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인류 역사상 가장 끔찍한 처형 도구 캐서린 바퀴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역사상 가장 끔찍한 처형 도구

 

https://youtu.be/cVdL0AFoQMg

287년 알렉산드리아의 상류층 집안에서 태어난 캐서린(카타리나)은
어렸을 때 성모 마리아와 아기 예수의 환상을 보고
기독교인이 되기로 결심하게 됩니다

당시 로마 제국에서는 많은 기독교인들이
종교의 가르침을 이유로 병역을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이런 세력이 점점 커지자 로마 제국의 황제였던 막센티우스는
교회를 파괴하고 성경을 태우기도 하고
기독교인들을 고문하거나 강제노동시키는 식으로
기독교를 박해하기 시작했습니다

 


기독교인이 된 캐서린은 막센티우스의 이런 행동을 보고
그의 잔인함을 이야기하며 강하게 비판했는데

여기에 감명을 받은 일부의 사람들은
기독교로 개종하기도 했습니다

이것을 막기 위해 막센티우스는 지식인들을 불러
캐서린과 이른바 종교 랩 배틀을 했는데
결과는 지식인들의 완패
심지어 이들 중 일부는 기독교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캐서린의 영향력이 점점 커지자
막센티우스는 그녀를 가두고 고문하기도 했지만
캐서린의 신앙심은 점점 커질 뿐이었습니다

막센티우스는 캐서린을 굶어 죽이려고 헀지만
하늘에서 내려온 비둘기가 그녀에게 음식을 주기도 했으며
천사가 내려와 상처를 치료해 주기도 하고
예수가 직접 내려와 계속 싸우라고 말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결국 막센티우스는 캐서린을 처형시키는데
이때 못이 박힌 바퀴에 몸을 찔러 죽이는 형벌을 명령했습니다

하지만 이것으로 캐서린을 죽일 수 없었습니다
캐서린이 바퀴에 손을 대자 바퀴가 산산조각 났기 때문이죠

이후 캐서린은 참수형을 받아 사망하게 되는데
목이 잘린 순간 붉은 피가 아니라 하얀 우유 같은 것이 쏟아져 나왔다고 합니다

여기서 이름을 따 바퀴 모양의 처형 도구를
캐서린 바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물론 이것은 이야기로만 전해질뿐
캐서린이라는 사람이 실제로 살아있었는지에 대한 기록은 없다고 합니다

게다가 캐서린은 305년에 사망한 것으로 되어있는데
막센티우스는 306년부터 로마 제국의 황제였습니다


심지어 막센티우스는 기독교를 박해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당시 로마 제국에는 막센티우스 말고 또 다른 황제인
콘스탄티누스 1세가 있었습니다

콘스탄티누스는 기독교를 정식 종교로 인정한 것으로 유명한데
아마도 이것 때문에 기독교에서 콘스탄티누스를 더 부각시키고
막센티우스를 폭군으로 만들기 위해
캐서린이라는 인물을 만들어낸 것이 아닌가 추측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캐서린 바퀴는 실제로 사용되던 처형 도구입니다
특히 중세 시대에 많이 사용되었는데

실제 마차에 사용되던 바퀴와 같은 모양이었으며
바퀴에 죄수를 묶어놓고 심하게 때려
팔다리를 부러트리는 식이었습니다


그리고 바퀴를 굴려 고통을 줬는데
바퀴 아래에 못이 박힌 나무판자를 두기도 했으며
물이나 불을 둬 고문을 하기도 했습니다

상대적으로 약한 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머리부터 고통을 줘 즉사시켰지만

흉악 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다리부터 고통을 줘
서서히 죽게 만드는 경우도 있었다고 합니다

 


캐서린 바퀴를 이용한 처형은 공개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했는데
사람들에게 굴욕적인 모습을 보여줘 모욕감을 느끼게 함과 동시에
굉장히 잔인했기 때문에 일반 대중들에게 공포심을 주기도 했습니다

때리고 고문을 했는데도 죄수가 죽지 않으면
그대로 바퀴에 묶어 방치했다고 합니다

시간이 지나 결국 죽게 되는 경우도 있었고
야생동물에게 뜯겨 고통스럽게 죽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형벌을 받다 바퀴에서 떨어지거나 바퀴가 부서지면
신이 개입한 것으로 해석해 처형식을 멈추는 경우도 있었다고 합니다

캐서린 바퀴는 프랑스, 미국, 스웨덴, 러시아, 독일 등
굉장히 여러 나라에서 사용된 처형 도구인데

1800년대에 들어서 인권 문제로 사용이 금지되다
1841년 프로이센에서 사용된 것을 끝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캐서린 바퀴는 캐서린이라는 사람이
실제로 존재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있기 때문에
처형 바퀴, 고문 바퀴, 브레이킹 휠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자식의 성별을 선택해서 낳을 수 있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전자파를 많이 쬐면 진짜 딸을 낳을까

여자의 난자는 X 염색체를 가지고 있고
남자의 정자는 X 염색체 또는 Y 염색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자는 XX 염색체 남자는 XY 염색체기 때문에

X 염색체를 가진 정자(이하 X 정자)와 난자가 만나면 여자가 태어나고
Y 염색체를 가진 정자(이하 Y 정자)와 난자가 만나면 남자가 태어납니다

사람에 따라 선호하는 자식의 성별이 있지만
우리는 이것을 선택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남자가 전자파를 많이 쬐면
정자의 수가 줄어들고 운동량이 떨어져
딸을 낳게 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게다가 아들을 낳는 방법, 딸을 낳는 방법이 있다고 말하기도 하는데
정말 이런 방법을 쓰면 자식의 성별을 선택할 수 있을까요?



2011년에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핸드폰을 사용한 남자는 그렇지 않은 남자에 비해
정자의 수가 적고 운동량이 떨어졌다고 합니다

핸드폰에서 나오는 전자파가 정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이죠

X 정자는 Y 정자보다 생존기간이 더 길다고 합니다

정자의 수가 감소하고 운동량이 떨어지면
아무래도 생존기간이 더 긴 정자가 난자와 만나는데 유리할 테니

 


전자파를 많이 쬐면 딸을 낳을 수 있다는 것이
가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만약 이 연구를 신뢰할 수 있다면 말이죠

정자의 수는 음식이나 술, 입고 있는 옷
운동, 스트레스 같은 것들에도 영향을 받는데
위 실험은 이런 것들까지 완벽하게 통제한 뒤
진행한 실험이 아니기 때문에
신뢰도가 매우 낮은 실험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말 전자파가 정자의 수와 운동량에 영향을 주는지
아직은 알 수 없는 상태라고 합니다


또 떠도는 이야기에 따르면

딸을 가지고 싶다면
X 정자는 생존기간이 길기 때문에 배란일 전에 관계를 해라
열에 강하기 때문에 따뜻한 상태로 관계를 해라
산성에 강하기 때문에 산성 음식을 먹고 관계를 해라

 


아들을 가지고 싶다면
Y 정자는 더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에 배란일에 관계를 해라
추위에 강하기 때문에 추운 상태로 관계를 해라
알칼리성에 강하기 때문에 알칼리성 음식을 먹고 관계를 해라

등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전자파 포함 어느 하나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이 없습니다


과거에는 X 정자와 Y 정자 간에 여러 가지 차이가 있다고 생각했지만
2020년에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모양, 크기, 운동성, 산성도, 스트레스 반응 등등
정자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고
유일한 차이점이라고 하면 DNA를 얼마나 가지고 있느냐 였다고 합니다



현재 전 세계 출생성비는 100:106으로 남자가 조금 더 많은 상태입니다

만약 성별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했다면
이런 비율이 진작 깨지지 않았을까요

게다가 전자파에 더 많이 노출될 수밖에 없는 현대에 와서는
남자보다 여자가 더 많이 태어나야 합니다

 


1990년 우리나라의 출생성비는 100:116.5
2022년 우리나라의 출생성비는 100:104.7로
남자는 줄어들고 여자는 늘어나고 있는 상황...

어?

사실 이것은 과거 우리나라의 남자 출생성비가 너무 높았던 것이지
외부의 개입이 없으면 100:105 정도가 자연스러운 출생성비라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전자파가 정자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심장이 터질 것 같을 때 계속 달리면 심장이 터지게 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계속 달리면 결국 심장이 터지게 될까

누군가는 살을 빼기 위해
누군가는 멋진 몸을 만들기 위해
누군가는 체력을 키우기 위해 운동을 합니다

운동을 하면 평소보다 심장이 빨리 뜁니다

특히 달리기를 할 경우 한계에 다다르면
심장이 굉장히 빨리 뛰는데
이때 심장이 터질 것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이 상태에서 계속 달리기를 하면
결국 심장은 터져버리게 될까요?

https://youtu.be/-IGKuDFnvaU


운동을 하면 평소보다 더 많은 산소와 영양분이 필요합니다
산소와 영양분은 피가 전달하기 때문에
운동을 하면 평소보다 더 많은 피가 돌게 되죠

피는 심장에서 나와 온몸에 퍼지기 때문에


운동을 하면 심장이 빨리 뜁니다


심장이 일분에 몇 번 뛰는지 숫자로 나타낸 것을 심박수라고 합니다
평소 아무것도 하지 않을 때는 심박수가 60~100 정도
가벼운 온동을 할 때는 심박수가 130 정도
고강도 운동을 할 때는 심박수가 180 정도 된다고 합니다

때로는 심박수가 200까지 올라가는 경우도 있는데
사람이 낼 수 있는 최대 심박수는 200전후기 때문에
200 이상이 되면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때 계속 달리기를 하면 어떨까요
심장이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터져버릴 것 같지만
사실 계속 운동을 한다고 해서 심장이 터지는 것은 아닙니다

의학적으로 봤을 때 외부의 자극이 없는 이상
자연적으로 심장이 터지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우리 몸 안에 있는 DNA, RNA, 단백질 같은 것들을 분석해
변화를 알아낼 수 있는 지표를 바이오마커라고 합니다

한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마라톤을 끝낸 선수의 피를 분석해 본 결과
심장에 변화를 줄 수 있는 바이오마커가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이것은 휴식할 경우 자연스럽게 사라지지만
심장이 계속 한계치에 머무를 경우
심장에 영향을 줘 심장마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장이 터질 것 같을 때 달리는 것을 멈추지 않고 계속 뛰다 보면
심장이 터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멈춰버리는 것이죠

실제로 미국 심장 협회의 보고에 따르면
20만 명 중 한 명이 마라톤 중 심장마비를 경험한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운동을 열심히 해 심장이 터질 것 같을 때
이상하게 호흡이 힘들고 심장이 불규칙적으로 뛴다면
운동을 멈추고 휴식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심장에 무리가 가는 운동을 계속할 경우
심장에 상처가 생기거나 심장벽이 두꺼워질 수 있습니다
           
심장벽이 두꺼워진다는 것은 심장의 근육이 커진다는 뜻으로
근육이 커지면 좋은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수 있지만
심장 근육이 너무 커지면 근육 때문에 피가 나가는 통로가 좁아져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합니다

그럼 심장은 더 강하게 뛰려고 하고 이것 때문에 근육이 더 커져
피가 제대로 돌지 않아 돌연사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것은 운동선수들이 가끔 경험하는 현상이라고 합니다

우리는 건강을 위해 운동을 하지만
너무 심한 운동은 오히려 우리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고 있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