해도 이렇게 빠른속도로 온다면

항문이 아닌 다른곳이라도 아플수 밖에 없겟죠


우리가 타는 지하철의 경우 평균 속도가 50km정도라고 하고

빠르다고 할때마다 언급되는 동물인 치타는 속도가 100km라고 합니다



설사를 쌀 경우 위산과 덜 가공된 음식물을 배출하느라

항문이 예민해진 상태입니다


이때 항문을 마찰이 심한 휴지로 닦으면서

통증이 더 심해지는 것이죠


설사를 싼 경우에는 항문에 있는 주름 사이에 찌꺼기가 끼어있을 수 있고

항문도 예민한 상태이기 때문에

비데나 샤워기를 이용해서 물로 씻어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밖에서 볼일을 보는 경우 휴지가 아니라 물티슈로 뒷처리를 하는 것이 좋다고 하네요



가끔하는 설사는 몸속의 해로운 물질을 없애주기도 하고

장을 깨끗하게 청소해준다고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설사가 계속 지속되고 정도가 심하다면

병원에 가는 것이 좋다고 하네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더블유(W)는 왜 더블브이(V)가 아니라 더블유(U)라고 할까



지금은 그저 당연하게 사용하고 있지만

문자의 발명은 정말 대단한 것 같습니다


문자가 없었다면 지금도 손짓이나 몸짓으로 대화를 했을 것이고

인간은 동물들과 다를게 없었겠죠


문자를 만든다는 것은 그만큼 대단한 일이고

다시 생각해보면 세종대왕이라는 사람은 진짜 대단한 업적을 이뤄낸 사람인 것 같네요


우리는 수많은 영웅들을 좋아합니다

영웅이라고 불리는데 조건이 무엇인지는 모르겠지만

세종대왕은 감히 영웅이라고 불러도 될 정도인 것 같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한글 자음중에서는

같은 자음을 두번 사용하는 쌍자음이 존재합니다


기역(ㄱ)이 두개 있으면 쌍기역(ㄲ)

디귿(ㄷ)이 두개 있으면 쌍디귿(ㄸ)

비읍(ㅂ)이 두개 있으면 쌍비읍(ㅃ)

시옷(ㅅ)이 두개 있으면 쌍시옷(ㅆ)

지읒(ㅈ)이 두개 있으면 쌍지읒(ㅉ)입니다


영어도 같은 문자를 두번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한글처럼 많지는 않고 딱 하나 있죠

바로 더블유(W)입니다



우리가 평소에 더블유를 사용할 때는 아무런 위화감이 없습니다

그런데 더블류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을 해보죠


더블유를 영어로 쓰면 Double U가 됩니다


Double은 두배의 라는 뜻이고

U는 영어 알파벳 U를 말하죠


더블유를 해석해보면 U가 두개 있다는 뜻입니다


UU이런식으로 말이죠



우리가 사용하는 더블유의 모습을 보죠

W 이런 모습입니다


더블유는 정확히 말하면 더블유가 아니라 더블브이인 것이죠

브이가 두개인 모양입니다


더블유는 브이가 두개 있으면서

왜 더블브이라고 부르지 않고 더블유라고 부르는 것일까요?



전세계적으로 정말 많이 사용하는 문자인 영어는

원래 고대 로마인들이 사용하던 문자였습니다


그당시에는 J, U, W는 없는 문자였죠


사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언어는 중국어, 스페인어, 영어 순이지만

그나라 언어를 몰라도 영어만 할줄 알면 대화가 통하기 때문에

만능 언어가 아닌가 생각되기도 하네요



U는 중세 이전부터 등장하기 시작합니다

중세 이전에는 U와 V를 같은 문자로 생각하면서 사용했죠


중세 이후에는 U의 쓰임새가 조금 달라졌습니다

단어 앞에 쓸 때는 V를 썼고

단어 뒤에 쓸 때는 U를 썼죠


하지만 발음은 지금의 U와 같은 발음인 [u] 발음을 사용했습니다



이것에 대표적인 예가 이탈리아 보석 브랜드의 불가리입니다


불가리를 영어로 적어보면

BULGARI가 됩니다


하지만 불가리 로고를 보면 BULGARI가 아니라 BVLGARI입니다


이것은 고대 알파벳 표기법에 따라서 적었기 때문이죠

단어 앞에 쓸때는 V 단어 뒤에 쓸때는 U



게르만족이 사용하던 룬 문자에는 W가 있었습니다


룬 문자에서 W는 영어 알파벳 P와 비슷한 모양의 문자였죠

지금 이미지에서 가장 오른쪽 상단에 위치한 문자입니다



지금의 W를 읽을 땐 더블유라고 읽지만

과거 룬 문자 W를 읽을 땐 윈(wynn)이라고 읽었습니다


룬 문자 윈의 발음 기호는 [uu] 였습니다



노르만족들이 영국을 정복한 노르만 정복 이후에는 

W의 사용이 늘어났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지금의 W가 아니라 룬 문자 윈(p)의 사용이 늘어난 것이죠


룬 문자 윈은 영어 P와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에

사용할때마다 헷갈리기 일쑤였습니다


그래서 1300년대 이후에는 룬 문자 윈은 사라지게 되었죠


그리고 V와 U를 다르게 발음하기 시작했습니다


V는 [v] 발음으로 U는 [u] 발음이었죠


그렇기 때문에 과거 룬 문자 윈을 발음할 문자가 필요했습니다

룬 문자 윈의 발음 기호는 아까도 말했지만 [uu] 이런식이죠



처음에는 발음 기호의 모양대로 UU를 사용했습니다

이때부터 더블유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UU의 모양은 시간이 지나 VV로 바뀌었고

최종적으로 지금과 같은 W가 된 것이죠


UU를 사용할 때부터 더블유라고 불렀지만

이후에 모양이 바뀌게 되면서 명칭을 바꾸지 않았기 때문에

더블브이가 아니라 더블유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하지만 W를 더블유라고 읽는 곳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영어를 포함한 소수의 언어 뿐이죠

영어는 W를 더블유라고 읽고 U발음과 비슷하게 발음합니다


프랑스어, 독일어, 네덜란드어, 이탈리아어 같은 경우에는

W를 더블브이로 읽고 발음도 V발음과 비슷하게 발음하죠



대표적인 예로는 독일의 폭스바겐이 있죠


폭스바겐의 영문명은 Volkswagen입니다


우리가 알고있는 영어를 생각해보면 wagen은 절대 바겐이 아니라 웨건이죠

그리고 바겐을 쓰려고 하면 wagen이 아니라 vagen이라고 써야 맞습니다


하지만 폭스바겐은 독일어로 적었기 때문에 바겐이라 할지라도

vagen이 아니라 wagen이 되는 것이죠


독일어에서 W는 V발음이 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같은 경우에는

W를 지명이나 사람이름, 외래어를 쓸때만 사용하고

평상시에는 사용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William(윌리엄) 이렇게 사람 이름은 W를 사용하죠


영어로 겨울은 WINTER입니다

하지만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는 W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WINTER가 아니라 VINTER라고 씁니다


읽을때도 영어는 윈터라고 읽지만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는 빈터라고 읽는 것이죠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공중 화장실은 항상 더럽고 냄새나고 휴지도 없는 이유

- 공유지의 비극 -



평소에 화장실은 얼마나 자주 가나요?

이상하게 밖에 있을 때보다 집에 있을 때 화장실을 더 많이 가는 것 같네요

방금 오줌을 싸고 왔는데도 금방 또 마려울 때도 있고

장 활동이 정말 활발한 편이라 하루에도 몇번이나 들락날락 거리죠





식당에서 밥을 먹거나 카페에서 음료를 먹고 있을 때

신호가 오면 건물 내 화장실을 이용하면 됩니다


보통 식당이나 카페에 있는 화장실은 깨끗하기도 하고

휴지도 잘 비치되어 있습니다


사람이 많이 밀려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죠



하지만 건물에 있는 상태가 아니라

길을 걷고 있는 상태라면 어떨까요?


물론 신호가 온다고 해서 바로 화장실에 가야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변을 우습게 봤다간 큰 피해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빠르게 해결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밖에 있는 경우 건물 내 화장실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공중 화장실을 찾아야 합니다


근처에 지하철이 있다면 지하철 화장실을 이용하면 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상당히 난감한 상황이 찾아오기도 하죠



어찌어찌 화장실을 찾았다고 하더라도

입구부터 풍겨오는 악취와 아무렇게나 버려져있는 쓰레기들

그리고 막혀버린 변기의 모습을 보고

절망에 빠진적이 한 두번이 아닙니다


언제나 그렇듯 공중 화장실을 이용하기 위해 들어가면

악취와 쓰레기가 우리를 먼저 맞이해줍니다


공중 화장실은 왜 항상 더러운 것일까요?



미국의 생물확과 교수 개럿 하딘은

공유지의 비극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작성했습니다


이것은 1968년 12월 13일자 사이언스지에 실렸는데요


지하자원, 초원, 호수같은 자연물

즉 사용에 제한이 없는 공유지를 조건 없이 쓰게 두면

자원이 고갈되고 황폐해진다는 이론이죠



개럿 하딘은 목초지의 소를 이용해 이론을 설명했습니다


목동들이 많이 살고 있는 한 마을에는

모두가 함께 쓸 수 있는 목초지가 있습니다

누구에게나 개방된 공중 화장실같은 개념이죠


한 목동이 개방된 목초지에 소를 키우기 시작합니다

내 소유의 목초지가 있긴 하지만

개방된 목초지라면 내가 따로 관리를 하지 않아도 되고

비용을 지불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금전적으로 이득을 볼 수 있기 때문이죠


이걸 본 다른 목동들도 목초지에 소를 키우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마을의 모든 목동들은 개방된 목초지에 소를 키웠습니다

목초지를 사용하는데 누구도 돈을 내지 않았고

누구도 관리를 하려고 하지 않았습니다



소들은 자유롭게 풀을 뜯어먹었고

관리를 하지 않아서 목초지는 풀이 하나도 남아있지 않은 폐허가 되어버렸습니다


그리고 마을에선 더이상 소를 키울 수 없게 되었죠



모두의 이득을 위해 자신의 이득을 조금 포기했다면

계속 개방된 목초지를 사용할 수 있었겠지만

자신의 이득만을 생각해 결과적으로 모두가 큰 손해를 봤습니다


은잡지를 자주 보시는 분이라면 어디선가 비슷한 이론을 본 적이 있죠


2018/09/20 - [은근한 잡다한 지식/쓸모있는 잡다한 지식] - 북한의 비핵화가 어려운 이유(죄수의 딜레마로 보는 북한의 비핵화)


바로 죄수의 딜레마입니다



이번엔 목초지가 아니라 개방된 화장실

공중 화장실로 예를 들어봅시다


공중 화장실은 처음 지어졌을 땐 깨끗한 화장실이었습니다

하지만 어차피 우리집 화장실도 아니고

한번만 사용할 화장실인데 뭐 하는 생각때문에

화장실을 깨끗하게 사용하지 않았죠


어차피 무료로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그냥 막 사용했고 누구도 관리하지 않았습니다


화장실을 무료로 사용하려고 들어왔더니 화장지가 있잖아 해서 화장지를 가져가고

손을 씻으려고 들어왔더니 비누가 있잖아 해서 비누를 가져가죠


내 이득만을 생각해서 화장실을 막 사용한 결과

화장실에는 비누도 없고 휴지도 없고 쓰레기만 있는 장소가 되어버리는 것입니다



공유지의 비극의 사례는 실제로도 많이 있습니다


모두가 자유롭게 마시는 공기를 오염시키는 것

국가의 관할구역 밖에 있는 바다에 쓰레기를 버리는 것 같은

자연 파괴가 대표적인 예죠



우리 일상생활에서 공유지의 비극은 어떨까요

카페에 가면 음료를 주문하는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게

빨대나 휴지를 비치해 놓습니다


보통은 휴지를 사용할 만큼만 빨대는 음료당 하나, 두개만 가져가지만

내가 집에서 사용하려고 빨대나 휴지를 몽땅 가져가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 서울시에서 따릉이 탑승자들에게 무료로 안전모를 대여하는 서비스를 했었습니다

하지만 안전모 대여 4일만에 안전모의 절반이 사라졌죠


어차피 무료로 대여해주는 것이었기 때문에 모르고 집에 쓰고와도 다시 되돌려 놓지 않았고

애초에 훔치는 것을 목적으로 접근한 사람들도 굉장히 많았습니다


목욕탕에서 빌려주는 수건을 그냥 집으로 가져가버리는 것

공유지의 비극중 하나죠



지하철이나 버스를 탈때도 공유지의 비극은 존재합니다

목적지도 없는데 무임승차 조건을 이용해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도 이것에 해당됩니다


특히나 이 문제는 정말 심각해서 지하철 운영은 계속 적자가 난다고 하죠



만약 화장실이 처음 생겼을 때부터

처음 사용하는 사람, 그 다음 사용하는 사람, 그 다음 사용하는 사람이 계속 깨끗하게 사용했다면 어땠을까요

그 다음 사용하는 사람도 깨끗하게 사용하고

그 다음 사용하는 사람도 깨끗하게 사용한다면


그럼 화장실은 계속 깨끗한채로 유지 되겠죠


하지만 누군가 처음 화장실을 더럽히기 시작하면

그 다음 사용하는 사람도 더럽히고

그 다음 사용하는 사람도 더럽히는데 큰 죄책감을 느끼지 않을 것입니다


역시 은잡지를 자주 보신다면 어디서 많이 본 이론일 것입니다


2018/10/08 - [은근한 잡다한 지식/쓸모있는 잡다한 지식] - 깨진 유리창 이론과 성공할 수 있는 손쉬운 방법


깨진 유리창 이론이죠



공유지의 비극의 해결책은 뭐가 있을까요


가장 좋은 해결책은

사용하는데 제한이나 규제를 두거나

관리자, CCTV를 배치하는 것입니다


카페의 빨대를 가져가는데 돈을 낸다면

CCTV가 지켜보고 있다면 몽땅 가져가는 일은 없겠죠


공중 화장실을 이용하는데 입구에 CCTV가 설치되어 있다면

휴지나 비누를 훔치는 사람들은 줄어들 것입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카페 화장실을 이용하려면 영수증에 써있는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냥 제한없이 사용하게 뒀더니

카페를 이용하지 않는 사람들도 화장실을 이용하고

더럽게 사용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자연물의 경우 누구의 소유도 아닙니다

규제를 둘 수도 없고 관리자를 둘 수도 없죠


그래서 환경 파괴가 계속 일어나고 있습니다

공기를 오염시키는 것, 중국의 미세먼지, 바다에 쓰레기를 버리는 것이 가장 대표적인 예죠



보이지 않는 손으로 유명한 애덤 스미스는

모두가 자신의 이익을 위해 노력하면 사회는 발전하게 된다 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자신의 이익을 위해 노력했더니 모두가 손해보는 상황이 생기는

죄수의 딜레마와 공유지의 비극

애덤 스미스의 이론을 완벽하게 부정하는 이론입니다



공유지의 비극의 해결책은 관리자를 두는 것이라고 말했지만

더 확실하고 더 근본적인 해결책은

모두의 이득을 위해 내가 이득을 덜 보는 선택을 하는 것입니다


즉 시민의식이 강화되는 것이죠


그렇게 되면 공중 화장실도 깨끗해질 수 있고

환경파괴도 막을 수 있는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