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콩밥 좀 먹어볼래? 진짜 감옥에 가면 콩밥만 먹게 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감옥에 가면 진짜 콩밥만 먹을까

친구가 뭔가 내 맘에 들지 않는 행동을 했을 때
콩밥 먹고 싶냐?
콩밥 좀 먹게 해줄까? 라고 말하곤 합니다

교도소에 가면 콩밥을 먹는다는 말이 있어
죄를 저질렀으니 교도소에 보내주겠다 하는 뜻으로 사용하고 있죠

교도소 하면 콩밥이 콩밥 하면 교도소가 떠오를 정도로
콩밥은 교도소의 대명사인 것처럼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정말 교도소에 가면 콩밥만 먹게 되는 것일까요



과거 일제강점기 때에는 죄를 지은 사람에게
형을 집행한다고 해서 감옥을 형무소라고 불렀습니다

죄수를 교화시켜 다시 사회로 복귀시킨다는 의미를 가진
지금의 교도소와는 다른 역할이었죠

그래서 그런지 이들에게 제공되는 식단의 질은
그리 좋지 못했습니다

 


당시 일본은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쌀을 수탈해갔기 때문에
이들에게 제공되는 식단에는 쌀이 없었습니다

주로 보리와 옥수수를 섞어 만든 주먹밥을 줬는데
부실했기 때문에 많은 죄수들이 영양실조에 걸렸다고 합니다

그런데 여기에 강제노동까지 시키다 보니
형무소 내에서 죽어가는 사람이 많이 있었습니다


그나마 서울에 있었던 서대문 형무소의 경우 사정이 조금 나았습니다

이곳에선 콩과 좁쌀, 현미가 섞인 밥을 줬습니다

물론 요즘에는 가정에서도 콩밥을 먹는 경우가 있지만
형무소에서 나오는 콩밥은 조금 달랐습니다

쌀이 중심이 되고 콩이 조금 들어간 것이 아니라
밥의 대부분이 콩이었기 때문이죠

아마도 이때부터 죄를 지으면 콩밥을 먹는다는 이야기가 퍼지지 않았나
추측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독립한 뒤에는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형무소가 교도소로 바뀌었고
죄수들을 사회로 돌려보내기 위해 영양을 신경 쓰게 되었죠

1957년 재소자의 밥상에 대한 규정이 만들어지면서
죄수들에게 쌀 30%, 보리 50%, 콩 20%로 구성된 밥을 제공했습니다

이때 콩을 섞은 것은 단백질을 보충해 주기 위함이었는데
콩이 고기보다 값이 쌌기 때문에 밥에 콩을 섞었다고 합니다


이후 우리나라 경제가 발전하면서 죄수들의 식단에도 변화가 생겼습니다
고기, 생선, 두부 같은 것들의 공급이 원활해지면서
단백질을 보충할 수 있는 수단이 늘어나게 되었죠

그래서 1986년에는 규정이 바뀌어
쌀 50%, 보리 50%로 구성된 밥을 제공했습니다
이때부터 교도소에서 콩밥은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1989년에는 쌀 60%, 보리 40%로 구성된 밥을 제공하다가
보리의 가격이 비싸다는 이유로 보리의 비중을 줄여
2014년 이후에는 쌀 100%로 이루어진 밥을 제공하고 있다고 합니다

즉 교도소에 가면 콩밥을 먹는다는 것은 이제 옛말이 되어버린 것이죠



요즘에는 교도소에도 영양사가 배치돼
균형 잡힌 식단이 제공되고 있다고 합니다

기본적으로 밥과 국 세 개의 반찬이 제공되는데
인터넷에 공개된 사진을 보며
나보다 더 잘 먹는다고 하거나
군대에서 나오는 밥과 비교해
범죄자들이 더 대접받는다고 말하곤 합니다

 


2020년 기준 군인 한 명의 하루 식비는 8493원
수용자 한 명의 하루 식비는 4616원입니다

교도소에서는 한정된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군대보다 더 좋은 밥이 제공될 수는 없습니다

교도소에서는 위해 요소를 없애기 위해
플라스틱 수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지금 이 사진이 실제 교도소에서 나오는 밥으로
군대에서 나오는 밥도 물론 최악이긴 하지만
교도소에서 나오는 밥도 괜찮다고 말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닌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곪은 데는 왜 마취가 안 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곪은 데는 왜 마취가 안 될까

피부에 상처가 나 세균에 감염되면
면역세포 중 하나인 백혈구가 세균과 싸우게 됩니다

이것을 염증이라고 하는데
싸우는 동안 죽은 백혈구나 세균은 상처 부위로 배출됩니다

이것을 고름이라고 하며 고름이 생긴 부위를 곪은 데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이처럼 곪은 데는 마취가 안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도대체 왜 곪은 데는 마취가 안되는 걸까요

https://youtu.be/kzC7r93YEy0


마취는 전신마취와 부분마취가 있습니다
곪은 데를 치료할 때는 부분마취를 하는데
일정 부분만 마취를 한다고 해서 국소마취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우리 몸속에 있는 세포에는 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얇은 막이 있습니다
이것을 세포막이라고 하는데 세포막에는 이온 채널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온 채널은 각종 이온을 세포의 안과 밖으로 통과시키는 일종의 통로입니다

 


피부에 뭔가 강한 자극이 발생하면 신경세포가 먼저 이 자극을 느낍니다
전하를 띤 이온은 세포막을 통과할 수 없지만
신경세포가 자극을 느끼면 이온 채널중 하나인 나트륨 채널이 열려
나트륨 이온이 신경세포로 들어갑니다


그럼 신경세포가 활성화돼 자극에 대한 정보를
전기신호로 만들어 뇌로 전달하고
뇌가 이 신호를 받으면 통증이 느껴집니다

국소마취를 할 경우 약물이 세포막을 뚫고 들어가 나트륨 채널에 영향을 줘
자극이 발생해도 나트륨 채널이 열리지 않도록 합니다

 


나트륨 채널이 열리지 않으면 나트륨 이온이 들어오지 못해
전기신호를 만들어낼 수 없습니다

전기신호가 만들어지지 않으면 뇌로 정보가 전달되지 않으니
마취를 하면 자극이 발생해도 통증이 느껴지지 않는 것입니다



어떤 물질의 산성도를 나타내는 단위를 pH라고 합니다
pH7인 경우 중성, 7보다 높을 경우 염기성, 낮을 경우 산성입니다

정상적인 피부 조직은 pH7.4 정도 되고
염증이 발생한 조직, 즉 곪은 데는 pH6.0 정도 된다고 합니다

국소마취 약물은 염기성입니다

 


앞에서도 말했던 것처럼 전하를 띤 이온은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하는데
정상적인 피부 조직에서는 이온화가 덜 이루어져
약물이 세포막을 뚫고 나트륨 채널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곪은 데는 산성이기 때문에 약물과 산성이 만나면 이온화가 많이 이루어져
약물이 세포막을 뚫고 들어가지 못합니다

약물이 들어가지 못하면 나트륨 채널이 열리게 되니
자극을 받으면 마취를 했음에도 통증이 느껴지게 됩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박명수의 말처럼 곪은 데는 마취가 안되는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방송에서 연예인들이 타투를 가리는 이유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방송에서는 왜 타투를 가리는 걸까

 

 

여러분들은 타투를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무섭거나 왜 했나 싶은 생각이 들 정도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고

나를 표현하는 또 다른 수단, 패션의 일부로 생각하는 것처럼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확실히 과거에는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았지만
요즘에는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인뿐만 아니라
티비에 자주 나오는 연예인이나 운동선수도
타투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타투를 한 사람이 티비에 나오면
타투에 테이프를 붙이거나 모자이크 처리를 해
타투가 안 보이게 만듭니다

이처럼 티비에서 타투를 가리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리나라에서 의사 면허가 없는 사람이
타투 시술을 하는 것을 불법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타투이스트는 2만 명 정도
이중 의사 면허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10명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대부분의 타투 시술이 불법인 셈이죠

하지만 이런 이유 때문에 방송에서 타투를 가리는 것은 아닙니다

방송은 시청자의 알 권리를 보장해야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내용을 방송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괜찮은 내용인지 괜찮지 않은 내용인지에 대한 것은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에 나와있는데

제27조를 보면 불쾌감이나 혐오감을 느낄 수 있는 내용은
표현해서는 안 된다고 나와있습니다

물론 이것이 타투를 콕 집어서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런 내용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나와있지 않기 때문이죠


한국리서치에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타투를 혐오스럽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60%
타투를 한 사람은 불량하거나
무섭게 느껴진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66%였습니다

나이가 어릴수록 타투를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긴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타투는 여전히 부정적인 이미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방송사에서는
타투가 불쾌감이나 혐오감을 줄 수 있다고 판단해
자체적으로 타투를 가리는 것입니다

방송 심의에 관한 규정 제44조를 보면
어린이와 청소년이 모방할 우려가 있는 내용을 다룰 때에는
신중해야 한다고 나옵니다

그래서 어떤 내용이냐에 따라
7세, 12세, 15세, 19세 이상으로 분류하기도 하죠

 


방송에 담배나 술이 나올 경우 19세 이상으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타투 역시 부정적인 이미지 때문에 19세 이상으로 분류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방송 자체가 어린이와 청소년이 봐도 괜찮은 내용임에도
타투를 한 출연자 때문에 19세 이상으로 분류될 순 없으니
타투를 가리는 것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앞에서도 말했던 것처럼
타투가 방송에 나오면 안 된다는 절대적인 규정은 없습니다

단지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기 때문에 가리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
우리나라에서 타투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바뀐다면
방송에서도 타투를 가리지 않게 될 수도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