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비행기에 탔을 때 비행기 모드를 안하면 어떻게 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비행기 모드를 안하면 어떻게 될까

 

비행기 모드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우리가 매일매일 사용하는 스마트폰에는
비행기 모드라는 독특한 기능이 있습니다

이 모드를 켜면 스마트폰이 비행기가 되는 것이 아니라
통신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됩니다

유튜브나 인터넷 같은 것을 할 수 없고
카톡도 주고받을 수 없으며
전화나 문자도 할 수 없습니다

내가 알람을 설정한 것이 아니라면
스마트폰이 울릴 일이 전혀 없기 때문에
때로는 조용히 해야 할 때, 방해받고 싶지 않을 때
비행기 모드를 켜는 경우도 있죠

비행기 모드는 말 그대로 비행기에 탔을 때
켜야 하는 기능입니다

승무원들이 몇 번이나 안내를 하기 때문에
꼭 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렇다면 비행기를 탔을 때
비행기 모드를 켜지 않으면 어떻게 되는 걸까요

https://youtu.be/37oW5zMtQ18

 


전파는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빛의 속도로 움직이는 데다 멀리까지 전달된다는 장점 때문에
통신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전파가 있기 때문에 우리는 핸드폰을 이용해
멀리 떨어진 상대와 통신을 할 수 있는 것이죠


핸드폰으로 전화를 하거나 문자를 보내는 것처럼 통신을 시작하면
핸드폰에서 나온 전파가 가장 가까이 있는 기지국으로 전달됩니다

그리고 기지국에서 나온 전파가
상대의 핸드폰으로 전달되면 상대와 통신을 할 수 있습니다


핸드폰은 가만히 있을 때도 자신의 위치를 보고하기 위해
전파를 보내기도 합니다

핸드폰과 기지국 사이의 거리가 멀경우
핸드폰은 더 많은 배터리를 사용해
더 강한 전파를 보내 기지국을 찾으려 합니다

그래서 핸드폰이 잘 안 터지는 곳에 있으면
배터리가 빨리다는 것입니다



기지국은 처리할 수 있는 전파의 양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너무 많은 전파가 한 번에 들어오면
그 전파를 처리하지 못합니다

사람이 많은 곳에 가면 핸드폰이 터지지 않는 이유는
기지국이 처리할 수 있는 전파의 한계치를 넘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비행기에 있으면 기지국과의 거리가 멀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럼 핸드폰은 아주 강한 전파를 보내기 위해
모든 힘을 다 쏟게 되겠죠

이것이 나 혼자라면 상관없겠지만
비행기에 타고 있는 모든 사람이 핸드폰을 사용한다면

아주 강한 전파 수십 개, 수백 개가 쏟아져 내려오게 됩니다


게다가 하늘에는 비행기가 한 대만 떠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비행기를 탔을 때 비행기 모드를 하지 않으면
지상에 있는 기지국이 전파로 뒤덮여
지상에 있는 사람들의 전화가 끊기거나
인터넷이 느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즉 비행기가 커다란 전파 교란기처럼 되어버린다는 것이죠



비행기가 이륙하고 착륙할 때
비행기 기장은 관제탑과 통신을 합니다

이때 이루어지는 통신은 비행기가 이동하는 경로에
다른 비행기는 없는지, 다른 장애물은 없는지
현재 비행기는 어디쯤에 있는지
지금 활주로에 내려와도 되는지 같은 것들입니다


자칫 잘못하면 큰 사고가 발생해
비행기에 타고 있는 사람들의 목숨이 위험해질 수도 있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한 통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통신 역시 전파를 이용합니다

비행기를 탔을 때 비행기 모드를 하지 않으면
핸드폰에서 나오는 전파가
비행기에서 나오는 전파를 간섭하게 되고
관제탑과의 통신에 영향을 주게 될 수 있습니다


또 비행기에는 고도를 알아내기 위한
전파 고도계라는 장비가 있습니다
이름처럼 전파를 사용해 고도를 알아내는 것인데
이것 역시 영향을 받게 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2014년 미국의 한 비행사의 보고에 따르면
비행기가 이륙할 때 나침반 시스템이 오작동했는데
전자 기기를 꺼달라고 요청하자 정상으로 돌아오는 일이 있었다고 합니다

비행기 모드를 하지 않으면 비행기가 터지거나 추락하거나
고장 나는 것도 아니고
이것 때문에 심각한 사고가 발생한 사례도 아직까지 없긴 하지만


어쨌거나 통신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 항공안전법 제73조에 의해
비행기 모드를 하는 것이 법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나뿐만 아니라 비행기를 타고 있는 모든 사람을 위해서
비행기를 탔을 땐 비행기 모드를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비둘기 화형식이 있었던 88올림픽의 숨겨진 이야기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세계 최초 비둘기 화형식을 개막식에 진행함

 

올림픽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내일인 2024년 7월 26일은
제33회 파리 올림픽이 시작되는 날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올림픽이 열렸던 적이 있었는데요
제24회 서울 올림픽으로
1988년에 열렸기 때문에 88올림픽이라고 부르곤 합니다

 

https://youtu.be/_2dd1ihb8qs

 


우리나라는 1945년에 끝난 일제강점기와
1950년부터 시작된 6.25 전쟁으로
나라 자체가 황폐해진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전쟁의 상처를 빠르게 회복했고
특히 1980년대부터 급격한 발전을 이루며
올림픽을 유치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우리나라에게 있어 88올림픽은
식민지와 전쟁을 겪은 한국이라는 나라가
이렇게나 발전했다는 것을 전세계에 보여줄 수 있는 수단이기도 했습니다



올림픽이라고 하면 지금은 국가에서 열리는 커다란 행사
라는 이미지가 있습니다

하지만 과거에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올림픽은 국가의 행사가 아니라 한 도시의 행사였습니다

그래서 올림픽을 유치하기 위해 국가가 나서는 경우가 거의 없었죠

 


하지만 우리나라는 올림픽을 유치하기 위해 국가가 나섰고
그 결과 국가의 위상이 높아지는 좋은 결과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88올림픽 이후부턴 올림픽 유치가 도시간 경쟁이 아니라
국가간 경쟁으로 바뀌게 되었는데


심지어 2014년 동계 올림픽을 유치하기 위해
대통령이 직접 연설을 하는 일이 있기도 했습니다

올림픽은 개발도상국들에게는 새로운 기회로
선진국들에게는 자신의 뛰어남을
한번 더 알릴 수 있는 기회로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88올림픽의 공식 주제곡은 손에 손잡고라는 노래입니다
한번쯤 들어보셨을텐데 이 노래는 서로 손잡고 올림픽을 즐기자
라는 의미도 있겠지만

그 당시 세계의 전체 흐름이었던 공산주의와 자본주의
사회주의와 민주주의간의 대립
소련과 미국의 대립 즉 냉전시대를 끝내고
평화와 화합의 시대를 열자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88올림픽 전전에 열린 1980년 제22회 모스크바 올림픽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미국, 일본, 캐나다, 서독 같은 나라들이
보이콧을 하며 참가하지 않았고

88올림픽 전에 열린 1984년 제23회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은
소련, 동독 같은 나라들이 보이콧을 하며 참가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88올림픽에는 이 나라들이 모두 참가하며
실제 화합의 장이 되기도 했으며
냉전시대를 끝내는데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 받기도 합니다



비둘기는 지금은 그 의미가 많이 약해졌지만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평화의 상징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올림픽 개막식 때 비둘기를 많이 날리곤 하는데
우리나라 역시 개막식 때 비둘기를 날렸습니다

 


올림픽 개막식의 가장 큰 행사라고 한다면
역시 성화 점화입니다

성화 점화를 시작으로 올림픽이 공식적으로 시작됨을 알리는데
88올림픽 때는 하필 개막식 때 날린 비둘기가 성화대에 앉으면서
점화를 해야할 때가 됐는데 이 비둘기가 도망가지 않아
곤란한 상황이 연출되기도 했습니다

 


이때 어쩔수 없이 비둘기가 앉아있는채로 점화를 했는데
이 모습이 전세계에 송출됐습니다

평화를 위한 올림픽에서 평화의 상징 비둘기가
화형당해버린 것이죠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충격을 받기도 했고
이 이후로 올림픽 때 비둘기를 활용하는 행사를 없애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사실 이 당시 실제로 화형당한 비둘기는
많아야 한마리정도라고 합니다

카메라 각도가 그래서 그렇지
다른 각도에서 찍은 성화대를 보면 한번에 이해할 수 있습니다

실제 불이 붙는 곳은 가운데 부분이고
비둘기는 끝부분에 있었기 때문에
대부분 타지 않고 날아갔다고 합니다

이렇게 많은 의미가 있었던 서울 올림픽
내일부터 있을 파리 올림픽은 또 어떨지 기대가 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파리지옥이 사람을 먹으면 어떻게 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파리지옥에 잡히면 사람도 먹히게 될까

 

https://youtu.be/-vesuSL-Hrw

 

파리지옥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식물을 주로 먹고 사는 동물을 초식동물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동물을 먹고 사는 동물은 육식동물이라고 하죠

식물 중에서도 육식을 하는 식물이 있습니다
이들은 주로 벌레를 먹기 때문에 식충식물이라고 부릅니다

식충식물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가장 잘 알려진 것은 파리지옥일 것입니다


파리지옥의 잎은 굉장히 공포스럽게 생겼는데
이곳으로 벌레가 들어온다고 해서 이 잎을
포충엽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파리지옥의 잎에는 파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각모라고 불리는 미세한 털이 있습니다


파리가 잎에 들어와 감각모를 한 번 건드리면
파리지옥은 잎에 무언가 들어왔다는 걸 인지하고
30초 안에 한 번 더 건드리면 그것이 파리라는 걸 확신하고
잎을 닫아버리는데

이때 잎을 닫는 시간은 0.001초밖에 안된다고 합니다



파리가 한 번 건드렸을 땐 잎을 닫지 않는 이유는
파리지옥은 눈이 없기 때문에
지금 잎에 있는 것이 진짜 파리인지
아니면 물이나 나뭇잎 같은 것인지 알 수 없어
이것을 확인하기 위함입니다


파리지옥의 잎이 닫히면 잎 끝에 있는 가시가 맞물리면서
잡은 파리가 도망가지 못하게 되고
분비되는 소화효소에 의해 천천히 분해돼
파리지옥의 영양분이 되어버립니다

이때 걸리는 시간은 7일~10일 정도 된다고 합니다

파리 입장에서 보면 움직이지도 못하는 상태에서
알 수 없는 용액에 의해 서서히 녹아버리기 때문에
이름처럼 진짜 지옥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파리지옥은 파리만 먹는 것이 아니라
애벌레나 거미, 벌, 지렁이 같은 벌레도 먹고
심지어 개구리를 먹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파리지옥에 사람이 잡히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식충식물 전문가인 베리 라이스는
무좀의 일부라고 할 수 있는 백선증에 걸려 떨어진 
자신의 발 피부 일부를 파리지옥에게 먹여보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그는 아무리 파리지옥이라 하더라도
인간의 피부는 분해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일주일 뒤 식사를 마친 파리지옥은 입을 벌렸고
그 안에는 파리지옥에 의해 녹아 끈적하게 변해버린
피부 일부가 있었다고 합니다

즉 파리지옥은 비록 병에 걸린 피부였지만
인간의 피부 역시 분해하고 소화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파리지옥에 사람이 잡히면
굉장히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물론 잡히면 말이죠



파리지옥 잎의 크기는 보통 2.5~5cm 정도 되고
가장 큰 파리지옥이라고 해봐야 6cm 정도 밖에 안된다고 합니다

성인 손가락 하나를 겨우 물수 있는 크기이죠

게다가 잎을 닫고 있는 힘 자체도 그렇게 강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일부의 벌레들은
파리지옥에게 잡혀도 발버둥 치다
잎을 열고 도망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파리지옥은 인간의 힘을 당해낼 수 없다는 뜻입니다

실제로 외국의 한 유튜버는
파리지옥 잎을 손가락에 고정한 채로 하루 동안 있어봤는데
손가락이 부어오르고 물집이 잡히기도 했습니다


이들의 실험처럼 파리지옥은 사람에게 해를 줄 수 있습니다
만약 사람을 삼킬 수 있는 크기의 파리지옥이 있다면
우리는 파리지옥에 잡아먹힐 수도 있겠지만

지구에 존재하는 파리지옥은
사람을 잡을 수 있는 크기나 힘이 안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어떠한 영향도 줄 수 없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오히려 사람이 파리지옥에게 영향을 주는 경우가 훨씬 많지 않을까요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