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끔찍한 형벌 도구였던 내가 현대에선 사랑받는 운동기구?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끔찌한 형벌 도구였던 내가 현대에선 사랑받는 운동기구?

날씨가 좋지 않아도
실내에서 달리기를 할 수 있게 해주는 런닝머신

헬스장에 없어서는 안 될 운동기구 중 하나로
운동을 하면서 티비를 볼 수 있다는 큰 장점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기구이기도 하죠

런닝머신 자체가 이미 영어지만
미국에서는 런닝머신을 트레드밀(treadmill)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여기서 트레드(tread)는 밟다라는 뜻을
밀(mill)은 방아를 찧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런닝머신과 트레드밀은 뭔가 관련이 없어 보이지만
사실 런닝머신은 1800년대 초반 영국 교도소에 있던
형벌도구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진 기구라고 합니다



1800년대 초반 영국에서는 죄수들에게
사형당할 것인지 국외추방당할 것인지
교도소에 갈 것인지를 선택하게 했다고 합니다

언뜻 보면 교도소에 가는 것이 가장 좋은 선택지 같지만
당시 교도소의 환경은 그리 좋지 못하기도 했고
중노동 법이 있어 교도소에 있는 동안 노동을 하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에
결코 쉽지만은 않았습니다

 


하지만 결국 목숨을 건질 수 있었기 때문에 많은 죄수들이 교도소행을 선택했고
늘어나는 죄수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무언가가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1818년 영국의 기술자 윌리엄 큐빗은
발판이 있는 커다란 바퀴, 물레방아와 비슷한 기구를 만들어냅니다


발판을 밟으면 바퀴가 굴러가는데 제자리에서 구르기 때문에
끝없는 계단을 오르는 것 같은 느낌을 받는 기구였습니다

기구가 만들어진 이후 노동형을 선고받은 죄수들은
기구 발판을 밟아 바퀴를 굴려야 했습니다

죄수들이 바퀴를 굴리면 바퀴가 굴러가는 동력을 이용해
물을 퍼올리거나 곡식을 빻았습니다

그래서 이 기구를 트레드밀이라고 부르기도 했죠



트레드밀은 죄수 입장에서 굉장히 가혹한 형벌이었습니다

매일 6시간 동안 바퀴를 굴려야 했는데
이것을 매일 1500~4000m를 등반하는 수준이었다고 합니다

게다가 아무리 걸어도 계속 같은 자리에 머물렀기 때문에
이들이 받는 정신적 고통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수준이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죄수들을 쉽게 통제할 수 있었고
영국 전체에서 큰 인기를 끌어
만들어진지 10년 만에 50개 이상의 교도소에서 사용되었고
미국에도 건너가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강도 높은 트레드밀 노동을 견디지 못한 죄수들이
하나 둘 사망하기 시작했고
이로 인해 1898년 죄수의 인권을 보호하는 새로운 법이 만들어져
점점 쓰이지 않게 되다 1902년 완전히 금지시켜
영국에서는 더 이상 트레드밀을 형벌도구로 쓸 수 없게 되었습니다

 


트레드밀은 이렇게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듯 했으나
1952년 워싱턴 대학의 로버트 브루스와 웨인 퀸튼 교수에 의해
평평한 롤러 형태의 의료기구로 재탄생하게 되었는데
폐나 심장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것이 발전돼 실내에서 달리기를 할 수 있는
개인용 운동기구인 오늘날의 런닝머신이 되었습니다

과거 죄수를 벌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구가 이제는 운동기구가 되었지만
여전히 스스로를 벌하기 위해 사용하는 사람도 있는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날아오는 총알을 눈으로 보고 피할 수 있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총알을 눈으로 보고 피할 수 있을까

인류가 가진 강력한 무기 중 하나인 총

엄청난 위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딱 한 발만 맞아도 치명상을 입을 수 있고
목숨이 날아가 버릴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다행히 총기를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총에 맞을 일은 거의 없지만

최근에는 실탄을 가지고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사람들도 있어
조금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

만약 총을 든 상대가 나를 위협하고 있다면
빠르게 도망쳐야 하는데
그래도 사정거리가 길기 때문에 맞을 확률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위협에서 벗어나기 위해
총알이 날아오는 것을 눈으로 보고 피하는 것도 가능할까요?



우리나라에서 쉽게 볼... 수 있다고 해야 할지 모르겠지만
군대에서 사용하고 있는 K-2 소총의 경우
총알의 속도가 920m/s 정도 됩니다

1초에 920m를 간다는 뜻이죠

K-2 소총의 유효 사거리는 600m 정도 된다고 합니다

즉 소총을 쏠 경우 유효 사거리 내에 있는 목표물을 명중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은
0.6초 정도 된다는 것이죠

 


총을 든 상대와 나의 거리가 600m 정도 된다고 가정했을 때
0.6초 내에 반응을 할 수 있다면
이론적으로는 총알을 눈으로 보고 피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600m 떨어진 곳에서 발사되는 총알을 보는 것은
시력이 좋다고 알려진 몽골인들조차 할 수 없을 것입니다


군대에서 사격 훈련을 하면 가장 멀리 있는 표적은 250m입니다
이 표적도 너무 작아 잘 보이지 않는 수준인데
표적보다 훨씬 작은 총알을 훨씬 더 먼 거리에서 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그렇다면 총알을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쏘는 소리를 듣고 피하는 건 어떨까요

 


소리의 속도는 340m/s 이것을 마하라고 하는데
K-2 소총보다 훨씬 느린 속도입니다

총을 쏘면 0.6초에 총알이 도착하고
1.7초에 소리가 도착합니다

즉 총소리가 들렸다는 건 총알은 이미 도착했다는 뜻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소리를 듣고 총알을 피하는 것도 불가능합니다


소총보다 위력이 조금 떨어지는 권총의 경우엔 어떨까요
권총의 속도는 300m/s 정도 됩니다
소리의 속도보다 조금 느려서 보고 피할 수 있을 것 같지만
권총의 유효 사거리는 50m 정도

권총을 쏠 경우 유효 사거리 내에 있는 목표물을 명중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은
0.16초 정도 밖에 되지 않습니다




사람의 반응속도를 테스트하는 방법 중 하나가
자를 떨어트려 잡게 하는 것입니다

자를 잡았을 때 위치가 5cm라면 반응속도는 0.1초
20cm라면 반응속도는 0.2초입니다

테스트를 진행해 평균을 내본 결과
사람의 반응속도는 0.2초 정도 됐다고 합니다

즉 총소리를 듣고 반응하기까지 최소 0.2초가 필요하다는 것이죠


그런데 권총의 총알이 도착하는 시간은 0.16초이니
권총을 피하는 것 역시 불가능합니다

총 쏘는 타이밍을 완벽하게 알고 있어
쏘자마자 반응을 할 수 있다고 해도

권총의 경우 0.16초, 소총의 경우 0.6초 만에 몸을 움직여야 하는데
너무 짧은 시간이라 큰 움직임을 가져갈 수 없어
운이 좋으면 치명상은 피할 수 있어도
결국 총알 자체는 피할 수 없을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목욕을 하면 죽는다고 믿었던 사람들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목욕을 하면.... 죽는다!!

현대를 살고 있는 우리는 건강하게 살아가기 위해서
위생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씻는 것을 당연히 해야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위생관념이 부족했던 과거에는
씻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지 않았고
심지어는 무서워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유럽 역사상 가장 오래 재위한 군주로 알려진 루이 14세는
1643년부터 프랑스 왕의 자리에 있었습니다

그는 평생동안 목욕을 거의 하지 않은 사람으로 유명하기도 하죠
루이 14세가 목욕을 거의 하지 않았던 이유는
목욕이 귀찮아서가 아니라
당시 유럽사람들은 목욕을 하면 죽게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14세기 유럽에서 유행했던 전염병인 흑사병은
3명중 1명을 죽일정도로 무시무시하고 공포의 대상인 병이었습니다

흑사병의 원인을 찾기 위해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일부의 학자들은 목욕을 하는 것이 감염의 원인이 된다고 말하곤 했습니다


목욕을 하면 뜨거운 물의 증기가 모공을 열고
열린 모공으로 흑사병 뿐만 아니라
공기중에 있는 병균이 쉽게 들어올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이죠

이런 이야기는 빠르게 퍼졌고
목욕은 청결을 유지해 감염을 막아주는 수단이 아니라
오히려 감염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수단
죽음에 이를 수 있는 수단으로 인식되기 시작했습니다


이것은 17세기에도 여전했고
이런 이유 때문에 루이 14세는 목욕을 거의 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아주 가끔씩 천으로 얼굴과 손을 닦을 뿐이었습니다



루이 14세의 아버지인 루이 13세는 7살때 처음으로 목욕을 했다고 합니다

성인이 되어서도 목욕을 거의 하지 않았기 때문에
악취가 날 수밖에 없었는데
루이 13세는 나는 겨드랑이 냄새가 난다라며
사람들에게 자랑스럽게 말하고 다녔다고 합니다

건강하기 위해선 목욕을 하면 안됐고
목욕을 하지 않으면 악취가 나니
악취는 곧 건강의 상징이었던 것이죠


루이 14세의 남동생인 필리프 1세의 아내인 엘리자베트 샤를로테는
몸이 너무 더러워 어쩔 수 없이 씻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자

지인에게 자신이 죽을지도 모른다며 편지를 쓰기도 했습니다

씻지 않아 발생하는 더러움은
옷을 갈아입는 것으로 대체했으며
악취는 향수를 뿌려 덮었다고 합니다

 


이런 덕분에 향수 산업이 발달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물론 이들이 목욕을 자주 할 수 없었던 건 환경적인 이유도 있습니다
목욕을 하기 위해 따뜻한 물을 공급받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었고
지금과 다르게 당시의 비누는 가격이 꽤 비쌌기 때문이죠



목욕에 대한 안좋은 인식은 18세기까지 이어지다
19세기에 들어 비누에 부과되던 세금이 없어져
비누가 보급화 되면서 서서히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파스퇴르에 의해 세균의 존재가 밝혀지면서 위생관념이 바뀌어
다시 목욕을 자주 하는 것으로 변화하게 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